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3.9℃
  • 맑음강릉 11.0℃
  • 흐림서울 3.8℃
  • 구름많음대전 8.2℃
  • 구름많음대구 9.5℃
  • 구름많음울산 12.2℃
  • 구름많음광주 8.5℃
  • 구름많음부산 13.3℃
  • 흐림고창 9.1℃
  • 흐림제주 12.8℃
  • 구름많음강화 3.5℃
  • 구름조금보은 6.7℃
  • 구름조금금산 8.5℃
  • 흐림강진군 9.3℃
  • 구름많음경주시 11.0℃
  • 구름많음거제 13.3℃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칼럼] 머스크의 스페이스X, 20년간 수십억달러 연방 계약에도 세금 '제로'…테슬라·MS 등과 형평성 및 연방계약 기업의 책임론 '부상'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지난 20여년간 미 연방정부로부터 수십억달러의 계약을 따냈음에도, 연방 법인세를 거의 내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연방계약 쏟아진 스페이스X… 정작 법인세는 ‘0’


뉴욕타임스와 UNN, Business Standard 등의 주요 매체들의 스페이스X 내부 문건, 전문가 진단을 종합하면, 2002년 설립 이후 회사가 누적한 막대한 영업손실(2021년말 기준 50억달러 이상)을 미래 과세소득과 상계함으로써 연방 법인세를 회피할 수 있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손실상계 제도(Net Operating Loss Carryforward)는 원래 기한이 있었으나, 2017년 트럼프 행정부 시절 해당 손실공제 기한이 폐지돼 사실상 무기한 과세소득과 상계할 수 있는 '치트키'가 됐다.

 

특히 2020년 연방계약 규모는 14억달러로, 스페이스X 전체 매출의 84%에 달했다. 2021년엔 17억달러(76%)가 정부계약에서 발생했다. 미 국방부, NASA 등 국가 안보·우주 분야 주요 고객과의 연계는 스페이스X를 글로벌 독점 수준의 사업자로 만들었으나, 그 대가인 세금 환류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스타링크로 매출 폭증… 법인세 ‘전무’


머스크는 올해 스페이스X 매출이 155억달러로 전망된다고 밝혔으며, 이는 2023년 74억달러에서 두 배 넘게 증가한 수치다. 스타링크 서비스가 성장 동력으로, 2023년 기준 250만명 → 2024년 600만명으로 폭증하며 올해만 80억달러의 매출을 거둘 것으로 추정된다.

 

세금구조 ‘합법’이지만 “의도와 달라”… 정부감시단체도 지적


법적으로는 영업손실이 큰 기업이 미래 소득과 손실을 상계해 세금을 줄이거나 면제받을 수 있다. 그러나 스페이스X의 경우 대기업이 안정적으로 성장·이익을 거두면서 이를 지속적으로 활용한다는 점에서 적절성 논란이 일고 있다.

 

Danielle Brian 정부감독프로젝트(POGO) 이사는 “본래는 어려운 기업을 돕기 위한 제도인데, 이렇게 잘나가는 기업이 쓰는 건 제도 취지와 다르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테슬라·마이크로소프트는 수십억 달러 납부


스페이스X와 달리 마이크로소프트는 2024년 회계연도 연방 법인세로 141억달러를 납부했다고 밝혔으며, 테슬라 역시 배터리·친환경보조금 덕에 2020년 이후 연간 10억달러 이상 정부 보조금을 받고는 있으나, 스페이스X만큼 세금 면제 논란에 휩싸이진 않았다.

 

스페이스X는 주정부·해외에는 일부 세금 납부


스페이스X는 2021년 해외에 48만3000달러, 주정부에 7만8000달러의 소득세를 납부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는 연방 법인세와 비교하면 ‘새발의 피’에 가깝다.

 

미국 정부는 머스크의 스페이스X가 국가 안보·우주산업 중추임을 인정하면서도, 공공계약 대가가 충분히 사회에 환류되는지 '공정 과세' 논란이 거세질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칼럼] 지구인이 외계인 찾기 시도한 날(11월 16일)…'아레시보'와 외계 생명체 교신 5W1H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11월 16일은 지구인들의 우주역사에서 의미있는 날이다. 외계인의 존재를 찾기위한 작은 몸짓을 시도한 날이기 때문이다. 1974년 11월 16일 푸에르토리코의 아레시보 천문대에서 인류는 최초로 외계 지적 생명체를 대상으로 한 전파 메시지를 발송했다. 이 메시지는 이때부터 '아레시보 메시지(Arecibo message)'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당시 코넬 대학교의 프랭크 드레이크 박사가 작성하고, 칼 세이건 등 과학자들의 협력을 통해 완성됐다. 1. 아레시보 메시지를 보낸 이유와 의미 아레시보 메시지는 외계 지적 생명체와의 교신을 위한 진지한 시도라기보다는, 당시 과학 기술의 발전을 기념하고 과시하기 위한 목적이 더 컸다. 메시지가 향한 허큘리스 대성단(M13)은 지구로부터 약 2만5000광년 떨어져 있어, 단순계산으로도 메시지가 도달하는 데만 2만5000년이 소요되며, 응답을 받기까지는 총 5만년이 걸린다. 실질적인 교신보다는 인류의 기술적 성과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이벤트였다. 메시지는 2380MHz 주파수 대역으로 초당 10비트의 속도로 전송됐으며, 총 전송 시간은 약 3분이었다. ​​ 메시지는 총 1,679비트의 이진수로 구성

[The Numbers] 제주항공, 3분기 550억원 영업손실…무안공항 참사 여파 '재무리스크'로 휘청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제주항공이 2025년 3분기 연결기준으로 55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심각한 경영난에 직면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한 3883억원에 그쳤고, 환율 상승과 경쟁 심화가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올해 3분기 평균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항공기 임차료와 정비비 등 달러 결제 비용이 크게 늘었고, 중·단거리 노선에서 항공사 간의 공급 과잉으로 가격 경쟁이 치열해진 점이 수익성 악화에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 지난해에 비해 일본 노선이 지진설 여파로 성수기 효과를 보지 못하고, 10월에 추석 연휴가 포함된 점도 실적 저하에 한몫했다.​ 재무적 타격은 3분기 실적에만 그치지 않는다. 2024년 12월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인해 항공사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이 부각됐다. 승객과 유족에 대한 보상 한도는 약 1조4720억원(10억 달러 상당)으로 책정됐으며, 이는 비행기 사고 관련 국제 약관인 몬트리올 협약에 따른 최고 한도액이다. 제주항공 측은 초기 예매금액 환불과 더불어, 약 2421억원(1억6500만 달러)에 달하는 단기 차입금 상환 부담까지 겹치며 단기적인 현금 유동성 위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