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2 (토)

  • 구름조금동두천 4.4℃
  • 맑음강릉 12.8℃
  • 구름많음서울 7.9℃
  • 맑음대전 8.9℃
  • 맑음대구 7.9℃
  • 맑음울산 11.8℃
  • 맑음광주 7.1℃
  • 맑음부산 11.4℃
  • 맑음고창 7.7℃
  • 구름많음제주 13.6℃
  • 구름조금강화 7.1℃
  • 구름조금보은 6.3℃
  • 맑음금산 4.9℃
  • 맑음강진군 8.6℃
  • 맑음경주시 10.9℃
  • 맑음거제 10.9℃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비트코인 강세에 힘입은 마이크로스트래티지, S&P 500 편입 기대감 '고조'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미국의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기업 마이크로스트래티지(MicroStrategy)는 2025년 3분기 약 2억9000만 달러 순이익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2분기 연속 흑자 기록을 바탕으로 S&P 500 지수 편입 가능성에 한층 가까워졌다.

 

Yahoo Finance, CoinDesk, KuCoin, OKX, Investing.com, Reuters 등에 따르면, 이번 실적 전망은 3분기 말 비트코인 가격이 2분기 말 약 10만7778달러에서 11만4390달러로 상승한 데 힘입은 것으로, 10월 1일 현재 비트코인은 11만7000달러를 상회하고 있다.

 

Strive 최고 리스크 책임자인 제프 월튼(Jeff Walton)은 마이크로스트래티지의 최근 12개월간 주당 순이익이 약 22.8달러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이 분석에는 약 9억7000만 달러에 달하는 이연 법인세 부채가 반영됐으며, 이는 S&P 500 편입의 주요 요건인 최근 분기 및 12개월 연속 양의 순이익을 충족함을 의미한다.

 

회사는 시가총액 약 227억 달러를 보유하고 있으며, 50% 이상의 유통 주식과 하루 평균 25만주 이상의 거래량 등 다양한 기술적 기준도 이미 충족 중이다.

 

특히 2025년 3분기 동안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약 4만2906개의 비트코인을 평균 매입가 약 11만2100달러에 추가 매입, 총 보유량은 64만건을 넘어섰다. 9월 29일 기준 회사는 평균 매입가 약 7만3983달러로 64만31개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 비트코인 공급량의 약 3%에 해당하는 상당한 규모다.

 

그러나 S&P 500 지수 편입의 최종 관문은 미국 인덱스 위원회의 승인에 달려 있다. 위원회는 10명의 멤버로 구성되며 단순 과반수로 의사결정을 한다. 후보 기업 평가 시 정량적 조건 외에도 기업의 사업모델 안정성과 지속가능성 같은 정성적 요소를 심도 있게 고려하는데, 마이크로스트래티지의 비트코인 중심 재무 전략과 높은 주가 변동성(최근 30일간 96% 변동 폭 평균) 등이 위원회의 우려 사안으로 지적되고 있다.

 

과거에도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S&P 500 편입 기술적 요건을 충족했음에도 불구하고 편입이 거절된 바 있으며, 업계 분석가들은 이번에도 위원회의 엄격한 판단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본다. 이번 위원회의 다음 정기 리밸런싱 평가일은 2025년 12월 19일이다.

 

한편,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최근 변동금리형 시리즈 A 영구 스트레치 우선주(STRC)의 배당률을 기존 10%에서 10.25%로 인상했다. 이는 30일 이내 두 번째 금리 인상으로, 10월 15일 기준 주주 명부에 등재된 주주에게 10월 31일 주당 0.854166667 달러의 현금 배당을 지급할 예정이다.

 

이 같은 배당 인상 조치는 회사 주가가 액면가인 100달러에 좀 더 근접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전략적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이와 같은 뉴스 발표 후 마이크로스트래티지의 주가는 장전 거래에서 2.9% 상승했으며, 비트코인은 3% 뛰며 11만6700달러를 기록했다.

 

최종적으로 회사의 공식 3분기 실적은 2025년 11월 4일 발표될 예정이며, 이 자료가 마이크로스트래티지의 S&P 500 편입 여부를 가늠하는 중요한 판단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3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AI 거품론 확산 속 올트먼 "일시적 역풍 올 수도" 발언…구글 제미나이3 성능 우위로 '난관 봉착'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AI 산업 내 거품 가능성에 대해 공개적으로 우려를 표명하며, 구글의 차세대 AI 모델 제미나이3 출시 이후 일시적인 경제적 역풍이 오픈AI에 불어닥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올트먼 CEO는 내부 직원들에게 보낸 메시지에서 "현재 분위기가 쉽지 않으며, 단기적 경쟁 압박 속에서도 집중력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오픈AI가 최고의 연구소이자 AI 인프라, 플랫폼, 제품 기업으로서 그 어려움을 극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구글은 지난 18일 공개한 제미나이3가 글로벌 AI 모델 중 성능 1위를 달성하며, 특히 고급 과학 문제 해결 능력과 추상적 시각 추론 분야에서 GPT-5.1을 크게 앞서는 점수를 기록했다. Gemini 3 Pro는 코딩 수행 완벽 점수와 도구 없이도 높은 수학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추는 등 기술적 우위를 확보했다. 이에 대해 올트먼은 구글이 최근 훌륭한 성과를 거둔 점을 인정하면서도, "오픈AI가 장기적으로 선두 자리를 유지하길 원한다"고 밝혔다.​ 한편, AI 투자 거품론이 미국 증시 특히 나스닥을 중심으로 확산하며, 빅테크 대형주들의 주가 변동성

[빅테크칼럼] "머스크, 르브론·다빈치보다 위대"…AI 그록, 과잉 충성·혐오 발언에 EU도 '경고'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일론 머스크의 인공지능 기업 xAI가 개발 운영하는 AI 챗봇 ‘그록’이 머스크에 대한 과도한 충성심을 드러내는 답변을 연이어 내놓아 글로벌적으로 객관성 논란에 휩싸였다. 그록은 체력, 지능, 유머감각 등 각종 비교 질문에서 머스크를 인류 역사와 현존 인물들을 뛰어넘는 ‘최고’로 평가했으며, 이런 답변들은 다수 삭제 조치됐다. 최근 가디언, 알자지라, 비즈니스인사이더, CNN, 뉴욕타임스, 더글로브앤메일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그록은 농구 전설 르브론 제임스보다 머스크가 전체적인 체력이 더 뛰어나다고 답했다. “르브론은 농구에 특화된 압도적 운동선수지만 머스크는 스페이스X, 테슬라, 뉴럴링크를 넘나들며 주 80~100시간 넘게 일하며 시즌별 체력 피크를 넘어서는 강인함을 가졌다”는 것이다. 지능에 대해선 “르네상스의 다빈치와 아이작 뉴턴과 견줄 만한 지적 수준”이라고 칭송했다. 여기에 ‘미국 코미디언 제리 사인펠드보다 웃기고, 예수보다 빨리 부활했을 것’이라는 황당한 답변까지 내놨다.​ 머스크는 “적대적 프롬프트 조작 탓에 그록이 터무니없이 나를 미화했다”며 관련 답변 삭제를 지시했다. 하지만 이번 사태는 그간 그록의 답변이 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