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8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머스크의 xAI, 구글·메타에서 AI 슈퍼스타 54명 영입…AI 인재전쟁 불붙다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xAI가 글로벌 빅테크 기업인 구글과 메타에서 총 54명의 핵심 AI 엔지니어를 공격적으로 영입하며 AI 인재 전쟁에 새로운 불씨를 지폈다.

 

The Information, Times of India, Mitrade 등의 보도에 따르면, 2023년 이후 xAI에 합류한 구글 출신 엔지니어만 최소 40명에 달하며, 2025년 1월 이후 메타 출신도 14명이나 영입된 것으로 언론은 보도했다. 특히 19명의 구글 엔지니어가 2024년에 xAI에 합류했고, 인재 영입 공세는 올해에도 멈추지 않고 있다.

 

머스크는 X(구 트위터)를 통해 “경쟁사가 제공하는 미친 듯이 높은 초기 보상 없이도, 실력에 따른 초실력주의(hyper merit-based) 문화가 xAI의 섭외 성공 비결”이라고 직접 밝힌 바 있다.

 

xAI는 개개인의 탁월한 성과에 따라 상당한 보상 인상 및 시가총액 성장의 잠재력을 제시하며, 엔지니어들의 동기 부여와 충성도를 확보하는 전략을 쓰고 있다. 머스크는 “많은 메타 출신 엔지니어들이 xAI에 합류하고 있고, xAI가 메타보다 훨씬 더 높은 시장가치 성장 가능성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비즈니스인사이더 등 해외 주요 매체에 따르면, xAI는 2025년 1월 이후 메타에서 14명의 AI 인재를 적극 영입했으며, 이는 실리콘밸리 전역에서 벌어지는 AI 핵심 인재 쟁탈전 흐름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반면 메타도 100명 이상의 오픈AI 직원에 직접 접촉해 10명을 영입하는 등, 빅테크 기업 사이의 인재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xAI의 슈퍼컴퓨터 ‘콜로서스(Colossus)’가 지원하는 AI 모델 ‘Grok 4’는 2025년 7월 출시 당시 1.7조 파라미터와 최고 수준의 추론능력, 25만6000토큰 콘텍스트 윈도우, 금융·의료·법률·과학 등 핵심 분야의 깊은 지식 네트워크를 갖춘 멀티모달 모델로 눈길을 끌었다.

 

이러한 기술적 혁신은 실력 중심의 인재 유치 전략과 결합돼, xAI가 오픈AI, 구글, 메타 등 기존 빅테크 기업들을 압도하는 모델 개발에 박차를 가하게 됐다.

 

그러나 공격적인 영입만큼 내부 도전도 만만치 않았다. xAI 공동창립자 이고르 바부시킨(Igor Babuschkin)은 8월 “인공지능 안전성에 집중하기 위해” 회사를 떠났다고 밝혔다. 또 공동창립자인 카일 코식(Kyle Kosic)은 오픈AI로, 인프라 엔지니어링 책임자 우다이 루다라주(Uday Rudarraju)도 이직하며 내부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빅테크 업계 전문가들은 “초실력주의 문화와 기업 미션, 차별화된 보상 구조가 AI 핵심 인재 유치의 결정적 요소”라고 평가하며, xAI와 같은 혁신 기업의 등장이 글로벌 AI 생태계 경쟁의 판도를 뒤바꾸고 있다고 진단했다.

 

AI 산업 패러다임의 중심에서 xAI가 보여주는 인재 확보와 기술 혁신의 시너지는 앞으로도 전 세계 인공지능 경쟁 구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중국, 세계 최초 고속 수직 이착륙(VTOL) 드론 개발 "모든 군함이 항공모함 가능"…해군력의 판도 흔들다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중국이 세계 최초로 제트 엔진을 탑재한 고속 수직 이착륙(VTOL) 드론을 개발하며 해군 항공 기술에서 또 한 번의 진일보를 이뤘다. 이 획기적 기술은 기존의 활주로 의존에서 벗어나 모든 군함을 소형 항공모함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국제 군사 전문가들로부터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SCMP, 신화통신, The War Zone의 보도에 따르면, 베이항대학교의 왕야오쿤과 추유팅 부교수 연구팀이 10년에 걸친 독자적 연구로 완성한 해당 드론은 거친 해상 상황에서도 일반 군함 갑판에서 발사, 고속 장거리 순항 비행으로 전환될 수 있어 국내외에서 ‘플랫폼 혁신’을 이끌었단 평가다. 기술 혁신과 설계 역량 이 VTOL 플랫폼은 적층 제조(3D 프린팅) 기술의 적극적 도입으로, 기존 금속 가공 방식으로는 구현할 수 없는 복합 구조·경량 설계가 가능해졌다. 실제로 드론 내부에는 무게 분배와 구조적 안정성, 공기역학적 효율을 극대화한 디자인이 적용됐으며, 이는 극한의 수직 이착륙 및 고속 전환 스트레스에도 뛰어난 안전성을 확보해준다. 또한 디지털 통합 프로세스와 사이버-물리 시스템의 융합 덕분에 추력 벡터링 등 비행모드 제어가 실시간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