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2 (토)

  • 맑음동두천 1.8℃
  • 맑음강릉 3.2℃
  • 맑음서울 2.5℃
  • 맑음대전 3.8℃
  • 맑음대구 4.0℃
  • 맑음울산 4.7℃
  • 맑음광주 3.4℃
  • 맑음부산 5.4℃
  • 구름조금고창 1.9℃
  • 구름많음제주 5.1℃
  • 맑음강화 0.1℃
  • 맑음보은 1.8℃
  • 맑음금산 2.0℃
  • 맑음강진군 4.8℃
  • 맑음경주시 5.0℃
  • 맑음거제 5.0℃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조정호 회장 주식재산 12조 돌파…1위 이재용 넘본다

메리츠금융 조정호 회장 주식가치 이달 20일 12조원대 진입…작년 초 대비 109.2% 퀀텀점프
작년 초 이재용 회장과의 주식격차 100대 38.7…이달 20일에는 91.2까지 간극 상당수 좁혀
메리츠금융지주 보통주 1주당 12만원 넘어선 것이 주효…1년 새 주식재산 6조원 이상 불어나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메리츠금융지주(메리츠금융) 최대주주인 조정호 회장의 주식재산이 2월 20일 기준 12조원을 돌파했다. 메리츠금융 종목의 보통주 1주당 주가가 12만원을 넘어서면서 조 회장의 주식평가액도 12조원 대에 첫 진입했다.

 

조정호 회장의 주식평가액은 작년 초만 해도 국내 주식부호 1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주식가치의 40%에도 못 미쳤지만, 이달 20일에는 91% 수준까지 따라잡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최근 1년 새 조정호 회장의 주식재산은 6조 넘게 불어났지만, 이재용 회장은 1조6000억원 넘게 감소해 희비도 교차했다.

 

한국CXO연구소에 따르면 조정호 회장은 메리츠금융 지분을 2023년 4월 중순경부터 현재까지 9774만7034주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지분을 보유한 조 회장의 주식평가액은 작년 초만 해도 5조7475억원으로 5조원대 수준으로 평가됐었다.

 

이후 작년 1월 23일에는 6조505억원으로 6조원대에 진입했고, 같은 해 2월 2일과 2월 23일에는 각각 7조84억원, 8조739억원으로 각각 7조원대, 8조원대로 올라섰던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다 6개월 정도 흐른 작년 8월 20일에 9조416억원으로 9조원대로 높아지더니 같은 해 10월 14일에는 10조1363억원으로 10조원대 주식재산 반열에 합류했다. 올해 2월 4일에는 11조452억원으로 11조원대로 진입하더니, 지난 20일에는 12조228억원으로 처음으로 12조원대에 진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조정호 회장의 주식가치가 12조원을 넘긴 배경에는 메리츠금융의 주가 상승이 결정적이었다. 작년 연초 때만 해도 메리츠금융은 보통주 1주당 주가(종가)가 5만8800원으로 5만원대 후반대였다. 그러다 같은해 1월 16일(6만1100원)→2월 1일(7만원)→2월 23일(8만2600원)→8월 19일(9만1000원)으로 보통주 한 주당 주식가치 앞자리가 달라졌다.

 

작년 10월 10일에는 보통주 1주당 주가가 처음으로 10만원을 찍었다. 11만원대에 진입한 것은 올해 1월 22일이다. 그러다 이달 20일에는 12만3000원으로 처음으로 12만원대로 올라서면서 조 회장의 주식가치도 12조원대로 달라졌다.

 

이달 20일 기준으로 국내에서 주식부자 1위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유지했다. 이 회장의 주식가치는 13조1848억원 수준이다.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10조4366억원으로 3위를 기록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조정호 회장의 거침없는 주식재산 증가세다. 작년 초만 해도 이재용 회장의 주식재산을 100으로 봤을 때 조정호 회장의 주식재산 비중은 38.7 수준에 불과했다. 불과 1년 전만 해도 이재용 회장과 조정호 회장의 주식평가액은 비교 대상이 되지 않을 정도로 격차가 크게 벌어졌었다. 말 그대로 초격차 수준이었던 것.

 

그러던 것이 점점 격차가 좁혀지더니 이달 20일에는 100대 91.2까지 따라잡았다. 이재용 회장과 조정호 회장의 주식평가액 격차는 8.8%로 불과 1년 새 한 자릿수 비율까지 추격하고 있는 모양새다. 이재용 회장은 불안한 1위 자리를 지키며 쫓기는 신세가 됐고, 조정호 회장은 빠른 속도로 1위 자리도 위협하는 다크호스로 떠오른 셈이다. 이달 20일 기준 이재용 회장의 주식가치는 13조1848억원 수준이어서 조정호 회장보다는 1조1000억원 정도 높은 상황이다.

 

문제는 조정호 회장이 갖고 있는 메리츠금융지주 종목과 함께 이재용 회장이 보유한 ▲삼성전자 ▲삼성생명 ▲삼성물산 세 곳의 주가가 향후 어떤 흐름을 보일지 여부다. 이 회장이 쥐고 있는 핵심 3개 주식 종목과 조 회장이 갖고 있는 메리츠금융지주의 주가 양상에 따라 앞으로 이재용 회장과 조정호 회장의 주식평가액 1위, 2위 자리도 달라질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 없다.

 

이와 별도로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의 이달 20일 기준 주식가치는 10조4366억원으로 10조 클럽에는 이름을 올렸다. 다만 조정호 회장의 주식재산 가치를 100이라고 하면 서정진 회장은 86.8 수준으로, 기존 2위에서 3위로 밀려났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국내 주식부자 1위 자리를 지켜오고 있는 이재용 회장은 1위를 지키기 위해 방어에 치중하고 있는데 비해 조정호 회장은 파죽지세로 공격하는 형국이 강하다”며 “이재용·조정호 회장의 주식가치 간극이 향후 5% 내로 더 좁혀질 경우 국내 주식부호 1위 자리가 뒤바꿔질 가능성은 한층 높아진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48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반포 원베일리 84㎡ 68억 찍었다...'국평도 평당 2억' 시대 '현실로'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서울 서초구 반포동 원베일리에서 국민평형 전용 84m²가 역대 최고가인 68억원 거래가 나왔다. 국평 최초 평당 2억원 시대를 열며 반포가 서울을 넘어 한국 최고의 주거지로의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금융당국이 대출 규제를 강화하고 나섰지만 토지거래허가제 해제의 후속 여파로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수요가 몰리며 초고가 단지에서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 이번에 68억원에 거래된 국민평형 전용 84m²의 경우 12층의 파노라마 한강뷰 물건인 것으로 알려졌다. 파노라마 한강뷰 물건은 국평중에서도 귀한 편이라 고가에 거래가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2월 중순경 계약이 이뤄진 만큼 한달 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거래내역이 올라올 전망이다. 반포동 인근 공인중개업소는 “68억원에 거래된 집은 한강 조망이 파노라마식으로 가능한 아파트인데 한강 조망권이 없는 집과는 15억원~20억원 이상 차이가 난다”며 “서울 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매수 문의가 오고 있다. 잠실에서 촉발된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여파가 반포까지 불기둥을 쏟아올린 상황이다"고 전했다. 반포지역 또 다른 공인중개업소는 "반포 원베일리는 20평대도 곧 40억원 거래가 이뤄질

[공간차트] ‘토허제’ 최대 수혜주 어디? 엘리트(엘스·리센츠·트리지움) '쑥'…동네는? 잠실·대치·삼성 順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서울시가 잠실, 삼성, 대치, 청담동(이하 '잠삼대청')지역의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해제하면서 해당 지역 아파트에 대한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 대표 프롭테크 기업 직방(대표 안성우)에서 운영하는 아파트 종합 정보 플랫폼 호갱노노가 실시간 방문자 데이터를 확인한 결과, 2월 12일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발표 직후 서울시 송파구 잠실동의 지역 방문자 수가 전날과 비교해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호갱노노에서 서울시 송파구 잠실동 지역을 방문한 이용자 수는 2월 11일 기준 7,747명이었지만 다음 날인 2월 12일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발표와 함께 1만6,842명이 몰렸다. 약 2.2배 늘어난 수치다. 그 밖에 강남구 대치동과 강남구 삼성동도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발표 직후 2배 가까이 방문자 수가 늘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발표 이후 주요 수혜 아파트 단지에 대한 호갱노노 이용자들의 관심 또한 높다. 특히 잠실의 ‘엘리트’라 불리는 잠실엘스, 리센츠, 트리지움 단지에 관심이 집중되는 분위기다. 잠실엘스는 토지거래허가구역해제 발표 전 일평균(2/1일~2/11일) 1,810명이 살펴봤지만 이후(2/12-2/19

"건설업계 ESG의 마중물 역할"…한미글로벌, '건설산업의 ESG, 지속가능성을 향한 전략' 발간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1위 PM(건설사업관리) 전문기업 한미글로벌(회장 김종훈)이 ‘건설산업의 ESG, 지속가능성을 향한 전략’ 서적을 발간했다. 이 서적은 한미글로벌과 서울대학교 안창범, 이종섭 교수가 공동으로 집필하였으며, 급변하는 글로벌 환경 속에서 건설업계가 ESG 경영을 실천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한다. 최근 ESG 경영이 기업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으면서 건설산업에서도 ESG 경영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 책은 건설기업의 ESG 경영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국내 건설산업이 ESG 경영을 보다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부에서는 ESG 경영의 기본 개념과 평가 방법을 설명하고, 제2부에서는 국내 주요 건설기업의 ESG 평가 분석과 해외 제도적 장치를 소개한다. 제3부에서는 건설산업을 위한 구체적인 ESG 경영전략을 제안하며, 마지막 제4부에서는 지속가능한 건설 ESG 생태계 구축을 위한 방향이 수록되어 있다. 건설업계의 ESG 대응이 아직 충분하지 않다는 점에서 이 책의 출간 의미가 크다. 일부 대형 종합건설사는 ESG 관련 공시 및 평가에 적

[공간차트] 배당금 부호순위 TOP10 '1위 이재용'…정몽구·정의선·이부진·홍라희·이서현·최태원·구광모·정몽준·김남호 順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24년에도 국내에서 가장 많은 배당금을 받은 인물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었다.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명예회장이 2위를 차지했으며,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그 뒤를 이었다.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홍라희 전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 이서현 삼성물산 전략기획담당 사장 등 삼성가(家) 세모녀도 1000억 이상을 수령해 배당부호 상위권에 올랐다. 국내 상장사들의 지난해 배당금 총액은 전년 대비 10.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SK하이닉스가 배당금을 두 배 가까이 늘리며 증가세를 주도한 가운데, 정부의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정책에 발맞춰 기업들이 배당 확대 전략을 펼친 것도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18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지난 14일까지 현금 및 현물배당을 발표한 560개 기업들의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2024년 배당금 총액은 40조709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36조8631억원보다 3조8458억원 증가해 약 10.4% 상승한 수치다. 560개 기업 중 285개 기업(51%)이 전년 대비 배당금을 늘렸으며, 94개 기업(16.7%)은 지난해와 동

현대건설, 5100억원 규모 사우디 송전선로 공사 수주…중동서 K-전력망 건설역량 '우뚝'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현대건설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두 건의 송전공사를 연이어 수주하며 전력망 건설 분야의 독보적인 경쟁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현대건설은 최근 사우디 전력청(SEC)이 발주한 ‘태양광 발전 연계 380㎸ 송전선로 건설 프로젝트’를 연달아 수주했다고 밝혔다. 사우디 메디나와 젯다 지역에 각각 건설하는 송전선로로, 총 공사금액은 약 3억8900만 달러(한화 약 5125억원) 규모다. 메디나 지역에 구축하는 ‘후마이지 태양광 발전 연계 380kV 전력망’은 사우디 서부 내륙의 후마이지에 건설 예정인 태양광 발전소에서 메디나 인근의 변전소까지 연결하는 311km의 송전선로다. 젯다 지역에 건설하는 ‘쿨리스 태양광 발전 연계 380kV 전력망’은 사우디 서부 해안 쿨리스에 건설 예정인 태양광 발전소에서 메카 인근의 기존 전력선로를 연결하는 180km의 송전선로로, 두 프로젝트 모두 2027년 11월 완공을 목표로 한다. 이번 프로젝트의 시공사 선정은 발주처인 사우디 서부 전력청이 초청한 일부 기업의 경쟁입찰을 통해 이뤄졌다. 50여 년간 40건의 사우디 송전선로 건설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사우디 전력청과 오랜 신뢰관계를 구축해온 현대건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