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3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테슬라, 황금색 옵티머스 2.5로봇 공개…“2025년 5000대 생산 목표, 미래는 로봇시대”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테슬라가 최근 독특한 금색 외관과 업그레이드된 설계를 갖춘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 2.5’를 공개하며 로봇 사업에 대한 미래 비전을 다시 한 번 점화했다.

 

Carboncredits.com, CNBC, The Information, Digital Watch Observatory, Wevolver, Ainvest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 CEO는 9월 6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X에서 이번 공개 로봇이 기대를 모은 버전 3이 아닌 2.5임을 명확히 하면서, 공식적인 옵티머스 V3는 11월 예정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공개될 것이라고 밝혔다.

 

옵티머스 2.5는 기존 제품 대비 인체공학적 디자인 개선과 함께 손가락 22자유도에 이르는 정교한 조작 능력을 갖췄다. 액추에이터는 팔뚝 쪽에 위치해 케이블로 손가락을 제어하는 방식을 채택, 인간 손의 움직임을 본뜬 점이 큰 기술 진보로 평가된다.

 

또한 테슬라의 AI 어시스턴트 ‘Grok’을 탑재해 음성 대화 기능을 지원하지만, 느린 반응 속도는 일부 비판을 받기도 했다. 세일즈포스 CEO 마크 베니오프가 공개한 영상은 이러한 대화 시연과 함께 로봇이 음성명령에 따라 부엌으로 안내하는 모습을 담아 이목을 끌었다.

 

생산 측면에서는 2025년 연말까지 약 5000대의 옵티머스 로봇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실제 생산량은 수백대 수준에 머물고 있어 목표 달성 가능성에 대한 시장의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내부 기술적 문제로 인해 재설계와 생산 차질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머스크는 2030년까지 월 10만대 생산을 목표로 하며 장기적 로드맵에 강한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시장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보스턴 다이내믹스, 아질리티 로보틱스, Figure AI 등 글로벌 로봇 기업들이 공격적으로 이족 보행 로봇을 개발 중이다. 특히 가격 경쟁력과 AI 통합 능력에 주목받는 Unitree Robotics의 G1 로봇과, 오픈AI 협력을 통한 Figure AI의 Figure 01이 주요 경쟁자로 평가된다. 옵티머스의 예상 가격은 2만~3만 달러 선으로 상대적으로 경쟁력을 갖췄으나, 기술 완성도 면에서는 아직 보완해야 할 점이 많다는 분석이다.

 

테슬라는 기존 전기차 중심에서 인공지능과 로봇 사업 중심으로 전략적 전환을 가속하며 옵티머스를 회사 미래의 핵심 성장동력으로 삼고 있다. 머스크는 옵티머스가 향후 테슬라 기업가치의 80%를 차지할 것이라 선언했고, 2050년까지 25조 달러 규모 기업으로 도약하는 데 주요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오는 11월 주주총회에서는 ‘옵티머스 댄스 트룹’과 함께 옵티머스 V3의 공식 데뷔가 예정돼 있어 산업계와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아마존, 로봇·AI·AR 결합한 차세대 창고 자동화 가속…"배송 속도 25% 향상, 75% 작업 로봇 처리"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이 최신 인공지능(AI)과 로봇기술, 증강현실(AR) 안경 등을 결합한 차세대 창고 자동화 시스템을 본격적으로 현장 테스트 중이다. 아마존은 이러한 혁신기술을 통해 물류 효율을 극대화하고 배송 처리 속도를 기존보다 약 25% 가량 끌어올렸다고 밝혔다. 뉴욕타임즈, CNBC, 로이터, BBC 등에 따르면, '블루 제이'(Blue Jay)라 명명된 다중 로봇 팔 시스템은 사우스캐롤라이나 물류센터에서 시험 가동 중에 있으며, 이 로봇은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품목을 흡착 그리퍼를 이용해 동시에 집고 분류, 통합하는 멀티태스킹 능력을 갖췄다. 아마존에 따르면 블루 제이는 창고 내 품목 약 75%를 단독으로 처리할 수 있어 기존에 세 개의 별도 로봇 스테이션이 필요하던 작업을 하나의 작업 공간으로 통합해 공간 효율과 처리 속도를 모두 높였다.​ 한편, '엘루나'(Eluna)라 불리는 AI 기반 관리 도우미 시스템은 테네시주의 창고에 시범 운영 중이다. 이 AI 시스템은 관리자의 인력 배치를 최적화하고 작업 병목 현상을 사전에 예측해 효율적 운영을 지원한다. 다중 대시보드를 모니터링하던 관리자들의 작업 부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