2025.10.03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테슬라, 9월 들어 32% 급등에 목표가 속속 상향…최고 600달러 '전망'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가 경영하는 테슬라(TSLA)의 주가가 9월 들어 약 30% 넘게 급등하자 월가 주요 증권사들이 기존 목표주가를 잇따라 상향 조정하고 있다.

 

9월 26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테슬라는 전일 대비 4.02% 상승한 440.40달러에 마감, 이달 들어 주가가 32% 상승하며 시가총액 1조4000억 달러를 회복했다. 이는 미국 기업 시총 순위에서 버크셔 해서웨이를 제치고 8위에 오른 수치다. 작년 12월 17일 기록한 역대 최고가 479.86달러 경신도 목전에 두고 있다.

 

주가 상승 배경으로는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기대감, CEO 일론 머스크의 약 10억 달러 규모 대량 자사주 매입, 그리고 막대한 보상안과 이에 따른 머스크의 경영 집중 전망이 꼽힌다. 특히 머스크의 지분 확대 행보는 시장에서 회사의 미래 성장 가능성에 대한 강력한 신뢰 신호로 인식된다.

 

월가에서는 과거 전기차 판매 부진 등에 따른 비관론이 힘을 받으며 테슬라 주가가 애널리스트 목표가 밑에서 거래되는 일이 많았다. 팩트셋 집계에 따르면 지난 3개월간 주요 애널리스트 목표주는 평균 10% 상승했으나 여전히 342달러 선에 머물고 있다. '매수' 등급을 부여한 애널리스트 비중도 47%로 평균 S&P500 기업의 55%를 밑돈다.

 

하지만 최근 시장 상승세에 맞춰 강세론자들이 목표주가를 크게 올리는 추세다.

 

웨드부시증권 댄 아이브스는 500달러에서 600달러로 목표가를 대폭 상향하며 “테슬라가 AI와 로봇공학 기반의 자율주행 혁명을 이끌고 있으며, 2026년 말에는 시가총액 3조 달러에 도달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머스크를 ‘전시 CEO(wartime CEO)’로 칭하며 로봇택시 서비스가 내년에 미국 30여 개 도시에 진출할 것이라 내다봤다.

 

도이체방크 역시 목표주가를 345달러에서 435달러로 올리며 3분기 전기차 인도량이 월가 평균 전망치(약 44만5000대)를 웃도는 46만1000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배어드 캐피털은 548달러를 제시, 강력한 실적 기대감을 반영했다.

 

테슬라의 인공지능(AI) 기술 진전도 주가 랠리에 중요한 요소다. 테슬라는 자율주행차량에 적용하는 AI 기술 연구에서 도조(Dojo) 슈퍼컴퓨터를 통한 딥러닝 신경망 고도화, 실제 주행 데이터를 활용한 학습, 오버더에어(OTA)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지속적인 성능 향상을 추구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고도의 자율주행 기능과 안전성을 구현하며,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다만 일부 지역과 규제 측면에서는 도전 과제가 상존한다.

 

주요 분석가들은 3분기 테슬라 실적이 강할 것으로 보고 있다. 울프 리서치는 3분기 차량 인도량이 46만5000~47만대에 이를 것으로 봤으며, 이는 기존 예상치를 훌쩍 상회하는 수치다. 이들은 미국 내에서는 연말 연방 EV 세제 혜택 종료를 앞두고 구매 수요가 몰린 데다 중국 시장도 기대 이상이라고 전했다. 3분기 주당 순이익은 예상치를 웃도는 0.55~0.60달러로 추산했다.

 

반면 테슬라가 유럽 시장에서는 판매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8월 유럽 내 EV 등록 대수는 전년 대비 20% 이상 감소하는 등 지역별 시장 상황은 다소 엇갈린다.

 

월가 전문가들은 테슬라가 로봇공학과 자율주행 AI에서 성장 잠재력이 크며, 트럼프 행정부의 규제 완화 기대까지 투자가치를 뒷받침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다만 경쟁 심화, 규제 리스크, 글로벌 경기 변수 등 향후 주가 변동 요인도 상존한다는 평가다.

 

빅테크 전문가들은 "테슬라 주가 ‘랠리’는 금리 환경 개선, 머스크의 대량 매수, 강력한 AI·자율주행 기술 진보, 그리고 예상 상회 실적 기대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며 "월가의 목표주가 상향과 강세 전망은 이러한 펀더멘털 변화에 점차 부응하는 모습이다. 하지만 향후 시장 조정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엔비디아 젠슨 황 아들 스펜서 황, "휴머노이드 로봇 미래는 두 발 걷기 아닌 양손 조작”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세계 최대 AI 기업 엔비디아가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를 차세대 핵심 성장축으로 집중 육성하는 가운데, 젠슨 황 CEO의 장남 스펜서 황이 10월 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휴머노이드 콘퍼런스 2025’ 산업 패널 토론에 참여해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발전 방향과 국내외 기술 협력 전망을 제시했다. 스펜서 황은 2022년 엔비디아에 입사해 로보틱스 부문 프로젝트 리드를 맡고 있으며, 이번 방한에는 여동생 매디슨 황도 동행해 삼성전자 R&D캠퍼스와 수원 생산기술연구소를 방문했다. ZDNet Korea, CNBC, Markets and Markets, IFR에 따르면, 스펜서 황은 토론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발전의 핵심은 두 발 보행이 아닌 양손 조작 능력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산업 현장과 물류 창고에서 피킹 작업, 다단계 조립과 같은 손을 이용한 작업이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의 가장 현실적 출발점이라며 “현재는 범용성을 위해 데이터를 축적하는 중요한 단계”라고 밝혔다. 실제 물류·산업현장 작업 데이터가 로봇 학습과 성능 향상에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로봇이 반복적이고 위험하거나 무거운 작업을 대신하며 현장 근로자들로부터 긍

[빅테크칼럼] 구글, AI 챗봇 ‘제미나이 포 홈’ 탑재 스마트홈 공개…아마존 ‘알렉사+’와 경쟁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구글이 2025년 10월 1일(현지시간) 스마트홈 브랜드 네스트(Nest)의 신제품을 공개하며, 생성형 인공지능(AI) ‘제미나이 포 홈(Gemini for Home)’을 탑재한 스마트홈 기기 대중화에 나섰다. 이에 앞서 하루 전 공개된 아마존의 ‘알렉사+’ 탑재 신형 홈 기기들과의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구글 2025 공식 블로그, 토큰포스트,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이번에 공개된 구글 신제품은 2K 해상도의 네스트 캠 인도어·아웃도어 카메라, 신형 네스트 도어벨, 360도 음향을 지원하는 소형 홈 스피커 등이다. 특히 ‘제미나이 포 홈’ AI 플랫폼은 기존의 구글 어시스턴트를 완전히 대체하며, 사용자가 대화하듯 자연스럽게 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점이 핵심이다. 구글은 향후 지난 10년 간 판매된 네스트 디스플레이, 스피커, 카메라, 도어벨 등 모든 스마트홈 기기에도 ‘제미나이 포 홈’을 적용할 계획이다. ‘제미나이 포 홈’은 복잡한 대화 문맥을 이해하고 다단계 명령 수행이 가능하며, 사용자 반복 없이 한결 자연스러운 음성 대화를 통해 스마트홈 전반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스피커에 있는 재료를 알려주면 AI가 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