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1 (금)

  • 맑음동두천 7.6℃
  • 구름많음강릉 12.4℃
  • 맑음서울 8.3℃
  • 맑음대전 8.9℃
  • 맑음대구 12.2℃
  • 맑음울산 11.2℃
  • 맑음광주 7.9℃
  • 맑음부산 10.1℃
  • 맑음고창 7.3℃
  • 맑음제주 11.6℃
  • 구름많음강화 6.8℃
  • 맑음보은 7.7℃
  • 맑음금산 10.5℃
  • 맑음강진군 4.8℃
  • 맑음경주시 10.4℃
  • 맑음거제 10.2℃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대기업 부장급 확 늘었다 …"20대 줄고 50대 늘어" 고령화 '뚜렷'

2년 새 30세 미만 직원수 1만5844명 감소, 50세 이상에 역전돼
IT전기전자, 통신, 금융, 유통 등 젊은 직원 비중 하락 두드러져…이마트 20대 직원 비중 한자릿수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주요 대기업 임직원 구성에서 ‘30세 미만’은 줄고 ‘50세 이상’이 늘어나는 노후화 현상이 확인됐다. 대기업 열에 아홉은 30세 미만 직원이 30% 이하인 반면, 세 곳 중 한 곳은 50세 이상이 30% 이상을 차지했다.

 

저출생·고령화 영향으로 인구 구조가 변하는 가운데, 기업들의 채용 방식이 대규모 공채 위주에서 경력 위주로 바뀌고 신사업 진출도 둔화되며 채용 형태 또한 달라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0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매출 순위 500대 기업 가운데 코로나 팬데믹 이후인 2021년부터 2023년까지 3년 연속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제출한 141개사 중 임직원 세대별 현황을 공개한 123개사의 연령대별 임직원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들 기업의 전체 임직원은 2021년 137만9406명에서 2023년 141만7401명으로 3만7995명 증가했는데, 30세 미만은 32만2575명(23.4%)에서 4.9%(1만5844명) 감소한 30만6731명(21.6%)으로 집계됐다. 

 

반면, 같은 기간 50세 이상 임직원은 28만4061명에서 31만1484명으로 9.7%(2만7424명) 늘었다. 전체 임직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8%에서 22.0%로 1.4%포인트 증가하며 20대 직원수를 역전했다. 조직의 허리격인 30~50세 임직원은 2021년 76만4423명에서 2023년 79만 7040명으로 4.3% 증가하며 비중이 55.4%에서 56.2%로 소폭 상승했다. 

 

업종별로 보면 특히 IT전기전자, 통신, 금융, 생활/유통, 식음료 및 제약 등에서 ‘20대 감소, 50대 증가’ 현상이 비교적 뚜렷했다. 

 

IT전기전자 업종에서는 2021년에서 2023년 새 30세 미만이 2만8178명 줄어들어 전체 직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4.2%에서 5.3%포인트 하락한 28.9%가 됐다. 이에 비해 50세 이상은 1만6192명 증가하며 비중도 16.6%에서 19.8%로 3.2%포인트 상승했다. 

 

생활용품 및 유통업에서는 30세 미만이 1만429명에서 7960명으로 2469명 감소, 비중도 15.1%에서 12.5%로 2.6%포인트 감소했다. 

 

은행, 보험, 증권 등 금융업의 경우 50세 이상 임직원 비중이 30세 미만 직원보다 두 배 이상 많다. 조사 기간엔 30세 미만 직원이 256명 줄면서 비중이 10.0%에서 9.9% 낮아졌는데, 50세 이상은 2271명 증가하며 전체 임직원 내 차지하는 비중도 22.1%에서 24.0%로 1.9%포인트 상승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자동차, 철강, 조선/기계, 석유화학, 에너지, 건설 등 전통적으로 50세 이상 임직원 비중이 높은 중후장대 업종에서는 30세 미만 직원이 늘고 50세 이상은 감소했다. 

 

자동차 업종에서는 30세 미만이 4만7488명에서 5만7381명으로 1만명 가까이 증가( 18.7%→21.2%)했고, 50세 이상은 28.9%에서 27.0%로 감소했다. 

 

조선, 철강, 기계 업종에서도 30세 미만 직원이 9.4%에서 12.1%로 2.7%포인트 상승했다. 건설업 또한 30세 미만 비중이 10.1%에서 11.8%로 늘었으며, 철강업은 14.8%에서 17.0%로 커졌다. 

 

기업별로 보면 30세 미만 직원 수가 가장 많이 줄어든 곳은 삼성전자였다. 2021년 8만9897명에서 2023년 7만2525명으로 1만7372명(-19.3%) 줄어들며 20대 직원 비중이 33.7%에서 27.1%로 6.6%포인트 하락했다. 

 

이어 LG디스플레이는 같은 기간 30세 미만 직원이 3만4929명에서 2만8493명으로 6436명(-18.4%) 감소했다. 30세 미만 비중도 49.4%에서 42.9%로 6.5%포인트 떨어진 가운데, 50세 이상은 1061명에서 37.8% 늘어난 1461명으로 집계됐다. 

 

세 번째는 삼성전기로, 30세 미만 직원이 2021년 1만8048명에서 2년 후 1만3932명으로 4116명(-22.8%) 줄었고, 20대 비중도 48.4%에서 40.1%로 8.3%포인트 하락했다. 

 

네 번째는 SK하이닉스로 30세 미만 직원이 1만1934명에서 9833명으로 2101명(-17.6%) 감소, 비중도 31.1%에서 24.7%로 6.4%포인트 낮아졌다. 50세 이상은 1815명에서 2921명으로 60.9% 증가, 전체 직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7%에서 7.3%로 높아졌다. 

 

이마트는 조사 기간 동안 전체 직원이 2만7590명에서 2만5131명으로 8.9%(-2459명) 감소했는데, 그 중 30세 미만 직원이 65.7%(1616명)를 차지했다. 이에 따라 이마트 20대 직원 비중은 14.8%에서 한 자릿수인 9.9%까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사 기업 중 30세 미만이 전체의 10% 이하면서 50세 이상 임직원이 이들보다 세 배 많은 곳은 22개사였다.

 

20대 대비 50세 이상 임직원이 가장 많은 기업은 기아였다. 기아는 30세 미만 직원수가 2021년 1017명에서 2023년 2539명으로 150% 가까이 늘었다. 다만 50세 이상이 전체 직원의 절반 이상(55.4%)을 차지하며 30세 미만 직원(7.1%) 수의 7.8배에 달했다. 

 

이어 롯데쇼핑이 6.5배(50세 이상 42.5%, 30세 미만 6.5%)를 기록했고, 코웨이 5.9배(50세 이상 26.2%, 30세 미만 4.4%), 에쓰오일(S-Oil) 5.4배(50세 이상 43.6%, 30세 미만 8.1%), 삼성중공업 5.2배(50세 이상 30.3%, 30세 미만 5.8%), 한화오션 5.1배(50세 이상 34.1%, 30세 미만 6.7%), HD현대삼호 5.1배(50세 이상 39.5%, 30세 미만 7.8%) 순으로 나타났다. 롯데쇼핑을 제외하면 고숙련 노동이 필요한 기업에서 20대 직원 비중이 낮았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5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불황에 살아남아야 강한 브랜드"…신동아·대저건설 '휘청'에 분양 ‘빅 브랜드’로 쏠린다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주택시장에서 대형건설사의 브랜드 파워가 재조명 받고 있다. 최근 치솟는 공사비에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만기 이슈 등이 맞물려 중견·중소 건설사가 잇따라 부도에 처하는 등 건설업 전반에 위기감이 감돌자 대형건설사의 안정성이 주목받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최근 3년 간 종합건설업체 폐업 신고건수는 ▲2022년 261곳 ▲2023년 418곳 ▲2024년 516곳 등 해마다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올해에도 채 1분기를 지나지 않은 시점에 63빌딩을 시공한 신동아건설을 비롯해 경남지역 2위의 대저건설, 시공능력 83위의 대우조선해양건설 등이 잇따라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수요자들의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다 보니 청약시장에서 브랜드 아파트로의 수요 쏠림이 두드러지는 모습이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자료를 보면 올 1~3월(10일 기준) 전국 분양단지 중 시공능력평가순위 상위 10개 건설사가 공급한 브랜드 아파트는 총 6곳으로, 일반공급 3800가구 모집에 총 8만9047명이 몰려 1순위 평균 23.4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중견·중소

[공간차트] 서울 '국민평형' 14억원 넘었다…25개구별 국평 평균가 순위, 서초구 31억>강남구 27억>송파구 20억 順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토지 거래 허가 구역 해제 이후 서울지역의 부동산 가격이 상승추세인 가운데 서울 전체 아파트 평균 가격도 2025년 2월 기준 14억원을 돌파했다. 특히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 중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의 국민평형 가격이 3년 3개월 만에 모두 평균 20억원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플랫폼 직방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서울의 전용면적 84㎡인 이른바 국민평형 아파트의 평균 거래가격은 14억3895만원으로 전월(13억6859만원) 대비 5.14% 올랐다고 17일 밝혔다. 직방이 데이터 집계 기준으로 삼은 2020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가격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국평 아파트가 가장 비싸게 거래된 곳은 서초구로 31억4043만원에 달했다. 이어 2위 강남구 27억634만원, 3위 송파구 20억2813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서초구는 래미안원베일리, 아크로리버파크, 래미안퍼스티지, 반포자이 등의 거래가 이뤄지며 평균 가격을 끌어올렸다. 한강변 , 브랜드, 우수한 학군 등이 어우러져 고급 주거지로서 높은 가격대를 형성했다. 강남구 역시 개포동 래미안블레스티지, 개포동 디에이치아너힐즈, 삼성동 래미안라클래시

HDC현대산업개발, 올해 도시정비 마수걸이···4400억원 규모 ‘원주 단계주공 재건축’ 수주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HDC현대산업개발은 3월 15일 진행된 원주 단계주공아파트 재건축정비사업 시공자 선정총회에서 새로운 시공사로 선정됐다. 이날 시공자 선정총회에서는 참석 조합원 440명이 투표하였으며, HDC현대산업개발이 386표(87.7%)를 득표했다. 원주 아이파크의 독창적인 외관 디자인은 단계동의 유래인 '단(壇)이 섞인 봉우리에서 모래와 물이 계곡을 형성하며 하천으로 흘러내려 하천 바닥이 붉게 보인다'라는 점에서 착안하였으며, 봉우리, 계곡, 모래와 물을 모티브로 한다. HDC현대산업개발은 원주 아이파크를 통해 대형 중앙잔디광장과 수공간, 3.3km 산책로, 다양한 테마정원 등 치악산의 사계를 담은 품격 있는 조경을 선보일 예정이다. 또한, 첨단 기술을 적용한 주차 시스템과 친환경 에너지 시스템 등 HDC현대산업개발만의 차별화된 기술력을 통해 원주 최고의 주거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다. 원주 단계주공아파트 재건축정비사업은 강원도 원주시 단계동 792번지 일대 지하 3층~지상 최고 29층, 15개 동, 총 1560가구 규모로 계획됐다. 대지면적 약 8만5410㎡, 연면적 약 23만6000㎡에 공사비는 4369억원에 달한다. 제2영동고속도로와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