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0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랭킹연구소] 기술특례 상장후 시총 증가 순위 TOP10…알테오젠·리가켐바이오·파크시스템스·펩트론·레인보우로보틱스 順

기술특례 상장사 10곳 중 7곳 시총 감소…시총 반토막도 40% 육박
기술특례 상장사 245곳 중 172곳 시총 감소…기업 가치 하락 심화
알테오젠 시총 1만4612.5% ‘최다 증가’…올리패스는 97.4%↓
CEO스코어, 2005~2024년 기술특례 상장사 시총·실적 조사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2005년 도입된 기술특례 상장제도가 올해로 20주년을 맞이한 가운데, 기술특례 상장사 10곳 중 7곳의 시가총액(시총)이 상장 이후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총이 절반 이하로 급감한 곳도 전체의 40%에 육박했다.

 

기술특례 상장사 중 시총이 가장 크게 늘어난 기업은 바이오 의약품 개발사인 알테오젠으로, 1만5000%에 가까이 폭증했다. 반면 RNA(리보핵산) 치료제 개발사 올리패스는 시총이 97%나 급감하면서 대조를 보였다.

 

28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2005년부터 지난해까지 기술특례로 상장한 기업 248곳 중 상장 폐지된 3곳을 제외한 245곳을 대상으로 시총, 실적 등을 조사한 결과, 지난 15일 기준 시총이 상장일 당시보다 감소한 기업이 172곳(70.2%)이나 됐다.

 

기술특례 상장 제도는 우수한 기술력 등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이 상장할 수 있도록 상장 기준을 낮춰주는 제도다. 기업이 보유한 기술이 유망하다고 판단될 경우 재무제표상 적자라도 상장 기회를 제공한다.

 

기술 창업 벤처 등을 지원하기 위해 2005년부터 도입된 이 제도를 통해 지난해까지 248개 기업이 상장했고, 245개 기업이 생존해 있다. 이 중 제약 업종이 전체의 19.2%(47곳)로, 비중이 가장 컸다. 이어 ▲연구개발 19.2%(47곳) ▲SW·IT 17.1%(42곳) ▲의료기기 9.0%(22곳) ▲전기전자 6.5%(16곳) ▲반도체 6.1%(15곳) ▲기계·장비 5.7%(14곳) 순이었다. 이들 기술특례 상장사의 시총 합산은 15일 기준 76조6410억원에 달했다.

 

그러나 기술특례 상장사 245곳 가운데 시총이 늘어나 기업 가치 제고에 성공한 업체는 73곳(29.8%)에 불과했고, 나머지 업체들은 시총이 감소하면서 큰 타격을 입었다. 이처럼 대다수 기술특례 상장사의 시총이 감소한 것은 실적 부진에 따른 것이다.

 

 

지난해 기술특례 상장사 중 영업손실을 기록한 기업은 208곳으로, 전체의 84.9%에 달했다. 특히 기술특례로 상장한 지 10년이 지난 기업 15곳 중에서 알테오젠, 이수앱지스, 코렌텍 등 3곳을 뺀 12곳(80.0%)이 지난해 영업 적자를 기록하면서 상장 기간과 상관없이 주요 기업의 실적이 전반적으로 저조했다.

 

이 중 팹리스(반도체 설계) 기업 파두는 지난해 950억원의 영업 적자를 내며 가장 부진했다. 이에 따라 파두의 시총 규모도 상장 당시 1조3263억원에서 15일 기준 5669억원으로 57.3%(7594억원)나 쪼그라들었다.

 

실적 부진으로 시총이 50% 넘게 줄어든 업체도 상당수에 달했다. 상장일 대비 시총이 반토막 난 기업은 전체의 38.4%(94곳)로, 기술특례 상장사 10곳 중 4곳이나 됐다.

 

업종별로는 전기전자 관련 기업의 시총 감소가 두드러졌다. 전기전자 업종의 시총 감소 기업 비율은 93.8%나 됐다. 이어 반도체 업종이 93.3%로 두 번째로 높았고 ▲서비스 83.3% ▲기타 바이오 83.3% ▲SW·IT 76.2% ▲정밀기기 75.0% ▲운송장비·부품 75.0% 등으로 감소폭이 컸다.

 

반면, 기술특례 상장 제도 도입 초기 큰 수혜를 입었던 제약과 의료기기 업종의 경우, 시총 감소 기업 비율이 각각 70.2%, 68.2%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감소폭이 작았다.

 

기업별로는 기술특례 상장 이후 시총이 가장 크게 늘어난 곳은 알테오젠이었다. 지난 2014년 12월 상장한 알테오젠의 시총은 상장일 당시 1200억원에서 이달 15일 기준 17조6485억원으로, 1만4612%(17조5285억원)나 폭등했다.

 

이어 리가켐바이오가 시총 증가 2위에 랭크됐다. 리가켐바이오는 글로벌 항암제 시장에서 주목 받고 있는 ADC(항체-약물 접합체) 개발사다. 지난 15일 시총 규모가 3조7452억원으로, 상장일 대비 3608.3%(3조6442억원) 증가했다.

 

이어 ▲파크시스템스 3050.4%(1조5668억원) ▲펩트론 1969.9%(4조1728억원) ▲레인보우로보틱스 1341.1%(5조4342억원) ▲HLB제약 673.9%(5679억원) ▲퓨쳐켐 550.7%(3421억원) ▲인트로메딕 534.8%(2119억원) ▲나이벡 518.2%(1940억원) ▲보로노이 420.5%(1조5598억원)도 시총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

 

 

반면, 시총이 가장 크게 줄어든 업체는 올리패스로 나타났다. 올리패스의 시총은 상장 당시 3441억원에서 이달 15일 기준 90억원으로, 97.4%(-3351억원)나 급감했다. 또한 게놈 기반 헬스케어 기업인 셀레스트라 시총도 94.6%(-2373억원)나 쪼그라들었다.

 

이어 ▲에스씨엠생명과학 -93.3%(-3715억원) ▲유틸렉스 -92.0%(-5221억원) ▲프리시젼바이오 -91.7%(-3351억원) ▲네오이뮨텍 -91.2%(-1조2875억원) ▲지놈앤컴퍼니 -91.1%(-8264억원) ▲카이노스메드 -90.6%(-3726억원) ▲더바이오메드 -89.9%(-2074억원) ▲바이젠셀 -89.3%(-5009억원) 등도 시총이 크게 감소했다.

 

한편 2005년 이후 20년 새 기술특례로 상장했다가 현재 상장 폐지된 기업은 셀리버리, 유네코, 어스앤에어로스페이스 등 3곳이다.

 

2018년 ‘성장성 특례 상장 1호’로 상장한 셀리버리는 단백질 소재 바이오 신약 개발사다. 코로나 팬데믹 당시 치료제 개발 기대감에 힘입어 한때 시총이 3조원까지 치솟기도 했던 셀리버리는 신사업 투자 실패에 따른 재정 악화로 끝내 자본 잠식에 빠지며 올 3월 상장 폐지됐다.

 

특수 목적용 기계 제조사 유네코는 2018년 상장했다. 2021년 횡령·배임 혐의로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한 유네코는 이후 경영 악화 등으로 감사 의견 거절을 받아 2023년 1월 상장 폐지됐다.

 

2017년 상장한 어스앤에어로스페이스는 항공기 부품 제조사다. 2020년 3월 자본 잠식 등으로 인해 거래가 수년째 정지됐다가 감사 의견 거절을 받으면서 지난해 말 상장 폐지됐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82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서울 재건축 ‘핵심지 수주戰' 운명의 날 언제?…용산정비창 6/22·잠실우성 7/12·개포우성7차 8/23·압구정2구역 9월末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서울 재건축 시장의 ‘최대어’로 꼽히는 용산정비창1구역, 압구정2구역, 개포우성7차, 잠실우성123차 등 4대 핵심 사업지의 시공사 선정 레이스가 본격화되고 있다. 각 구역별로 참여 건설사와 선정 총회 일정, 수주전 양상에 대한 팩트 기반의 상세 분석을 정리한다. 특히 시공사 선정 조합총회가 언제인지를 알아봤다. 용산정비창1구역은 포스코이앤씨와 HDC현대산업개발의 2강이 접전중이다. 시공사 선정 총회가 6월 22일이다. 지난 4월 15일 입찰 마감 결과, 포스코이앤씨와 HDC현대산업개발이 각각 500억원의 입찰보증금을 내고 단독 참여, 유효경쟁이 성립됐다. 두 회사 모두 조합원 표심을 잡기 위해 홍보관 개설 및 합동설명회 등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포스코이앤씨는 ‘오티에르 용산’, HDC현대산업개발은 ‘더 라인 330’을 단지명으로 제안했다. 공사비는 포스코이앤씨(원안설계 기준 8614억원)가 HDC현대산업개발(9244억원)보다 저렴, 공사기간은 HDC현대산업개발이 더 짧다. 조합은 공사비 분쟁 방지 조항을 입찰지침에 명시해 분쟁 소지를 사전에 차단했다. 잠실우성1·2·3차는 GS건설 단독참여로 7월 12일 선정 총회를 진행한다.

개포우성7차 재건축 ‘수주戰’ 아닌 '고소戰'…조합원-대우건설-삼성물산, 맞고소·개인정보 침해 '논란'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서울 강남구 개포우성7차 재건축 사업을 둘러싸고 조합원과 대우건설, 삼성물산 홍보팀간 갈등이 극한으로 치닫고 있다. 최근 현장 홍보 과정에서 조합원과 대우건설 측 홍보 담당자가 만나는 장면을 삼성물산 홍보팀이 촬영해 고발 조치했고, 이에 조합원이 개인정보 침해를 주장하며 경찰에 신고하는 등 맞고소 사태로 번지고 있다. 현장서 불거진 ‘촬영-고발-신고’…홍보전쟁 점입가경 19일 업계 및 조합원 커뮤니티에 따르면, 최근 개포우성7차 재건축 조합원과 대우건설 홍보 담당자가 현장에서 만나는 장면을 삼성물산 홍보팀이 촬영, 이를 근거로 고발 조치에 나섰다. 이에 해당 조합원은 “동의 없이 현장 촬영을 당했다”며 개인정보 침해를 주장, 인근 지구대에 신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소식은 인스타그램, 네이버 카페, 블로그 등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빠르게 확산됐다. 한 인스타그램 이용자는 “홍보팀끼리 서로 감시하고, 조합원까지 촬영해 고발하는 상황이 어처구니없다”고 지적했다. 네이버 부동산 카페에는 “조합원 사생활 보호는 어디로 갔나”, “홍보전이 아니라 정보전쟁” 등 비판이 잇따랐다. 맞고소 사태…경찰, 개인정보 침해 여부 조사 착

“빌 게이츠·트럼프·아이유·리사 쓴다는 VVIP카드”…연회비 700만원 ‘현대 아멕스 블랙카드’ 국내 첫 출시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현대카드가 전 세계 VVIP의 상징으로 통하는 아메리칸 익스프레스(Amex)의 최상위 등급 ‘센츄리온 카드(일명 블랙카드)’를 국내에 독점 출시했다. 연회비만 700만원에 달하는 이 카드는 빌 게이츠, 도널드 트럼프, 아리아나 그란데, 제이지 등 글로벌 유명 인사들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내에서는 아이유, 블랙핑크 리사 등이 소지한 것으로 전해진다. “선택받은 0.001%만”…초청제·심사 거쳐 극소수에만 발급 센츄리온 카드는 전 세계 30여 개국에서만 극소수 고객에게만 초청장을 보내 발급하는 초프리미엄 카드다. 부와 지위, 사회적 영향력까지 고려해 엄격한 심사를 통과해야 하며, 연회비는 700만원(가족카드 200만원)으로 국내 기존 프리미엄 카드의 3~4배 수준이다. 1999년 첫 발행된 이 카드는 검은색 바탕 플레이트에 아멕스의 상징인 로마군 지휘관 ‘센츄리온’이 금색으로 새겨져 있다. 일본, 홍콩 등 아시아 주요국에서는 이미 발급됐지만, 한국에서 공식 발급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담 컨시어지·글로벌 특권…“VVIP만을 위한 혜택” 센츄리온 카드 소지자에게는 전담 매니저(컨시어지)가 배정돼 전 세계 호텔, 항공

한남3구역 PM수주·원전 MOU '겹호재'에 한미글로벌, 주가 30% 폭등…"저평가 매력·글로벌 호재에 추가 상승세"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한미글로벌이 서울 용산구 한남3구역 재개발 건설사업관리(PM) 용역 수주와 한국전력기술과의 원전사업 협력 양해각서(MOU) 체결이라는 연이은 호재로 19일 장 초반 주가가 30% 가까이 급등했다. 국내 최대 도시정비 사업지와 글로벌 원전 시장 진출 기대감이 맞물리며 투자심리가 급격히 달아오르고 있다. 한남3구역 PM 수주…“사업관리 능력·기술력 인정받아” 한미글로벌은 이날 한남3구역 재개발 사업의 PM 용역을 공식 수주했다고 밝혔다. 한남4구역에 이어 인접 3구역까지 연속 수주에 성공한 것이다. 한남3구역은 38만6395㎡ 부지에 5800여 가구를 짓는 한남뉴타운 내 최대 규모 사업지로, 한미글로벌은 착공 전 '프리콘(Pre-con)' 단계의 사업성 검토·일정관리·설계 대안·공사비 검증 등 전반적 PM 업무를 맡는다. 일반적으로 인접 구역에 동일 PM사가 연속 선정되는 사례가 드문데, 한미글로벌이 한남4구역에서 보여준 사업관리 역량과 공사비 협상, 기술제안 능력이 높게 평가된 결과라는 게 업계 설명이다. 한전기술과 원전사업 MOU…첨단기술·글로벌 시장 공략 18일에는 한전기술과 원전사업 협력 MOU를 체결했다. 양사는 디지털 트윈

서울 동북권, 베드타운서 개발거점 '탈바꿈'…창동역세권·디지털바이오시티·GTX-C호재까지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서울 동북권이 오랜 ‘베드타운’ 이미지를 벗고, 미래 산업과 문화가 융합된 복합 개발 거점으로 도약하고 있다. 도봉구를 중심으로 창동·상계 일대에 대형 프로젝트가 속속 추진되면서 지역의 위상이 달라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부동산 시장 변화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핵심은 창동역세권과 차량기지 일대를 중심으로 한 첨단산업 복합 개발이다. 서울시는 창동·상계 지역을 동북권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육성하기 위해 △서울아레나 복합문화시설 △서울 디지털바이오시티(S-DBC) △씨드큐브 창동 △창동역 복합환승센터 조성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등을 본격 추진 중이다. 이 중에서도 가장 주목받는 것은 서울 디지털바이오시티 개발사업이다. 창동차량기지 일대 약 24만7,000㎡ 부지를 오는 2030년까지 미래첨단산업 복합단지로 조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서울시는 바이오 중심 전략을 넘어 AI, 로봇, 레이저, 문화콘텐츠 등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유치 대상을 확대할 방침이다. 또 다른 핵심 사업인 서울아레나는 오는 2027년 완공을 목표로 조성 중이다. 약 2만8,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실내 공연장으로, 총 사업비 3,120억원이 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