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AtoZ] 스페이스X, 170억 달러 에코스타 주파수 인수…스타링크 글로벌 커버리지 혁신 본격화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X가 에코스타(EchoStar)와 약 170억 달러 규모의 주파수 라이선스 거래를 체결하며 자사의 위성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Starlink)의 글로벌 도달 범위를 획기적으로 확장한다. 이번 거래는 통신사 역사상 최대 규모의 스펙트럼 인수 중 하나로 평가되며, 에코스타는 기존 미국 내 4위 무선사업자 전략을 접고 새로운 사업 방향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됐다.

 

PR Newswire, Yahoo Finance, Reuters, CNBC, Hollywood Reporter, Satellite Today, Fierce Networks에 따르면, 거래 조건은 최대 85억 달러의 현금 지급과 85억 달러 상당의 스페이스X 주식 발행, 그리고 2027년 11월까지 약 20억 달러에 달하는 에코스타 부채 이자 지급을 스페이스X가 부담하는 내용으로 구성됐다.

 

이번 인수를 통해 스페이스X는 에코스타의 AWS-4 및 H-block 주파수 라이선스를 독점 사용하여, 휴대폰을 위성에 직접 연결하는 차세대 'Starlink Direct to Cell' 위성 개발에 속도를 더할 방침이다.

 

이 거래는 에코스타가 연방통신위원회(FCC)의 5G 구축 및 스펙트럼 활용 적정성 조사를 받는 상황에서 이뤄진 전략적 해결책이다. FCC 위원장 브렌던 카(Brendan Carr)의 압박과 규제 조사가 회사 경영에 압박으로 작용하자, 에코스타는 AT&T에 230억 달러 규모의 스펙트럼 매각에 이어 이번 스페이스X 거래로 미해결 조사를 해소할 의지를 표명했다.

 

에코스타 하미드 악하반 CEO는 "이번 협약이 고객 중심 혁신을 통한 위성 직결(Cell Direct-to-Cell) 서비스 실현의 10년 전략을 완성하는 행보"라고 강조했다.

 

스페이스X 그윈 샷웰 COO는 "이번 거래가 전 세계 이동통신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혁신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스타링크 위성은 이미 자연재해 등 긴급 상황에서 수백만명에게 모바일 연결을 제공했으며, 이번 추가 주파수 확보를 통해 기존 기술 대비 20배 이상 용량을 갖춘 위성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전 세계 어디에서든 기존 셀룰러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없는 지역까지 5G급 모바일 커버리지를 제공하겠다는 목표다. 에코스타의 부스트 모바일 가입자 736만여명은 장기 상업 파트너십을 통해 스페이스X의 향상된 스타링크 셀 직결 서비스를 향후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이번 거래 발표 이후 에코스타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24% 이상 급등하며 시장의 긍정적 기대를 반영했다. 투자자들은 이번 스펙트럼 매각 대금이 에코스타의 막대한 부채 상환과 운영 자금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평가한다. 다만 DISH TV, Sling, Hughes 등 에코스타의 기존 위성 방송 및 서비스 사업은 영향받지 않을 전망이며, 이번 거래는 규제 당국의 승인을 조건으로 하고 있다.

 

에코스타는 2025년 초 기준 약 295억 달러에 이르는 부채 해결에 집중하면서도, 이번 전략적 스펙트럼 매각과 세밀한 재무 구조조정을 통해 생존을 모색하는 중이다. 이에 따라 향후 에코스타의 경영 안정화 및 위성통신 시장 내 경쟁 구도 변화가 주목된다.

 

이번 스페이스X와 에코스타의 협력은 차세대 위성 통신 시장에서 글로벌 확장을 위한 중대한 시발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향후 위성 기반 모바일 네트워크가 통신 인프라의 새로운 축으로 자리매김하면서, 원격지역 및 자연재해 대응, IoT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 변화를 가져올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폭발물 탐지제거 로봇’ 양산 돌입…방위청과 2700억원 계약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국내 최초로 국방 로봇체계 양산에 들어간다. 위험한 임무에 로봇을 투입해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고 군 입대 자원 부족 현상도 장기적으로 기술로 극복하겠다는 것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방위사업청과 약 2700억원 규모의 ‘폭발물 탐지제거로봇’ 양산 계약을 맺었다고 8일 밝혔다. 폭발물 탐지제거로봇은 원격으로 지뢰를 탐지하고 급조폭발물(IED)도 탐지 및 제거하는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대한민국군에 국산 국방 로봇이 전력화되는 첫 사례이기도 하다. 올해부터 양산에 돌입하는 폭발물 탐지제거로봇은 다양한 작전 상황에 맞춰 모듈을 교체해 투입할 수 있다. 기본 탑재된 집게 조작팔과 감시장비는 360도의 모든 방향에서 위험물을 다룰 수 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작전상황에 따라 X-레이 투시기, 지뢰탐지기, 무반동 물포총, 산탄총, 케이블 절단기, 유리창 파쇄기 등도 부착해 활용할 수 있다. 그동안 지뢰탐지는 장병들이 직접 지뢰탐지기를 든 채 지뢰를 탐지하거나, 급조폭발물을 제거하기 위해 제거조가 직접 투입돼 위험한 상황에 노출됐다. 외국산 IED 제거 로봇을 쓰기도 했지만, 도입 수량은 소수에 불과한 현실이다. 방위사업

대명소노가 인수한 티웨이항공, 트리니티항공으로 사명 변경…"항공·여행·숙박 결합한 고객 경험"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대명소노그룹에 인수된 티웨이항공이 '트리니티항공(TRINITY AIRWAYS)'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하스피탈리티 업계 내 항공 서비스의 혁신을 목표로 다양한 분야에서의 시너지 발현을 위한 첫 여정을 시작한다. 9월 8일 티웨이항공은 사명 변경과 브랜드 공개하는 등 리브랜딩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하고, 이를 통한 그룹 통합 서비스 구축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트리니티(TRINITY)'는 라틴어 'Trinitas'에서 유래하여 ‘셋이 하나로 모여 완전함을 이룬다’라는 의미를 담은 단어로, 기존의 항공을 넘어 숙박과 여행이라는 영역을 결합해 고객에게 보다 풍요로운 경험을 제공한다는 상징성을 가진다. 특히 이번 사명 변경은 한가족이 된 티웨이항공과 대명소노그룹의 본격적인 시너지를 발현하는 출발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양사는 국내를 넘어 아시아와 유럽, 미주를 아우르는 항공 노선과 호텔·리조트 인프라를 결합한 전략적 협업과 차별화된 패키지 상품을 출시하는 등 실질적인 시너지를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나아가 고객에게 하나의 흐름으로 이어지는 통합된 여행 경험을 제공하고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공통 멤버십 프로그램을 통해 혜택을 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