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4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AtoZ] 스페이스X, 기술적 난관 속 화성 임무 2028년으로 연기…이탈리아와 상업적 파트너십으로 신시장 개척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X가 그간 야심차게 추진해온 화성 탐사 프로젝트의 일정을 대폭 조정했다.

 

Space.com, Indiatimes, OpenTools, Tech Times, arstechnica 등의 보도에 따르면, 초기 2020년대 중반으로 예상됐던 스타십(Starship)의 화성 무인 및 유인 임무가 기술적 장애물로 인해 각각 2028년과 2030년으로 늦춰진 것이다.

 

머스크는 최근 발표에서 2026년 말까지 스타십의 화성 비행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밝혔다. 이는 연료 궤도 보급 시스템 미검증, 상부 단계 착륙 실패, 열 차폐 기술 확보 등 해소해야 할 핵심 과제가 많기 때문이다.

 

최근 진행된 Flight 9 시험 비행에서 스타십은 첫 단계 분리에 성공했지만, 재진입 과정에서 제어를 잃고 파괴됐다. 이와 같은 실패가 쌓이며 궤도 내 연료 보급과 완전한 로켓 회수라는 필수적인 기술 성취가 늦어지고 있다.

 

머스크는 2028년 무인 임무, 2030년 유인 임무를 보다 현실적인 시점으로 보고 있으며, "많은 요소와 여건들이 제대로 맞아떨어져야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고 진단했다.

 

한편, 이탈리아 우주청(ASI)과의 파트너십 체결은 스페이스X의 상업적 화성 서비스 진출을 공식화했다. 이 협약으로 이탈리아는 최초 상업용 스타십 화성 비행에 식물 성장 실험, 기상 관측 스테이션, 방사선 센서 등 과학 실험 장비를 탑재할 예정이다.

 

ASI 테오도로 발렌테 회장은 "이탈리아가 화성으로 간다!"며 협약의 의미를 강조했고, 스페이스X의 그윈 쇼트웰 사장은 "첫 상업 파트너십으로 앞으로 더 많은 계약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번 일정 조정과 이탈리아 협력 계약은 스페이스X의 기술적 도전과 동시에 상업적 생태계 확장의 한가운데 있음을 상징한다. 스타십은 완전자재사용 로켓임에도 불구하고 심우주 임무에 필요한 기술 완성도가 아직 부족하며, 다양한 시험·개선 작업이 지속되고 있다. 국제 우주산업계에서도 이 프로젝트는 높은 관심 속에 관찰되고 있다.

 

머스크는 장기적으로 20~30년 내 자급자족 가능한 화성 도시 건설을 목표로 하며, 이번 일정 변경은 행성간 여행의 막대한 기술적 난이도와 현실적 접근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스페이스X는 빠른 시일 내 시험 비행 성공과 기술적 진보를 통해 열악한 로드맵을 극복하겠다는 입장이다.

 

결국 스페이스X의 화성 임무는 기술적 도전과 현실적 일정 조정 속에서도 국제 협력을 통한 상업적 진출에서 진전을 보이고 있다. 2028년 무인 및 2030년 유인 임무 성공 여부가 우주 진출 경쟁의 중요한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한국투자파트너스, 스페이스X에 138억원 투자…xAI·앤트로픽·람다 이어 '우주산업' 베팅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한국의 대표 벤처캐피털 한국투자파트너스가 일론 머스크가 창업한 글로벌 우주발사업체 스페이스X에 1000만 달러 규모의 구주를 매입하는 투자에 나섰다. 이 투자는 스페이스X 기업가치가 약 4000억 달러(한화 약 549조원)로 평가되는 가운데 진행됐다. 한국투자파트너스의 컨티뉴에이션 펀드와 US 시그니처 투자조합이 각각 500만 달러씩 분담해 투자했으며, 스페이스X 임직원이 보유한 주식 매입에 초점을 맞췄다. 스페이스X는 2002년 설립 이후 재사용 가능한 팰컨9 로켓을 비롯해 우주 발사체 개발과 위성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를 주력 사업으로 성장시켜왔다. 현재 약 7000개 이상의 위성이 지구 저궤도에 배치돼 있으며 전 세계 약 500만 가구가 스타링크 서비스를 이용 중이다. 스타링크는 스페이스X 전체 매출의 80% 이상을 차지하며, 2025년 매출은 약 123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투자파트너스는 과거부터 미국 AI 스타트업에도 꾸준히 투자해왔다. 지난해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AI 스타트업 xAI에 약 1000만 달러를 투자한 데 이어, 올해는 오픈AI 출신 연구진이 만든 앤트로픽, AI 클라우드 기업 람다에도 각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