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2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연구원 없애고 엔지니어만" xAI 직함 파격 개편…머스크發 실리콘밸리 조직문화 ‘지각변동’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일론 머스크가 자신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xAI에서 ‘리서처(Researcher, 연구원)’라는 전통적 직함을 공식적으로 삭제하고, 모든 기술 직원을 “엔지니어(Engineer)”로 통일한다고 선언한 조치가 글로벌 기술업계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머스크의 결정은 빅테크 업계 내 연구-엔지니어 직함 경계의 폐지라는 최근 조직문화 트렌드와 맞물려 있다.

 

xAI, 연구자와 엔지니어 구분 공식 폐지…”이원화, 실질적 의미 없다”


americanbazaar online, ndtv 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이번 변화는 xAI 엔지니어 아디트야 굽타가 X(트위터)에 “리서처와 엔지니어를 모집한다”고 공지하자, 머스크가 직접 “이건 잘못된 명칭”이라며 공개적으로 정정한 뒤 즉각 적용됐다.

 

머스크는 “’연구자’라는 명칭은 본질적으로 2단계 엔지니어링 시스템을 부드럽게 포장한 것”이라며 “이제 모든 기술 인력은 오직 ‘엔지니어’로만 통칭한다”고 밝혔다. 그는 연구자 직함을 “책임이 낮고 허세스러운 학계 용어”라고 비판했고, 실제 스페이스X의 엔지니어링 중심 조직 모델이 혁신 추진에 효과적이었다고 강조했다.

 

AI 산업계, “경계 무너진다” 평평한 조직구조 확산


머스크의 조치는 최근 실리콘밸리 AI업계에서 빠르게 퍼지는 직함 단순화 흐름과 궤를 같이 한다.

 

오픈AI는 이미 모든 기술직을 “Member of Technical Staff(기술 직원)” 한 가지로 통일했고, 사장 그렉 브록먼은 2023년 회의에서 “연구자와 엔지니어로 사람을 나누고 싶지 않았다”고 말했다.

 

앤스로픽도 똑같이 ‘기술 직원’ 단일 직함을 채택하며, “대형 언어모델의 등장으로 연구-엔지니어 경계가 붕괴됐다”고 밝혔다.

 

타임즈 오브 인디아 등 다수 매체는 “조직이 넓어질수록 위계구조를 줄여 민첩성과 실행력을 극대화하려는 실리콘밸리의 조직문화 변화가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연구’보다 ‘실행’ 중시…진짜 혁신 막나?

 

머스크는 “우주는 지상 모든 대학 연구실을 합친 것보다 훨씬 혁신적인 연구가 진행되는 곳”이라며, 이론적 연구보다는 실질적인 시스템 구현 역량을 중시해야 한다는 자신의 엔지니어링 철학을 명확히 했다.

 

익명의 AI업계 관계자들은 “머스크가 제품과 프로토타입이라는 결과에 집착해 임팩트 창출을 중시한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연구 업무 자체를 없애면 근본적 혁신이나 AI 안전 연구 등 장기적 리스크 탐색이 약화될 수 있다는 반론도 있다. 실제로 구글, 메타, 엔비디아 등 빅테크 AI 조직은 여전히 R&D(Intensive Research & Development) 연구개발 인력을 별도 트랙으로 뽑는다.

 

구글 알파벳 임직원 구성 보고서에 따르면, 구글 브레인의 경우 2024년 기준 전체 소속원 2000명 중 53%가 연구직 타이틀을 유지하는 등 다양한 역할 체계가 병존하고 있음이 조사됐다.

 

채용 실상은 ‘이중화’…명칭 통일, 실제 업무구분은 여전


흥미롭게도, xAI의 공식 채용 페이지에는 여전히 “AI Research 경력” 및 “엔지니어링&리서치” 사업부가 별도 표기돼 있어, 내부적으로 정작 역할의 이원화는 남아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오픈AI 역시 자유로운 직함 사용을 강조하지만, 실제로는 ‘리서치 과학자(Research Scientist)’,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같은 이중 채용을 지속하고 있다는 비판이 업계 내 존재한다.

 

결국 중요한 건 명칭이 아닌 ‘실행력과 혁신’

 

대다수 전문가들은 직함에 얽매이지 않는 유연한 조직문화가 혁신을 이끈다는 데 동의하지만, “정교한 연구와 공격적 실천의 균형이야말로 AI 혁신의 핵심”이라고 조언한다.

 

AI업계 전문 분석기관 인포월드 리서치는 “2024년 기준, 글로벌 AI 스타트업 중 62%가 조직직함을 단순화하거나 평면화하는 실험을 하고 있으나, 본질적 목적은 ‘책임소재 명확화’와 ‘실행력 제고’에 있다”고 지적했다.

 

실리콘밸리 인공지능 스타트업 한 창업자는 “직함이 연구원인지, 엔지니어인지가 혁신의 본질을 정하는 것이 아니다"면서 "중요한 것은 결국 성과와 사용자 임팩트라는 ‘실행’이 결국 회사를 평가한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테슬라, 오토파일럿 치명사고로 4600억원 배상 첫 판결…"대규모 집단소송 가능성"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플로리다 연방 배심원단이 테슬라의 자율주행차 '오토파일럿' 시스템을 둘러싼 2019년 치명적 사고와 관련해, 테슬라에 3억2900만달러(한화 약 4600억원) 배상을 명령했다. BBC, CNBC, CNN 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미국 연방법원에서 반자동(부분 자율) 운전자 보조기술 관련해 테슬라가 배상 책임을 공식적으로 진 첫 사례로, 자율주행차 산업과 교통안전법, 테슬라의 미래까지 미칠 파장이 상당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사고 경위 및 법원의 판단 2019년 4월 25일, 플로리다 키 라르고에서 조지 맥기가 운전하던 테슬라 모델S는 오토파일럿 모드로 주행 중 휴대폰을 줍기 위해 한눈을 판 사이 교차로를 시속 62마일(약 100km)로 진입해 정지 신호와 빨간 점멸등을 무시, 주차된 SUV(쉐보레 타호)를 들이받았다. 이 사고로 당시 22세였던 나이벨 베나비데스 레온이 사망했고, 남자친구인 딜런 앙굴로는 수차례 골절과 뇌 손상, 심각한 정신적 트라우마를 입었다. 피해자 측 법률팀은 "테슬라가 오토파일럿을 고속도로 전용으로 설계했음에도 불구, 일반도로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방치했다"며 "마케팅에서도 '인간보다 더 안전하다'고

[빅테크칼럼] "연구원 없애고 엔지니어만" xAI 직함 파격 개편…머스크發 실리콘밸리 조직문화 ‘지각변동’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일론 머스크가 자신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xAI에서 ‘리서처(Researcher, 연구원)’라는 전통적 직함을 공식적으로 삭제하고, 모든 기술 직원을 “엔지니어(Engineer)”로 통일한다고 선언한 조치가 글로벌 기술업계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머스크의 결정은 빅테크 업계 내 연구-엔지니어 직함 경계의 폐지라는 최근 조직문화 트렌드와 맞물려 있다. xAI, 연구자와 엔지니어 구분 공식 폐지…”이원화, 실질적 의미 없다” americanbazaar online, ndtv 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이번 변화는 xAI 엔지니어 아디트야 굽타가 X(트위터)에 “리서처와 엔지니어를 모집한다”고 공지하자, 머스크가 직접 “이건 잘못된 명칭”이라며 공개적으로 정정한 뒤 즉각 적용됐다. 머스크는 “’연구자’라는 명칭은 본질적으로 2단계 엔지니어링 시스템을 부드럽게 포장한 것”이라며 “이제 모든 기술 인력은 오직 ‘엔지니어’로만 통칭한다”고 밝혔다. 그는 연구자 직함을 “책임이 낮고 허세스러운 학계 용어”라고 비판했고, 실제 스페이스X의 엔지니어링 중심 조직 모델이 혁신 추진에 효과적이었다고 강조했다. AI 산업계, “경계 무너진다”

[빅테크칼럼] 머스크의 뉴럴링크, BCI 임상 영국 '상륙'…뇌신경 혁명 가속에 몸값 90억달러 '돌파'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뇌신경 인터페이스 스타트업 뉴럴링크(Neuralink)가 미국에 이어 영국에서 본격적으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칩 임상실험에 착수했다. 블룸버그, 텔레그래프, CNBC 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이번 임상은 영국 의료 규제당국의 승인을 득한 뒤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병원(UCLH) 및 뉴캐슬 어폰 타인 병원 NHS 트러스트 등과의 파트너십으로 진행된다. 참가자들은 중증 척수 손상 또는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 등으로 전자기기 사용이 사실상 불가능한 신경계 장애 환자들로, 최대 7명이 대상이다. 뉴럴링크 N1 칩, 머리카락보다 얇은 128개 실로 '생각'을 잡다 임상시험의 핵심인 뉴럴링크 N1 칩은 10펜스짜리 동전 크기 수준이지만, 칩에 연결된 128개의 머리카락보다 얇은 실(threads)이 뇌 속 신경세포에 연결된다. 각 실에는 총 1000개 이상의 전극이 장착돼 뇌에서 발생하는 신경 신호를 실시간으로 기록하고, 이를 디지털 명령으로 변환한다. 이를 통해 환자들은 오직 생각만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 전자기기의 커서 이동, 타이핑, 심지어 비디오게임 플레이까지 수행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