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7 (목)

  • 구름많음동두천 6.0℃
  • 구름많음강릉 13.1℃
  • 구름많음서울 8.4℃
  • 흐림대전 7.6℃
  • 대구 11.5℃
  • 맑음울산 14.3℃
  • 구름많음광주 10.4℃
  • 구름조금부산 15.2℃
  • 구름많음고창 10.7℃
  • 제주 13.9℃
  • 흐림강화 8.2℃
  • 흐림보은 6.6℃
  • 흐림금산 8.1℃
  • 구름많음강진군 10.6℃
  • 구름조금경주시 14.0℃
  • 구름많음거제 14.1℃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머스크 xAI, 엔비디아 전문가 영입해 ‘월드모델’ 개발 박차…AI 게임·로봇 혁신 본격 '시동'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인공지능 스타트업 xAI가 게임과 로봇 등 실세계 환경을 이해하는 ‘월드 모델’ AI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xAI는 최근 엔비디아 출신의 AI 연구원 지샨 파텔(Zeeshan Patel)과 이단 허(Ethan He)를 전격 영입, 나아가 메타와 구글 등 글로벌 빅테크와의 ‘현실 인지형’ AI 시장 주도권 경쟁에 본격 나섰다.​

 

India Today, The Times of India, Business Insider, FT, Longbridge News에 따르면, 월드 모델이란 단순 텍스트 생성에서 한 단계 진화해, AI가 실제 물리 환경과 객체 상호작용을 실시간으로 이해하고 시뮬레이션하는 기술이다. 기존 비디오 생성 AI(OpenAI Sora 등)가 훈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영상을 예측하는 방식이라면, 월드 모델은 물리 법칙, 공간 내 움직임, 인과관계 등 ‘현실의 동역학’까지 학습해 AI의 ‘물리적 직관’을 구현한다.​

 

xAI가 게임산업에 월드 모델 기술을 우선 적용하려는 것은 글로벌 AI 시장 내 실사용 사례 확보라는 전략적 포석이다. 머스크는 X(옛 트위터)를 통해 “내년 말까지 AI가 직접 생성·설계한 혁신적 게임을 출시하겠다”고 공언했다.

 

xAI는 실제로 연봉 18만~44만달러(약 2억4000만~6억원)의 ‘AI 옴니팀’과, 시간당 45~100달러로 ‘게임 튜터’를 채용하는 등 대규모 기술 인재 영입에 나서고 있다. ‘게임 튜터’는 xAI 챗봇 Grok이 게임 디자이너처럼 생각하고 설계할 수 있도록 전문 피드백을 제공하는 역할이다.​

 

또한 월드 모델 기술은 장기적으로 로봇, 제조, 자율주행, 인프라 관리 등 다양한 산업 AI 시스템에도 적용될 전망이다. 엔비디아는 최근 FT와의 인터뷰에서 “월드 모델의 잠재 시장 규모가 전 세계 경제에 맞먹는 수준이 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이는 AI가 소프트웨어를 넘어 로봇 등 실물제품 영역까지 확장될 것임을 시사한다.​

 

한편 xAI는 최근 대규모 모델 업그레이드가 적용된 이미지·비디오 생성 AI ‘Grok Imagine’을 출시해, 현재 이용자에게 무료로 제공 중이다. 해당 모델은 Mixture-of-Experts(MoE)와 Aurora 생성기술 등 고도화된 프레임워크로 실감 나는 영상을 초고속으로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xAI의 대규모 GPU 클러스터(20만대 규모)을 활용한 다중 모달 AI도 개발 진행 중이다.​

 

다만 업계 일각에선 AI가 실제 게임 산업에 미칠 영향에 대해 다소 회의적 시각도 존재한다. 게임 개발사 Larian Studios의 마이클 다우스(Michael Douse) 대표는 “현 산업의 본질적 문제는 기술력이 아니라 창의력과 리더십 부재”라고 지적, “최고의 게임은 수학적으로 깔끔한 루프가 아니라, 창의적 표현과 비전에서 나온다”고 밝혔다.​

 

월드 모델을 둘러싼 글로벌 AI 업계 각축전은 한층 달아오르고 있다. 실제로 엔비디아는 올해만 xAI와 미스트랄 등 AI 기업에 10억 달러 이상을 투자했고, xAI 역시 200억 달러(약 27조원) 규모의 대규모 자금 조달 라운드를 진행 중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65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맞춤형 알고리즘, 학습 왜곡과 과도한 자신감 부추긴다…"현실 인식의 함정에 빠진 이용자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개인화 알고리즘은 학습 과정에서 정보를 제한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학습 능력을 저해하고, 잘못된 정보에 대해 과도한 자신감을 부추기는 것으로 밝혀졌다. news.osu, sciencedaily.com, sciencedirect.com, combinatorialpress에 따르면, 이 연구결과는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연구진이 2025년 11월 발표한 논문에서 밝혀졌으며, 346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개인화 알고리즘이 제공하는 정보가 사용자의 인지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연구 개요 및 방법 연구진은 '수정 같은 외계인'이라는 가상의 대상들을 여섯 가지 특징으로 나누어 참가자들이 이를 학습하도록 설계했다. 참가자들은 회색 상자로 가려진 외계인 특징을 클릭하여 확인해야 했으며, 개인화 알고리즘이 탐색할 특징을 제한하자 참가자들은 전체 정보 중 일부만 선택적으로 관찰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 결과, 테스트 시 새로운 사례를 올바르게 분류하는 데 실패했고, 오답임에도 불구하고 더 높은 자신감을 나타냈다. 연구 주도자인 Giwon Bahg는 "잘못된 선택을 할 때조차도 정답을 맞혔을 때보다 더 자신감을 보였다"며 심각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