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3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머스크의 ‘매크로 하드’ 출범…AI 앞세워 '마이크로 소프트'에 도전장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인공지능 스타트업 xAI가 '매크로하드(Macrohard)'라는 새로운 AI 전용 소프트웨어 회사를 출범하며 전 세계적으로 대대적인 채용 공고를 발표했다.

 

머스크는 “매크로하드는 인간이 아닌 AI가 전적으로 운영하는 최초의 소프트웨어 기업”이라며,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Corporation)에 대한 직접적인 도전임을 분명히 했다.

 

Times of India, Benzinga, Moneycontrol, Business Insider, The Hans India, India Today, Precedence Research에 따르면, xAI 공동 창립자 우유화이 우(Yuhuai Wu)는 9월 23일 X(옛 트위터)에 “컴퓨터 제어 에이전트 신규팀 빌딩”을 위한 채용 소식을 알렸다. 해당 팀은 차기 인공지능 모델 Grok 5와 매크로하드의 개발을 동시에 추진하며, 프로젝트 마감 목표를 2025년 말로 제시했다.

 

실제 미국 특허청에 따르면 xAI는 지난 8월 1일 '매크로하드' 상표 출원까지 완료한 상태다. 이 브랜드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이름을 ‘장난스럽게’ 뒤집어 ‘Macro-hard’라는 이름을 내세웠으나, 프로젝트 내용은 결코 장난이 아닌 매우 실질적이다.

 

머스크는 “소프트웨어 회사는 하드웨어를 만들 필요가 없어 AI로 완전히 복제할 수 있다”며, “수십, 수백개의 AI 에이전트가 생산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기존의 운영시스템을 혁신할 수 있다”고 강변했다.

 

미국과 인도 등 글로벌 주요 언론도 매크로하드와 Grok 5 프로젝트에 주목하며 보도했다. 매크로하드는 xAI가 개발 중인 Grok 5 AI 모델과 함께 올해 말까지 완성해 출시할 계획이다.

 

Grok 5는 xAI Colossus 슈퍼컴퓨터에서 20만개 이상의 엔비디아 H100 GPU를 활용해 학습될 예정이며, 멀티모달 데이터 실시간 처리와 윤리적 추론 기능을 강화해 ‘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인공지능 일반지능) 실현까지 목표로 한다. Grok 4는 이미 추상적 사고능력 벤치마크 ARC-AGI-2에서 15.9%의 점수를 기록하며 글로벌 AI 경쟁에서 단연 상위를 차지했다.

 

이러한 ‘AI 전용’ 소프트웨어 기업 비전에 대해 머스크는 자신의 X 팔로워 2억명에게 “매크로하드,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회사를 함께 만들어주세요!”라며 공개적으로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의 견고한 시장 지위를 넘어서기는 쉽지 않다. 2025년 기준 마이크로소프트의 연 매출은 2520억 달러(한화 약 338조원)에 달하며, 클라우드 부문 매출만 1380억 달러(약 185조원)를 기록한다. Office 365 사용자는 4억명을 넘어섰고, Windows 11은 이미 전 세계 윈도우 기기의 31%를 차지한다.

 

AI와 클라우드 분야에서 Microsoft Copilot이 Fortune 500 기업의 65%에 도입될 만큼 생산성과 혁신을 주도하고 있으며, 생성형 AI 기업 프로젝트 시장 점유율은 62%, 클라우드 AI 활용률은 45%에 이른다.

 

글로벌 AI 시장 전체 역시 2025년 3910억~6380억 달러로 평가되고 있으며, 2030년이면 1.8조~3.7조 달러를 돌파할 전망이다. AI 도입이 각종 생산성 소프트웨어, 금융, 헬스케어,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본 옵션’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매크로하드의 출범은 머스크 특유의 산업 파괴력과 시장 선도 의지, xAI의 기술 혁신력이 결합된 결과물이다. 비록 초기 단계지만, 머신러닝·AI 에이전트 협업 등 새로운 기술 패러다임이 주류 소프트웨어 시장에 어떤 충격을 줄지 귀추가 주목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56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엔비디아 젠슨 황 아들 스펜서 황, "휴머노이드 로봇 미래는 두 발 걷기 아닌 양손 조작”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세계 최대 AI 기업 엔비디아가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를 차세대 핵심 성장축으로 집중 육성하는 가운데, 젠슨 황 CEO의 장남 스펜서 황이 10월 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휴머노이드 콘퍼런스 2025’ 산업 패널 토론에 참여해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발전 방향과 국내외 기술 협력 전망을 제시했다. 스펜서 황은 2022년 엔비디아에 입사해 로보틱스 부문 프로젝트 리드를 맡고 있으며, 이번 방한에는 여동생 매디슨 황도 동행해 삼성전자 R&D캠퍼스와 수원 생산기술연구소를 방문했다. ZDNet Korea, CNBC, Markets and Markets, IFR에 따르면, 스펜서 황은 토론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발전의 핵심은 두 발 보행이 아닌 양손 조작 능력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산업 현장과 물류 창고에서 피킹 작업, 다단계 조립과 같은 손을 이용한 작업이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의 가장 현실적 출발점이라며 “현재는 범용성을 위해 데이터를 축적하는 중요한 단계”라고 밝혔다. 실제 물류·산업현장 작업 데이터가 로봇 학습과 성능 향상에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로봇이 반복적이고 위험하거나 무거운 작업을 대신하며 현장 근로자들로부터 긍

[빅테크칼럼] 구글, AI 챗봇 ‘제미나이 포 홈’ 탑재 스마트홈 공개…아마존 ‘알렉사+’와 경쟁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구글이 2025년 10월 1일(현지시간) 스마트홈 브랜드 네스트(Nest)의 신제품을 공개하며, 생성형 인공지능(AI) ‘제미나이 포 홈(Gemini for Home)’을 탑재한 스마트홈 기기 대중화에 나섰다. 이에 앞서 하루 전 공개된 아마존의 ‘알렉사+’ 탑재 신형 홈 기기들과의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구글 2025 공식 블로그, 토큰포스트,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이번에 공개된 구글 신제품은 2K 해상도의 네스트 캠 인도어·아웃도어 카메라, 신형 네스트 도어벨, 360도 음향을 지원하는 소형 홈 스피커 등이다. 특히 ‘제미나이 포 홈’ AI 플랫폼은 기존의 구글 어시스턴트를 완전히 대체하며, 사용자가 대화하듯 자연스럽게 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점이 핵심이다. 구글은 향후 지난 10년 간 판매된 네스트 디스플레이, 스피커, 카메라, 도어벨 등 모든 스마트홈 기기에도 ‘제미나이 포 홈’을 적용할 계획이다. ‘제미나이 포 홈’은 복잡한 대화 문맥을 이해하고 다단계 명령 수행이 가능하며, 사용자 반복 없이 한결 자연스러운 음성 대화를 통해 스마트홈 전반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스피커에 있는 재료를 알려주면 AI가 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