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메리츠금융지주(메리츠금융) 최대주주인 조정호 회장의 주식재산이 2월 20일 기준 12조원을 돌파했다. 메리츠금융 종목의 보통주 1주당 주가가 12만원을 넘어서면서 조 회장의 주식평가액도 12조원 대에 첫 진입했다.
조정호 회장의 주식평가액은 작년 초만 해도 국내 주식부호 1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주식가치의 40%에도 못 미쳤지만, 이달 20일에는 91% 수준까지 따라잡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최근 1년 새 조정호 회장의 주식재산은 6조 넘게 불어났지만, 이재용 회장은 1조6000억원 넘게 감소해 희비도 교차했다.
한국CXO연구소에 따르면 조정호 회장은 메리츠금융 지분을 2023년 4월 중순경부터 현재까지 9774만7034주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지분을 보유한 조 회장의 주식평가액은 작년 초만 해도 5조7475억원으로 5조원대 수준으로 평가됐었다.
이후 작년 1월 23일에는 6조505억원으로 6조원대에 진입했고, 같은 해 2월 2일과 2월 23일에는 각각 7조84억원, 8조739억원으로 각각 7조원대, 8조원대로 올라섰던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다 6개월 정도 흐른 작년 8월 20일에 9조416억원으로 9조원대로 높아지더니 같은 해 10월 14일에는 10조1363억원으로 10조원대 주식재산 반열에 합류했다. 올해 2월 4일에는 11조452억원으로 11조원대로 진입하더니, 지난 20일에는 12조228억원으로 처음으로 12조원대에 진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조정호 회장의 주식가치가 12조원을 넘긴 배경에는 메리츠금융의 주가 상승이 결정적이었다. 작년 연초 때만 해도 메리츠금융은 보통주 1주당 주가(종가)가 5만8800원으로 5만원대 후반대였다. 그러다 같은해 1월 16일(6만1100원)→2월 1일(7만원)→2월 23일(8만2600원)→8월 19일(9만1000원)으로 보통주 한 주당 주식가치 앞자리가 달라졌다.
작년 10월 10일에는 보통주 1주당 주가가 처음으로 10만원을 찍었다. 11만원대에 진입한 것은 올해 1월 22일이다. 그러다 이달 20일에는 12만3000원으로 처음으로 12만원대로 올라서면서 조 회장의 주식가치도 12조원대로 달라졌다.
이달 20일 기준으로 국내에서 주식부자 1위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유지했다. 이 회장의 주식가치는 13조1848억원 수준이다.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10조4366억원으로 3위를 기록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조정호 회장의 거침없는 주식재산 증가세다. 작년 초만 해도 이재용 회장의 주식재산을 100으로 봤을 때 조정호 회장의 주식재산 비중은 38.7 수준에 불과했다. 불과 1년 전만 해도 이재용 회장과 조정호 회장의 주식평가액은 비교 대상이 되지 않을 정도로 격차가 크게 벌어졌었다. 말 그대로 초격차 수준이었던 것.
그러던 것이 점점 격차가 좁혀지더니 이달 20일에는 100대 91.2까지 따라잡았다. 이재용 회장과 조정호 회장의 주식평가액 격차는 8.8%로 불과 1년 새 한 자릿수 비율까지 추격하고 있는 모양새다. 이재용 회장은 불안한 1위 자리를 지키며 쫓기는 신세가 됐고, 조정호 회장은 빠른 속도로 1위 자리도 위협하는 다크호스로 떠오른 셈이다. 이달 20일 기준 이재용 회장의 주식가치는 13조1848억원 수준이어서 조정호 회장보다는 1조1000억원 정도 높은 상황이다.
문제는 조정호 회장이 갖고 있는 메리츠금융지주 종목과 함께 이재용 회장이 보유한 ▲삼성전자 ▲삼성생명 ▲삼성물산 세 곳의 주가가 향후 어떤 흐름을 보일지 여부다. 이 회장이 쥐고 있는 핵심 3개 주식 종목과 조 회장이 갖고 있는 메리츠금융지주의 주가 양상에 따라 앞으로 이재용 회장과 조정호 회장의 주식평가액 1위, 2위 자리도 달라질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 없다.
이와 별도로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의 이달 20일 기준 주식가치는 10조4366억원으로 10조 클럽에는 이름을 올렸다. 다만 조정호 회장의 주식재산 가치를 100이라고 하면 서정진 회장은 86.8 수준으로, 기존 2위에서 3위로 밀려났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국내 주식부자 1위 자리를 지켜오고 있는 이재용 회장은 1위를 지키기 위해 방어에 치중하고 있는데 비해 조정호 회장은 파죽지세로 공격하는 형국이 강하다”며 “이재용·조정호 회장의 주식가치 간극이 향후 5% 내로 더 좁혀질 경우 국내 주식부호 1위 자리가 뒤바꿔질 가능성은 한층 높아진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