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3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머스크, 지구 첫 ‘700조원 자산가’ 등극…테슬라·스페이스X·xAI 급등 속 '세계 최고' 갑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25년 10월 2일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사상 첫 ‘700조원 자산가’에 올랐다는 미국 포브스 보도가 나오면서 국내외 금융 및 산업계에 충격을 던지고 있다.

 

테슬라 주가·정치리스크 해소가 ‘자산 폭등’ 견인


포브스(Forbes)는 현지시각 10월 1일 기준 테슬라 종가(459.46달러)와 머스크의 테슬라 지분 12%(1910억달러, 약 268조원)를 산출해 그 자산가치가 한때 5000억달러(약 701조원)에 달했다고 집계했다. 머스크의 자산은 불과 1년 만에 4000억달러를 돌파한 이후, 약 1000억달러(140조3500억원)를 추가한 셈이다.

 

올초에는 정치적 리스크,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정부효율성부(DOGE) 수장직을 겸임하면서 테슬라 주가가 하락세였으나, 4월 실적 발표에서 DOGE 직을 내려놓고 테슬라 집중을 선언하자 주가가 반등했고 이후 거의 두 배 가까이 상승했다. 현재 테슬라의 시가총액은 사상 최고치에서 약 10%의 차이만 남은 상태로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스톡옵션·추가 보상 패키지 논란…자산 평가 방식 ‘이슈’


머스크 CEO 자산에는 2018년 테슬라 이사회가 승인한 성과 기반 스톡옵션(현 가치 1330억달러, 약 186조6600억원)이 포함된다. 다만, 최근 미국 델라웨어주 법원이 테슬라 이사회 독립성 부족을 이유로 옵션을 무효 판결했으며, 이사회 측은 상고 중이다.

 

포브스는 소액주주 제기 소송과 소송 리스크를 감안해 현 옵션가치를 50% 할인 반영하고 있다. 한편 테슬라 이사회는 지난달 머스크에게 최대 1조달러(1403조5000억원) 규모의 추가 성과 보상안을 제안했다.

 

 

스페이스X·AI 홀딩스, 머스크 자산 급등 ‘엔진’


머스크가 2002년 창립한 스페이스X는 2025년 8월 비공개 입찰에서 기업가치가 4000억달러(약 561조4000억원)로 평가받았고, 머스크의 42% 지분은 1680억달러(약 235조7800억원)다. 2022년 인수한 소셜미디어 엑스(X, 구 트위터)와 AI 기업 xAI를 올해 합병해 만든 xAI 홀딩스의 가치는 최근 1130억달러(약 158조5900억원)로 올라서, 머스크의 53% 지분은 600억달러(84조2100억원)에 이른다.

 

‘최초 1조달러 자산가’…포브스, 2033년 전에 달성 전망


포브스는 현재 성장 속도라면 머스크가 2033년 3월 이전에 세계 최초 조(兆) 달러 단위 자산가가 될 것이라 전망했다. 실제로 머스크의 자산 총액은 테슬라, 스페이스X, xAI 합산 시 700조원을 넘어섰으며, 주요 글로벌 자산평가 기관들도 유사한 추정치를 내놓고 있다.

 

블룸버그(Bloomberg)는 2025년 10월 2일 기준 일론 머스크의 자산을 5050억달러로 추산했고, 엔터프라이즈 밸류와 인수·합병 동향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문가·시장 반응…“혁신 기업가 시대의 상징”


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 국내 미래에셋증권 등 글로벌 금융기관들은 머스크의 ‘혁신 자산가’ 시대 도래가 미국과 세계 자본시장에 강한 상징적 의미를 가진다고 평가한다.

 

테슬라 및 스페이스X 성장과 AI 홀딩스 합병이 머스크 자산 재평가에 결정적 역할을 했으며, 향후 트랜스휴먼·AI·우주인터넷 분야에서도 머스크가 시장 선도자로 영향력을 강화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엔비디아 젠슨 황 아들 스펜서 황, "휴머노이드 로봇 미래는 두 발 걷기 아닌 양손 조작”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세계 최대 AI 기업 엔비디아가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를 차세대 핵심 성장축으로 집중 육성하는 가운데, 젠슨 황 CEO의 장남 스펜서 황이 10월 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휴머노이드 콘퍼런스 2025’ 산업 패널 토론에 참여해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발전 방향과 국내외 기술 협력 전망을 제시했다. 스펜서 황은 2022년 엔비디아에 입사해 로보틱스 부문 프로젝트 리드를 맡고 있으며, 이번 방한에는 여동생 매디슨 황도 동행해 삼성전자 R&D캠퍼스와 수원 생산기술연구소를 방문했다. ZDNet Korea, CNBC, Markets and Markets, IFR에 따르면, 스펜서 황은 토론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발전의 핵심은 두 발 보행이 아닌 양손 조작 능력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산업 현장과 물류 창고에서 피킹 작업, 다단계 조립과 같은 손을 이용한 작업이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의 가장 현실적 출발점이라며 “현재는 범용성을 위해 데이터를 축적하는 중요한 단계”라고 밝혔다. 실제 물류·산업현장 작업 데이터가 로봇 학습과 성능 향상에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로봇이 반복적이고 위험하거나 무거운 작업을 대신하며 현장 근로자들로부터 긍

[빅테크칼럼] 구글, AI 챗봇 ‘제미나이 포 홈’ 탑재 스마트홈 공개…아마존 ‘알렉사+’와 경쟁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구글이 2025년 10월 1일(현지시간) 스마트홈 브랜드 네스트(Nest)의 신제품을 공개하며, 생성형 인공지능(AI) ‘제미나이 포 홈(Gemini for Home)’을 탑재한 스마트홈 기기 대중화에 나섰다. 이에 앞서 하루 전 공개된 아마존의 ‘알렉사+’ 탑재 신형 홈 기기들과의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구글 2025 공식 블로그, 토큰포스트,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이번에 공개된 구글 신제품은 2K 해상도의 네스트 캠 인도어·아웃도어 카메라, 신형 네스트 도어벨, 360도 음향을 지원하는 소형 홈 스피커 등이다. 특히 ‘제미나이 포 홈’ AI 플랫폼은 기존의 구글 어시스턴트를 완전히 대체하며, 사용자가 대화하듯 자연스럽게 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점이 핵심이다. 구글은 향후 지난 10년 간 판매된 네스트 디스플레이, 스피커, 카메라, 도어벨 등 모든 스마트홈 기기에도 ‘제미나이 포 홈’을 적용할 계획이다. ‘제미나이 포 홈’은 복잡한 대화 문맥을 이해하고 다단계 명령 수행이 가능하며, 사용자 반복 없이 한결 자연스러운 음성 대화를 통해 스마트홈 전반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스피커에 있는 재료를 알려주면 AI가 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