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랭킹연구소] 非오너 중 주식평가액 순위 TOP10…김정훈·김형준·김창한·이정호·허정우 順

非오너 30명 주식재산 100억 넘어…크래프톤서 1~3위 싹쓸이
CXO연구소, 시가총액 2조 넘는 주식종목 內 비(非)오너 임원 및 주주 주식평가액 조사
非오너 임원 및 주주 3430명 조사…5월 2일 기준 201명 주식가치 10억원 넘어
1000억원 넘는 주식갑부에 4명 이름 올려…100억 클럽에 1974년생 4명으로 최다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상장사 중 시가총액(시총)이 2조원 넘는 주식종목에서 5월 2일 기준 주식재산이 100억원 넘는 비(非)오너 주식부자는 30명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식부자 100억 클럽에 포함된 30명 중 크래프톤 그룹 계열사에서만 8명이나 이름을 올렸는데, 이 중 3명은 비오너 주식부자 1~3위를 싹쓸이했다. 또 이번 조사에서 주식평가액이 1000억원 넘는 오너 부럽지 않은 주식갑부도 4명이나 나왔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2025년 국내 주식종목 중 비(非)오너 임원 및 주주 주식평가액 현황’ 분석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이달 2일 기준 시총 규모가 2조원이 넘는 151개 주식종목 중 오너가(家)를 제외한 비오너 출신 임원과 주요 주주이다.

 

보유 주식은 5월 15일까지 금융감독원에 보고된 현황을 참고했고, 주식평가액은 보유 주식수에 이달 2일 종가(終價)를 곱한 금액으로 산출했다. 보유 주식은 해당 주식종목 1곳에서 보유한 보통주로 제한해 조사가 이뤄졌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시총이 2조원이 넘는 151개 주식종목에서 비오너 출신 임원 및 주주가 1주(株) 이상 주식을 보유한 경우는 3430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이달 2일 기준 주식재산이 10억원 넘는 임원은 201명(5.9%)으로 집계됐다.

 

이를 다시 주식평가액 규모별로 살펴보면 10억원대가 99명으로 최다였다. 이어 20억원대 29명, 30억원대 17명, 40억원대 8명, 50억~100억 미만 18명이었다. 100억원 넘는 거부(巨富)는 30명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지난해 조사(24년 9월6일 기준) 당시 100억 클럽에 가입한 비오너 주식부자 27명보다 3명 많아졌다.

 


주식평가액이 1억원 미만은 1899명으로 조사 대상자 중 55.4%로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1억~5억원 미만은 33.6%(1154명)나 차지했다. 5억~10억원 사이는 5.1%(176명)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비오너 주식부자 1~3위는 크래프톤 그룹에서 나와 주목을 끌었다. 크래프톤 그룹 계열사인 라이징윙스 김정훈(50세) 대표이사는 크래프톤 주식을 84만3275주나 보유하고 있는데, 이달 2일 종가로 곱한 주식평가액만 해도 3246억원 이상으로 3000억원대 주식재산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작년 5월 2일 평가액이 2049억원 수준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주식가치가 1년 새 1100억원 이상 많아졌다. 1년 전과 비교한 주식평가액 증가율만 해도 58% 넘게 상승했다. 이러한 배경에는 크래프톤 보통주 1주당 주식가치가 작년과 올해 5월 2일 기준으로 24만3000원에서 38만5000원으로 오른 것이 결정적이었다.

 

지난해 크래프톤 그룹 신규 법인 중 한 곳인 인조이스튜디오 대표를 맡고 있는 김형준(51세) 대표이사는 이달 2일 기준 주식가치만 2733억원으로 비오너 주식부자 2위를 기록했다. 김 대표이사는 작년 12월에 크래프톤 주식 71만 60주를 신규 취득하며 단숨에 2000억원이 넘는 주식부자 대열에 합류했다.

 

현(現) 크래프톤 김창한(51세) 대표이사는 55만4055주를 보유하며 이달 2일 기준 주식재산만 2133억원으로 계산됐다. 작년 5월 2일 당시 주식평가액이 1346억원 수준으로 1000억원대였는데, 올해는 2000억원대로 주식가치가 껑충 뛰었다.

 

앞서 3명을 포함해 이번 조사에서 크래프톤 보유 주식으로 주식재산 100억 클럽에 가입한 주요 임원 및 주주는 모두 8명이나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기에는 ▲송인애 본엔젤스벤처파트너스 대표(510억원) ▲류성중 크래프톤 주주(349억원) ▲애덤 맥스웰 맥과이어(Adam Maxwell McGuire) 크래프톤 주주(223억원) ▲찰스 구드휴 클리블랜(Charles Goodhue Cleveland) 크래프톤 주주(223억원) ▲조두인 블루홀스튜디오 대표이사(121억원)도 포함됐다.

 

 

주식평가액 4~5위는 최근 삼성전자가 최대주주가 된 레인보우로보틱스에서 나왔다. 이 회사의 이정호 대표이사는 해당 회사 주식을 71만1011주 보유하고 있는데, 이달 2일 종가 27만2500원으로 곱한 주식평가액만 해도 1937억원 수준으로 평가되며 비오너 주식부자 4위에 랭크했다.

 

같은 회사 허정우 기술이사는 35만9760주를 보유해 주식가치만 980억원 수준을 보이며 비오너 주식부자 톱5에 포함됐다. 이외 레인보우로보틱스에서는 임정수 기술이사의 주식평가액도 587억원으로 8위를 기록했다.

 

500억원 이상 1000억원 미만 사이에는 ▲스콧 사무엘 브라운(Scott Samuel Braun) 하이브 사내이사 겸 하이브 아메리카 CEO(958억원) ▲손인호 실로콘투 사내이사(897억원) ▲민경립 시프트업 CSO(582억원) ▲이재천 에이비엘바이오 부사장(517억원) 4명도 주식부자 명단에 들었다.

 

이중 스콧 사무엘 브라운 사내이사는 하이브 주식을 36만 2292주를 쥐고 있는데, 이달 2일 하이브 종가 26만 4500원으로 곱한 주식평가액만 1000억원에 근접했다. 스콧 사무엘 브라운 사내이사처럼 하이브에서 주식재산이 100억원 넘는 주식부자에는 김신규 CAMO(204억원)도 포함됐다.

 

손인호 사내이사는 실리콘투 주식을 242만7722주를 보유하고 있는데, 이달 2일 종가 3만6950원으로 곱한 주식가치만 900억원에 육박하는 수준을 보였다. 실리콘투에서도 최진호 사내이사 역시 주식평가액이 415억원으로 400억원대 주식가치를 보이며 주식재산 100억 클럽에 가입했다.

 

시프트업에서는 민경립 CSO 이외에 이형복 CISO(301억원)와 조인상 CHRO/CRMO(166억원) 2명도 이달 2일 기준 주식재산이 1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금융 업종에서는 메리츠금융지주 김용범 부회장이 490억원으로 비오너 중 주식가치가 가장 높았다. 김 부회장은 메리츠금융지주 지분을 40만주를 보유하고 있고, 이달 2일 종가 12만2600원으로 곱한 주식가치만해도 500억원에 육박했다.

 

 

제약 업종에서는 이번에 8명이나 주식재산 100억 클럽에 이름을 올린 것으로 조사됐다. 에이비엘바이오에서는 500억원대를 기록한 이재천 부사장 이외에 유원규 부사장(465억원)도 포함됐다. 셀트리온에서는 ▲유헌영 셀트리온홀딩스 부회장(426억원) ▲김형기 셀트리온 대표이사(350억원) ▲기우성 셀트리온 대표이사(314억원)의 주식재산이 100억원 이상으로 평가됐다.

 

펩트론, 리가켐바이오, 파마리서치 종목에서는 각각 ▲장승구 펩트론 CFO(307억원) ▲박세진 리가켐바이오 사장(196억원) ▲백승걸 파마리서치바이오 대표이사(136억원)도 주식재산 100억 클럽 명단에 들었다.

 

올해 조사에서 주식재산이 100억원 넘는 30명 중 출생년도별로 살펴보면 1970년대생이 13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960년대생이 10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1980년대생도 7명으로 집계됐다. 1970년대생 중에서도 단일 출생년도 중에서는 올해 51세인 1974년생이 4명으로 최다를 보였다.

 

여기에는 크래프톤 주식을 보유한 김형준·김창한·송인애 대표를 비롯해 에코프로비엠 최문호 사장(127억원)이 100억 클럽에 들었다. 1980년대생 중에서는 ▲스콧 사무엘 브라운·조인상(각81년생) ▲허정우(82년생) ▲신재하(83년생) 에이피알 부사장(348억원) ▲이민경(88년생) 에이피알 상무(187억원) ▲민경립·임정수(89년생) 주주 등이 100억원 넘는 젊은 주식부자 클럽에 포함됐다.

 

비오너 주식재산이 100억원 넘는 이들과 달리 국내 매출 상위 주요 대기업 중 등기임원 중에서는 삼성전자에서는 노태문 사장이 2만8000주로 15억원 상당의 주식가치를 보였다. SK하이닉스는 곽노정 사장이 5770주를 보유하며 10억원 수준으로 계산됐고, 호세 무뇨스(Jose Munoz) 사장은 18억원으로 현대차 내에서 주식평가액이 가장 높았다.

 

작년 상장사 매출(별도 기준) 100대 기업 중에서는 김정남 DB손해보험 부회장이 95억원으로 가장 높았고,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이사는 83억원으로 주식평가액이 100억원에 근접했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오너가와 달리 비오너 임원 등의 주식부자는 매출 상위 대기업보다는 게임과 제약 업종 등에서 다수 배출되고 있는 양상이 두드지게 나타났다”며 “향후 AI를 비롯해 게임, 로봇, 바이오, 엔터테인먼트 업종 등에서 새로 상장될 경우 1980년대 이후 젊은 신흥 주식부자들은 더 많이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랭킹연구소] 500대기업 상반기 영업이익 상위 10곳, SK하닉·삼전·현대차·한국전력·기아 順…하위 10곳, 삼성SDI·SK에너지·롯데케미칼·에쓰오일·한화토탈 順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국내 500대 기업의 올 상반기 영업이익이 118조원을 넘기며 전년 동기 대비 5.9%(6조5694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SK하이닉스 영업이익 증가액이 8조원으로 500대 기업 전체 증가액보다 많아, SK하이닉스를 제외하면 전년 동기 대비 1.7%(-1조7293억원)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SK하이닉스는 미중 관세전쟁 속에서도 인공지능(AI) 열풍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16조원을 돌파하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또 호황을 맞은 조선과 방산업계도 수익성이 대폭 개선됐다. 반면, 삼성전자와 LG전자 등은 각종 리스크로 부진한 성적표를 받아들었고, SK에너지와 롯데케미칼, S-Oil, 한화토탈에너지스 등 석유화학업계는 업황 부진으로 영업이익이 크게 감소했다. 8월 17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8월 14일까지 반기보고서를 제출한 342개사를 대상으로 올 상반기 실적을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의 매출은 1655조269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5%(86조7888억원) 늘어났다. 영업이익 역시 118조51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9%(6조5694억원)

[랭킹연구소] 심정지, 언제 많이 발생할까?…월요일·일요일·공휴일·겨울철 ‘심장 경보등’ 켜진다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심정지 사건 발생은 요일과 명절·공휴일 등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월요일과 일요일, 그리고 각종 휴일에서 위험이 크게 높아지는 경향을 드러냈다. 질병관리청·서울신문·국립보건연구원·PMC(BMJ)·ScienceDirect 등의 연구결과와 해외보도를 취합해 심정지 사건 발생과 요일별, 계절별 연관성을 알아봤다. 부산대·서울대 공동연구팀이 질병관리청 자료(2015~2019년 전국 ‘병원 밖 심정지’ 8만9164건)를 분석한 결과, 월요일과 일요일의 심정지 발생 위험은 기준일인 수요일보다 각각 1.9%, 1.5% 높았다. 나머지 요일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팀은 “월요일이 됐을 때 기대와 현실의 괴리, 주말 동안 흐트러진 생체리듬, 갑작스러운 업무 시작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심정지 위험을 높인다”고 설명한다. 일요일 역시 '늦잠·폭음'을 비롯한 생활 리듬 변화가 부담으로 작용한다. 명절·공휴일, ‘휴일 심장 증후군’ 휴일에는 평일 대비 최소 6%, 일반 공휴일 평균 9.9%로 심정지 위험이 급등한다. 크리스마스가 9.6%로 가장 높고, 설날 8.2%, 새해 첫날/추석 각 6% 순이었다. ‘휴일

[이슈&논란] 삼성전자, 韓 스마트폰 시장서 82% 점유율 차지…‘갤럭시 S25·폴더블’ 전례 없는 독주, 9월 애플 도전장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전자가 2025년 1월부터 7월까지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서 사상 최초로 82%라는 경이적인 점유율을 달성했다. 이는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 리서치가 8월 14일 발표한 자료로 확인된 수치며, 특히 2024년 동기 대비 전체 시장 판매량이 소폭 줄었음에도 삼성 스마트폰 판매가 오히려 증가한 결과다. 애플은 18%의 점유율로 뒤를 쫓았으며, 양사의 격차는 사상 최대 폭을 기록했다. S25 시리즈 ‘광속행진’…300만대 돌파, AI 구독 효과 ‘직격탄’ 삼성의 독주는 차세대 갤럭시 S25 시리즈의 질주가 견인했다. S25 시리즈는 출시 5개월 만에 300만대 판매 대수를 돌파하며 전작 대비 두 달이나 빠르게 이정표에 도달했다. 특히 S25 울트라는 전체 시리즈 판매의 약 50%를 차지하며 프리미엄 수익성을 크게 끌어올렸다. 이번 성공에는 기존 갤럭시S 브랜드 경쟁력과 더불어 ‘AI 구독 클럽’이라는 혁신적 서비스 전략이 적중했다. 삼성은 1년 후 구매가의 최대 50% 환매를 보증하고, 독점 AI 기능을 제공하는 가입형 멤버십으로 구매욕을 자극했다. Z 폴드7·Z 플립7 ‘폴더블 붐’…사전예약 104만대, 초박형 Z 폴드7 ‘역전’

[내궁내정] 어디까지 먹어봤니?…눈을 의심하게 하는 MZ 신상 먹거리, '환상적 콜라보' 파헤치기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요즘 2030세대인 MZ를 겨냥한 먹거리 시장이 혁명적 변신을 거듭하고 있다. 최근 SNS와 각종 커뮤니티를 달구고 있는 ‘환장 콜라보 신상’들의 등장이 그 진원지다. 단순한 조합을 넘어선 상상 초월의 컬래버레이션에서부터 건강한 맛과 이색풍미까지, MZ들은 더 자극적이고 새로운 경험에 환호하고 있다. 파격적인 신상들에는 트렌드의 변화, 식문화의 실험정신, 마케팅의 극한이 모두 담겨 있다. 떡볶이와 도넛의 파격적 만남, ‘엽기크리스피도넛’ 디저트계의 최강자 롯데GRS의 크리스피크림도넛과 매운맛 대표 엽기떡볶이의 공식 콜라보가 출시되며 단짠맵(Sweet-Salty-Spicy)의 정점을 찍고 있다. 단맛이 강한 글레이즈드 도넛을

[랭킹연구소] 25년 상반기 재계 보수 순위, 박정원>김승연>신동빈>조원태>이재현 順…월급쟁이 연봉킹, 에이피알 정재훈·이민경 전무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2025년 상반기 국내 재계 총수 보수 현황에서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이 총 163억원으로 주요 기업 총수 중 가장 많은 보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 회장의 보수는 급여 17억5300만원, 단기 성과급 56억3000만원, 그리고 양도제한조건부주식(RSU) 장기 성과급 89억3000만원을 포함한다. 특히 RSU는 주가 상승으로 지급 시점 평가액이 부여 시점 대비 4.3배 상승해 보수 총액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두산그룹은 3년 전부터 전 임원 대상으로 RSU 제도를 도입해 장기 인센티브를 주식으로 지급하고 있다. 2위는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으로 ㈜한화 및 주요 계열사에서 받은 보수를 모두 합쳐 124억2000만원을 기록했다. 김 회장은 한화솔루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비전, 한화시스템 등에서 고르게 보수를 수령했으며, 장남 김동관 부회장은 46억원을 받았다. 3위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올해 상반기 약 99억원의 보수를 받으며 유통가 오너 경영자 중 1위를 차지했다. 신 회장의 상반기 보수는 롯데지주, 롯데쇼핑, 롯데칠성음료, 롯데케미칼, 롯데웰푸드, 롯데호텔, 롯데물산 등 7개 계열사에서 각각 분산되어 수령됐다. 다만,

[The Numbers] 삼양식품 2분기,해외부문 성장세로 20%대 영업이익률…상반기 누적 매출 1조원 돌파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삼양식품은 2분기 연결 기준으로 매출액 5531억원, 영업이익 1201억원을 기록했다고 14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30%, 영업이익은 34% 증가했다. 2분기에도 해외부문의 견조한 성장세가 이어지며 외형과 내실 모두 성장했다. 특히 직전 분기에 이어 2분기 연속으로 영업이익 1000억원을 돌파하며 20%대의 영업이익률을 달성했고, 상반기 누적 매출은 1조원을 넘어섰다. 2분기 해외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한 4402억원을 기록했다. 해외판매법인을 중심으로 전 지역에서 매출이 고르게 확대됐다. 수출최대시장인 중국과 미국의 성장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유럽법인이 현지 진출을 본격화하며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중국법인 삼양식품상해유한공사는 현지 맞춤형 신제품 출시와 온오프라인 판매처 확대에 힘입어 2분기 전년 대비 30% 상승한 6억5000만 위안의 매출을 달성했다. 미국법인 삼양아메리카는 전년도와 비교해 32% 늘어난 9400만불의 매출을 올렸다. 월마트, 코스트코에 이어 HEB, 샘스클럽 등으로 메인스트림 채널 입점처를 확대한 것이 주효했다. 유럽법인(24년 7월 설립)은 직전 분기보다 두 배 증가한 3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