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랭킹연구소] 50대 그룹 오너일가 주식담보대출 순위 TOP30…홍라희·이부진·이서현·최태원·정몽준·구광모·서정진·조현범 順

삼성가 세 모녀가 끌어올린 주식담보대출…50대 그룹 1년새 2조원 급증
50대 그룹 오너일가 주식담보대출 현황 분석, 30명 늘어 129명 총 9조9200억
홍라희 68% 증가해 3조 육박, 이부진·이서현도 1조 돌파…나란히 1~3위 차지
태영, 현대백화점, 코오롱 등 담보비율 80% 이상 그룹도 6곳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국내 50대 그룹 오너일가 주식담보대출금이 1년 사이 2조8140억원이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너일가가 보유한 지분의 담보 비중도 1년 전 37.6%에서 올해 49.9%로 12.3%포인트 상승했다. 전체 주식담보대출 규모가 가장 큰 삼성의 대출금이 크게 증가한 것이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7월 1일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50대 그룹 오너일가 주식담보 현황(2025년 6월 20일 기준)을 조사한 결과, 절반인 25개 그룹에서 1명 이상이 담보 대출을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주식담보대출에 이름을 올린 오너일가 수는 전년 98명에서 올해 129명으로 늘었다. 이들이 실행한 담보대출 총액은 약 9조9204억원에 달한다.

 

대출금 증가액이 가장 큰 그룹은 단연 삼성이다. 삼성가 세 모녀 명의로 실행된 주식담보대출이 1년 전 2조9328억원에서 올해 5조1668억원으로 76.2% 늘었고, 담보 비중도 30.7%에서 55.5%로 상승했다. 이들 세 사람의 대출 총액은 전체 주식담보대출의 절반이 넘는다.

 

가장 큰 규모의 대출은 홍라희 리움미술관 명예관장이 일으켰다. 지난해 1조7800억원에서 68% 늘어난 2조9900억원을 대출했다. 주식담보 비중도 42.1%에서 79.1%로 상승했다.

 

장녀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은 5800억원에서 1조1040억원으로 90.3% 늘었다. 차녀 이서현 삼성물산 전략기획담당 사장도 5728억원에서 1조728억원으로 87.3% 증가했다. 이에 따라 세 모녀는 개인별 담보대출 금액 기준으로 나란히 1~3위를 차지했다.

 

영풍그룹은 대출금 증가율 기준으로 가장 두드러졌다. 대출받은 오너일가 수가 3명에서 18명으로 늘어난 가운데, 총 대출금은 195억원에서 4795억원으로 무려 2359% 급증했다.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 영향으로 풀이된다. 그 결과 담보 비중도 16.9%에서 85.2%까지 치솟았다.

 

담보비율이 80%를 넘어서는 그룹도 6곳이나 됐다. 태영, 현대백화점, 코오롱, 롯데, 영풍, 금호석유화학이 이에 해당한다.

 

이 중 태영그룹은 윤석민 회장과 부친 윤세영 창업회장이 보유 주식 전량을 공동 담보로 설정해 총 4000억원을 대출했다. 지분 100% 담보인 만큼, 주가 하락 시 추가 담보 요구나 상환 압박 가능성이 예상된다.

 

현대백화점그룹은 대출금은 비교적 적은 310억원이지만, 담보 비중은 태영과 마찬가지로 100%다. 지난해 정지선 회장이 단독으로 145억원을 빌렸는데 올해는 명단에서 빠졌다. 대신 그 가족 및 조카 등 6명이 정 회장으로부터 증여받은 현대그린푸드 지분을 담보로 각각 30억~80억원씩 대출을 실행해 전년보다 금액이 커졌다.

 

 

코오롱은 담보비중이 기존에도 85.9%로 높은 수준이었는데 99.1%로 더 상승했다. 이웅열 명예회장의 대출금이 600억원에서 649억원으로 8.2% 증가했다.

 

롯데는 대출금이 전년과 동일한 3174억원이지만, 담보비중은 72.3%에서 88.2%로 상승했다. 신동빈 회장이 2269억원에서 2429억원으로 대출 규모를 늘리면서 담보 주식 비중도 70.4%에서 86.4%로 높아졌다.

 

신영자 롯데재단 의장은 보유주식 상당량(163만8032주)을 매각하면서 대출금이 905억원에서 745억원으로 줄었지만 담보비중은 79.9%에서 100%로 확대됐다. 신 회장은 오너일가 개인별 대출금 기준 10위, 신 의장은 15위다.

 

금호석유화학은 주식담보대출금이 954억원에서 619억원으로 35.1% 줄었지만, 담보비중은 56.8%에서 80%로 크게 뛰었다. 박찬구 회장의 조카인 박철환 전 상무와 그의 두 누나가 대출을 모두 상환하면서 오너일가 대출자가 6명에서 3명으로 줄어든 영향이다. 박준경 총괄사장(박찬구 회장 장남)은 지난해부터 486억원의 대출을 유지하며 담보비중 100%를 기록하고 있다.

 

두산은 1명이 17억원을 빌렸던 전년과 달리 올해는 8명이 총 314억원을 대출해 증가율이 1741.1%에 달했다. 박정원 회장이 300억원 규모의 주식담보대출을 새로 진행한 데 이어, 박혜원 오리콤 부회장 등 5명이 공동 담보로 추가 대출을 일으킨 결과다.

 

반면 효성과 DB, SK 등은 담보대출 규모가 축소됐다.

효성 오너일가의 담보대출금은 7582억원에서 1973억원으로 70% 이상 감소했다. 조현준 회장은 4790억원에서 95.4%를 상환해 218억원의 대출금만 남았고, 조현상 사장도 보유주식을 일부 정리하며 2791억원에서 1754억원으로 줄였다. 담보비중도 55.2%에서 25.6%로 낮아졌다.

 

DB는 대출 총액이 3930억원에서 2453억원으로 37.6% 감소했다. 김남호 명예회장과 김주원 부회장은 전액 상환했고, 부친인 김준기 창업회장은 3210억원에서 2453억원으로 23.6% 줄였다.

 

SK는 대출자 수가 11명에서 8명으로 줄었고, 총액도 6117억원에서 5842억원으로 감소했다. 담보비중도 45.6%에서 40.6%로 낮아졌지만, 최태원 회장은 전년과 동일한 4895억원 규모의 주식담보대출을 유지하며 개인 기준 4위에 이름을 올렸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0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골드만삭스, 서울지점 주식부문 새 수장에 박지은…한국 주식시장 ‘글로벌 허브’ 부상 신호탄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박지은 본부장을 서울지점 주식부문 대표로 공식 선임했다. 이번 인사는 한국 주식 및 파생상품 시장의 위상이 아시아·태평양(아태) 지역에서 더욱 강화되고 있음을 방증하는 동시에, 글로벌 IB(투자은행) 업계의 ‘한국 키맨’ 교체로 주목받고 있다. 박지은 대표, “기관·연기금 파생상품 혁신 주도” 박지은 신임 대표는 국내 주식과 주식 기반 파생상품 사업을 총괄하며, 아태지역 주식 비즈니스 리더십 팀과 긴밀히 협력할 예정이다. 박 대표는 2018년 골드만삭스 홍콩 아태지역 본사에 부문장으로 합류한 뒤, 같은 해 서울지점으로 자리를 옮겼고 2021년 본부장으로 승진했다. 이번 인사 전에는 국내 기관투자자, 국부펀드, 연기금을 대상으로 주식 기반 파생상품을 제공하는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경제학·수학 학사(2010), 뉴욕대학교 금융수학 석사(2011)를 마친후 홍콩 소재 글로벌 IB에서 파생상품 분야 전문성을 축적하고, 2018년 골드만삭스에 합류한 금융분야 전문가이다. 골드만삭스 서울지점, ‘글로벌 자금’ 한국시장에 47억 달러 이상 투자 골드만삭스는 1992년

[이슈&논란] 강호동 농협중앙회장 1억원 수수 '의혹'에 경찰 내사 '착수'…핵심인물과 유찬형 부회장의 접촉 정황 드러나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이종화 기자]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이 1억원의 현금을 수수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경찰이 내사에 착수한 사실이 확인됐다. 이 사건은 단순한 금전 수수 의혹을 넘어 농협 조직 내 권력구도, 인사 갈등 등 다양한 파장을 예고하고 있어 더욱 세간의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경기신문 단독 취재에 따르면, 경찰은 “강 회장이 A씨로부터 현금 5000만원을 두 차례에 걸쳐 전달받았다”는 구체적 첩보를 입수하고 내사에 돌입했다. 해당 첩보를 뒷받침하는 참고인 조사가 이미 일부 진행된 것으로 파악됐다. 1억원을 건넨 것으로 지목된 용역업체 대표가 강 회장에게 협박성 문자를 보냈고, 이로 인해 농협유통의 입찰 공고가 무산됐다는 정황도 언론을 통해 드러났다. 특히 이번 사건의 핵심 인물인 A씨와 강 회장 최측근으로 분류되는 유찬형 전 농협중앙회 부회장이 최근 별도로 접촉한 사실도 드러나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복수의 농협 관계자에 따르면, 유 전 부회장은 사건 무마 또는 진술 회유 목적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다. 유 전 부회장은 처음에는 “A씨를 만난 적 없다”고 부인했으나, 이후 “개인적으로 안부를 나눈 자리였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랭킹연구소] 2분기 시총증가율 상위 TOP10…두산에너빌리티·HD현대중·삼성電·SK스퀘어·HD한국조선해양·한화에어로 順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2025년 3월말 대비 6월말 기준 2분기 국내 상장사 시가총액(시총)은 상승 바람을 탄 곳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장사 전체 시총 외형은 1분기 대비 2분기에만 530조원 넘게 늘었고, 개별 주식종목으로 살펴보더라도 10곳 중 7곳 이상이 상승세를 보인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SK하이닉스는 올 2분기에만 시총 외형만 70조원 이상으로 가장 많이 불었고, 두산에너빌리티는 시총 순위 톱5에 이름을 올린 것으로 조사됐다. 올 2분기에 시총 1조 클럽에 가입한 종목은 284곳으로 1분기 때보다 40곳 이상 많아졌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7일 ‘2025년 3월말 대비 6월말 2분기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 변동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 주식종목(코스피+코스닥+코넥스)은 우선주를 제외한 2758곳이고, 올해 3월말(3월 31일)와 6월말(6월 30일) 시총 변동 금액과 순위 등을 비교해 살펴봤다. 시총은 한국거래소 자료를 참고했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올해 6월말 기준 국내 시총 규모는 2856조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지난 3월말에는 2324조원 정도였는데, 올 2분기(3월말 대비 6월말) 시총 체격은 532조

"중국인 집주인에게 월세 내야 하나요?"…한국 부동산, 외국인 투기 '역차별' 논란에 외국인 투기 차단법 '입법' 시동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최근 한국 부동산 시장에서 중국인 투자자들의 투기적 매수가 심각한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정부가 내국인에 대한 고강도 대출 규제를 시행한 반면, 외국인에겐 사실상 규제 사각지대가 열려 있다는 점이 문제의 핵심이다. 이에 따라 국회에서는 외국인 부동산 투기를 차단하기 위한 법안이 발의되는 등 대책 마련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중국인, 한국 부동산 '쇼핑'…투기성 매수 집중 최근 5년간 한국에서 부동산을 매입한 외국인 중 중국인의 비중은 60~70%에 달해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2024년 한 해 동안만도 중국인 1만1346명이 국내 부동산을 사들여 전체 외국인 매수의 64.9%를 차지했다. 특히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매수세가 집중되는 현상이 뚜렷하다. 이들은 대부분 본국(중국)에서 자금을 조달하거나, 현금으로 고가 주택을 일시에 매수하는 방식으로 규제를 피해가고 있다. 실제로 120억원 상당의 단독주택을 30대 중국인이 전액 현금으로 매입한 사례, 8살 중국 어린이 명의의 아파트 매수 등 비상식적인 거래도 적발됐다. 또, 다주택자로 임대사업을 하며 세금 탈루까지 시도하는 등 투기성 행위가 빈번하다. 내국인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