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테슬라(Tesla, Inc.)가 글로벌 전기차(EV) 판매 급감의 그림자 속에서 기업 정체성을 인간형 로봇 사업으로 전면 선회한 가운데 이를 놓고 현실적이지 않은 실행계획이라는 회의론까지 대두되며 논란이 일고 있다.
The Raisina Hills, btcc.com, MLQ.ai, Tech Wire Asia, TrendForce, Ainvest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Elon Musk) CEO는 최근 ‘마스터플랜 파트4’에서 테슬라 기업가치의 80% 이상이 인간형 로봇 옵티머스(Optimus)에서 나올 것이라며, 2050년까지 회사를 25조 달러(약 3경3000조원)에 달하는 ‘로봇 제국’으로 육성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테슬라, 전기차 판매 급감에 로봇 사업으로 방향 전환
2025년 상반기 테슬라의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은 13% 줄었으며, 유럽 판매는 무려 40% 감소했다. 중국에서는 시장점유율이 2022년 16%에서 2025년 2월 4.3%로 급락했고, 미국 내 점유율도 6월 48.7%에서 7월 42%로 하락, 8월엔 38%까지 떨어지며 2017년 10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매출 타격은 실적 직격탄으로 이어져, 2025년 2분기 자동차 부문 매출은 전년 대비 16% 급감한 166억6100만 달러에 그쳤으며, 인도량도 13.5% 줄었다(38만4122대). 전체 순이익 역시 16% 감소(11억7000만 달러)했고, 주당순이익(EPS)도 월가 기대에 미달했다. 이는 정치적 논란, 중국·유럽 로컬 브랜드 공세, EV 세액공제 종료, 소비 둔화 등 복합 요인에서 비롯됐다.
로봇 대량생산 ‘빨간불’…생산 차질 심각
머스크가 내건 옵티머스 생산목표(2025년 5000대)는 사실상 좌초 위기에 놓였다. 2025년 7월 기준 생산량은 수백대에 불과하며, 엔지니어들은 배터리 수명, 관절 모터 과열, 하드웨어 통합 등 치명적 문제를 확인하고 중대한 재설계에 돌입했다. 프로젝트 책임자였던 밀란 코박(Milan Kovac) VP가 6월 퇴사하고, 자율주행·AI담당 아쇼크 엘루스와미(Ashok Elluswamy)가 총괄하게 되면서, 부품수급도 잠정 중단된 상태다.
테슬라는 2026년 5만~10만대, 2030년대 후반 연 100만대 양산을 목표로 제시했으나, 현재 옵티머스 로봇은 테슬라 공장에서 인간 노동자의 절반 효율에 그치고 있다. 부품신뢰성, AI-기계 통합, 고성능 보행·조작 시스템 등에서 추가 2개월 이상 개발기간이 불가피하다는 평가도 나온다.
로봇 시장 2050년 5조 달러…“성과 불확실성 여전”
글로벌 로봇시장 성장세는 가파르다. 모건스탠리(Morgan Stanley)는 2050년 기준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이 연간 5조 달러(약 6700조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고, 실제 2030년 전체 로봇산업 규모도 2180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GlobalData는 전망했다. 테슬라 역시 2025년 옵티머스 목표 단가를 2만~3만달러로 잡았으나, 실제 생산비는 5~6만 달러로 격차가 크고, 대량공급 현실화도 쉽지 않다.
“성장엽서인가, 신기루인가”…투자자 회의론 팽배
투자자 관점에서는 회의론이 확산된다. 테슬라 주가는 2025년 들어 19.8% 하락 후 마스터플랜 발표 이후 소폭 반등했으나, 연간 실적은 약 30% 감소 추정된다. 스티펠(Stifel) 등 시장 주요 애널리스트와 펀드매니저들은 “EV 사업이 정체된 상황에서 로봇 전환만으론 프리미엄 밸류에이션을 납득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보였다. Gerber Kawasaki CEO 등은 “머스크가 창립 미션인 ‘지속가능 운송’마저 포기했다”며 공격적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테슬라의 인간형 로봇 배팅은 자동차 기업에서 AI·로봇 플랫폼 기업으로의 극적 변신이라는 찬사와 함께, 과대포장·실행력 한계라는 비판이 동시에 공존한다. 테슬라 이사회는 “이 극적 전환을 성공시킬 유일한 인물은 머스크”라지만, 그 역시 CEO직 유임 보장은 명확치 않다. 로봇 생산·판매·기술·법규 등 복합적 난제가 해소되지 않는 한, EV 신화를 재현할 수 있을지는 불확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