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2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월가 베어드 "테슬라, 로보틱스·로보택시로 미래 주도" 등급상향…'피지컬 AI' 전환 잰걸음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월가의 권위 있는 증권사들이 일제히 테슬라(Tesla)의 AI 기조 전환과 미래 잠재력에 주목하며 투자 의견과 목표주가를 대폭 상향하고 있다.

 

베어드(Baird)는 테슬라가 제조업을 넘어 AI와 로보틱스 혁신 기업으로 전환하는 '피지컬 AI' 선두주자가 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지난 19일(현지시간) 테슬라에 대한 등급을 기존 '중립'에서 '시장수익률 상회(Outperform)'로 높이고 목표주가도 320달러에서 548달러로 무려 71% 인상했다.

 

Teslarati, Yahoo Finance, Investing.com, Barron's, MarketBeat에 따르면, 베어드의 벤 칼로(Ben Kallo) 애널리스트는 "최근 테슬라 주가가 8거래일 중 7일 오르며 약 20% 상승했고, 같은 기간 시가총액도 2300억달러가 늘어났다"면서, 단기 실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투자자 관심은 '미래 성장 동력'인 로보택시,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 에너지 저장 사업 등 혁신적 프로젝트로 옮겨가고 있다고 밝혔다.

 

베어드는 테슬라가 2035년까지 연 2000만대 차량 판매, 1000만대의 로보택시와 옵티머스 로봇 배치, 1000만건의 완전 자율주행(FSD) 구독 달성 등 야심찬 로드맵을 실현할 경우 기업가치가 최소 5.5조달러, 최대 12조달러(주당 3000달러)까지 성장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테슬라 주가는 베어드 보고서 발표 직후 2.21% 급등해 426.07달러(시총 1조4170억달러)로 마감했으며, 최근 한 달간 29%, 올 들어 5% 상승세를 기록하는 등 AI 혁신 모멘텀에 힘입어 월가 평균 목표가(334달러, 팩트셋 기준)도 상회 중이다. 투자전문지 배런스(Barron's)도 S&P500 기업 중 목표가보다 높은 수준에 거래되는 종목은 10% 내외에 불과하다고 평했다.

 

이 같은 AI 기대는 일론 머스크 CEO의 10억달러(약 2570만주) 자사주 대규모 매입과 맞물려 주가에 확실한 긍정 신호를 불어넣었다. 머스크의 이번 주식 매입은 2020년 초 이후 처음으로, 일론 머스크는 최근 이사회가 제안한 '성과 연동 1조달러 보상안' 수혜를 위해 회사 장악력을 더욱 강화하는 행보로 풀이된다. 머스크는 "회사의 AI·로보틱스 미래를 주도하기 위해 25%의 의결권이 필요하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한편, 최근 테슬라의 자동차 사업은 글로벌 판매가 부진해 2025년 2분기 38만4122대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3% 감소했으나, AI와 자율주행, 로보틱스 등 미래사업이 투자자 관심을 이끌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3분기 인도량이 45만5000대로 집계 컨센서스(44만5000대)를 웃돌 것으로 전망하며, 목표주가를 300달러에서 395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현재 테슬라를 담당하는 미국 내 애널리스트 중 약 45%만이 '매수' 의견을 내고 있다. 이는 S&P500 평균의 55%보다 낮지만, 테슬라가 EV(전기차)·로보틱스·AI 등 미래 혁신에 걸고 있는 베팅이 월가의 평가 프레임을 재정립하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최근 1년간 테슬라 주가는 S&P500을 70%p 이상 상회하는 +74%의 상승률을 기록해 미래 성장주로서의 브랜드를 강화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트럼프 행정부, 틱톡 매각 수십억 달러 수수료 챙긴다…전례 없는 ‘정부 통행세’ 논란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사업권 매각을 둘러싼 협상 과정에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투자자들로부터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수수료를 요구, 막대한 수익을 챙길 것으로 예상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025년 9월 19일 복수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 정부가 틱톡 매각 협상에 개입하는 대가로 수십억 달러 규모의 ‘거래 수수료’를 투자자들로부터 받을 예정이며, 이는 기업 간 일반적인 인수합병 거래에서 볼 수 없는 전례 없는 규모라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9월 18일 영국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미국은 엄청난 수수료를 추가로 받는다”고 직접 언급했고, 19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통화에서도 “우리가 뭔가를 얻을 것”이라며 수수료 수익 확보를 공식화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이 수수료는 거래 규모뿐 아니라 정부가 협상과정에서 투입한 노력과 비용을 고려했을 때 당연한 보상이라는 입장이다. 통상적으로 인수합병에 관여하는 투자은행들은 거래 금액의 1% 미만을 자문 수수료로 받으며, 거래 규모가 클수록 수수료율은 더 낮아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틱톡 미국 사업 부문의 가치는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반면, 트럼프 행정부가 요구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