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랭킹연구소] 공기업 경영평가 순위, 상위 10곳·하위 10곳…한전KDN·동서발전·한전KPS '喜' vs 광해광업공단·철도공사·방송광고진흥공사 '悲'

한전KDN, 공기업 경영평가 1위…광해광업공단·철도공사 ‘최하위’
한전KDN, 안정성‧활동성‧인력 등에서 상위권 점수 획득하며 우수 평가
광해광업공단, 비재무부문 1위였으나 재무부문은 31위로 최하위 불명예
지난해 경영평가 3위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올해는 하위권으로 추락
CEO스코어, 총 31개사 공기업 대상 경영 데이터 분석·평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한전KDN이 공기업 경영평가에서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됐다. 한전KDN은 재무부문에서 1위, 비재무부문에서 5위를 기록하며 종합 1위에 올랐다. 이어 한국동서발전과 한전KPS가 2위와 3위에 랭크됐다.

 

반면, 한국광해광업공단은 최하위 공기업이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한국광해광업공단은 비재무부문에서는 1위를 기록했으나, 재무부문에서는 꼴찌인 31위를 기록했다.

 

한국철도공사와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도 대부분의 평가 항목에서 낮은 점수를 받으며 최하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11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시장형 공기업 14곳, 준시장형 공기업 17곳 등 총 31개사를 대상으로 2023~2024년 결산 기준 경영 데이터 등을 분석한 결과, 한전KDN이 ‘2025년 공기업 경영 평가’에서 총점 672.7점을 획득하며 종합 1위를 차지했다.

 

이번 평가는 ‘2025년 공공기관 경영평가편람’ 및 ‘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의 공시 항목을 기반으로, 재무 부문(500점)과 비재무 부문(500점)으로 나눠 진행됐다.

 

재무부문에서 안정성(120점), 수익성(110점), 활동성(120점), 효율성(150점) 등을 배점했고, 비재무부문에선 인력(140점), 보수·복리후생(140점), 환경(120점), 안전(100점) 등을 평가했다. 각 항목별 순위에 따라 점수를 부여, 합산해 총점 1000점 만점으로 계산했다.

 

 

경영 평가 최우수 공기업에 오른 한전KDN은 재무부문 369.35점으로 1위, 비재무부문은 303.35점 5위를 기록했다. 세부항목을 살펴보면 ▲안정성(103.2점, 4위) ▲활동성(90.5점, 4위) ▲인력(90.7점, 5위) 등에서 상위권 점수를 획득했다.

 

총점 633.4점으로 경영평가 상위 2위에 오른 한국동서발전은 수익성 부문과 효율성 항목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지난해 경영평가 1위였던 한전KPS는 올해도 622.9점으로 3위에 이름을 올렸다. 한전KPS는 환경(90.6점, 3위)과 안전(69.0 5위) 등 2개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따냈다.

 

반면, 한국광해광업공단은 재무부문 부진으로 총점 420.9점으로 최하위 기업에 선정됐다. 한국광해광업공단은 비재무부문이 315.5점으로 1위를 기록했으나, 재무부문이 105.4점으로 31위에 그쳤다. 세부적으로 ▲안정성(17.1점, 31위) ▲수익성(15.8점, 31위) ▲효율성(17.7점, 31위) 등 전반적으로 부진했다.

 

이어 한국철도공사가 429.0점으로 하위 2위에 선정됐고,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는 432.3점으로 하위 3위에 랭크됐다.

 

지난해 경영평가 상위 3위에 이름을 올렸던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의 경우, 올해 총점 494.7점으로 24계단 하락하며 하위 5위에 그쳤다.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는 ▲안전(32.5점, 31위) ▲활동성(44.7점, 30위), ▲인력(58.6점, 28위) 등 전반적으로 저조한 성적을 거뒀다.

 

 

재무부문에서 안정성은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가 113.1점으로 1위를 달성했다.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는 부채/자산비율 12.0%, 유동비율 920.7%, 부채비율 13.6%를 기록했다.

 

이어 해양환경공단이 104.1점으로 안정성 2위에 올랐다. 해양환경공단은 이자비용이 없고 유동비율은 275.8%로 나타났다.

 

수익성은 인천국제공항공사가 97.6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매출 증가율 19.4%, 영업이익률 28.7%, EBITDA/매출액 49.5%를 기록했다.

 

활동성 1위는 99.5점을 받은 한국가스기술공사였다. 한국가스기술공사는 총자산회전율 171.1%, 자기자본회전율 288.8%로 나타났다.

 

한국서부발전은 128.4점으로 효율성 1위를 기록했다. ▲노동생산성(46.4점, 2위) ▲인건비생산성(45.5점, 2위) ▲자본생산성(36.5점, 6위) 등 전반적으로 상위권 점수를 획득했다.

 

인력부문은 한국가스공사가 110.8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 한국가스공사는 남성 이직자비율 2.5%, 신규채용 157명, 여성 이직자비율 1.1%를 기록했다.

 

이외에도 한국마사회가 100.0점으로 보수·복리후생부문 1위, 한국부동산원이 93.3점으로 환경부문 1위, 강원랜드가 77.2점으로 안전부문 1위를 달성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0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골드만삭스, 서울지점 주식부문 새 수장에 박지은…한국 주식시장 ‘글로벌 허브’ 부상 신호탄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박지은 본부장을 서울지점 주식부문 대표로 공식 선임했다. 이번 인사는 한국 주식 및 파생상품 시장의 위상이 아시아·태평양(아태) 지역에서 더욱 강화되고 있음을 방증하는 동시에, 글로벌 IB(투자은행) 업계의 ‘한국 키맨’ 교체로 주목받고 있다. 박지은 대표, “기관·연기금 파생상품 혁신 주도” 박지은 신임 대표는 국내 주식과 주식 기반 파생상품 사업을 총괄하며, 아태지역 주식 비즈니스 리더십 팀과 긴밀히 협력할 예정이다. 박 대표는 2018년 골드만삭스 홍콩 아태지역 본사에 부문장으로 합류한 뒤, 같은 해 서울지점으로 자리를 옮겼고 2021년 본부장으로 승진했다. 이번 인사 전에는 국내 기관투자자, 국부펀드, 연기금을 대상으로 주식 기반 파생상품을 제공하는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경제학·수학 학사(2010), 뉴욕대학교 금융수학 석사(2011)를 마친후 홍콩 소재 글로벌 IB에서 파생상품 분야 전문성을 축적하고, 2018년 골드만삭스에 합류한 금융분야 전문가이다. 골드만삭스 서울지점, ‘글로벌 자금’ 한국시장에 47억 달러 이상 투자 골드만삭스는 1992년

[이슈&논란] 강호동 농협중앙회장 1억원 수수 '의혹'에 경찰 내사 '착수'…핵심인물과 유찬형 부회장의 접촉 정황 드러나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이종화 기자]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이 1억원의 현금을 수수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경찰이 내사에 착수한 사실이 확인됐다. 이 사건은 단순한 금전 수수 의혹을 넘어 농협 조직 내 권력구도, 인사 갈등 등 다양한 파장을 예고하고 있어 더욱 세간의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경기신문 단독 취재에 따르면, 경찰은 “강 회장이 A씨로부터 현금 5000만원을 두 차례에 걸쳐 전달받았다”는 구체적 첩보를 입수하고 내사에 돌입했다. 해당 첩보를 뒷받침하는 참고인 조사가 이미 일부 진행된 것으로 파악됐다. 1억원을 건넨 것으로 지목된 용역업체 대표가 강 회장에게 협박성 문자를 보냈고, 이로 인해 농협유통의 입찰 공고가 무산됐다는 정황도 언론을 통해 드러났다. 특히 이번 사건의 핵심 인물인 A씨와 강 회장 최측근으로 분류되는 유찬형 전 농협중앙회 부회장이 최근 별도로 접촉한 사실도 드러나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복수의 농협 관계자에 따르면, 유 전 부회장은 사건 무마 또는 진술 회유 목적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다. 유 전 부회장은 처음에는 “A씨를 만난 적 없다”고 부인했으나, 이후 “개인적으로 안부를 나눈 자리였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랭킹연구소] 2분기 시총증가율 상위 TOP10…두산에너빌리티·HD현대중·삼성電·SK스퀘어·HD한국조선해양·한화에어로 順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2025년 3월말 대비 6월말 기준 2분기 국내 상장사 시가총액(시총)은 상승 바람을 탄 곳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장사 전체 시총 외형은 1분기 대비 2분기에만 530조원 넘게 늘었고, 개별 주식종목으로 살펴보더라도 10곳 중 7곳 이상이 상승세를 보인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SK하이닉스는 올 2분기에만 시총 외형만 70조원 이상으로 가장 많이 불었고, 두산에너빌리티는 시총 순위 톱5에 이름을 올린 것으로 조사됐다. 올 2분기에 시총 1조 클럽에 가입한 종목은 284곳으로 1분기 때보다 40곳 이상 많아졌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7일 ‘2025년 3월말 대비 6월말 2분기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 변동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 주식종목(코스피+코스닥+코넥스)은 우선주를 제외한 2758곳이고, 올해 3월말(3월 31일)와 6월말(6월 30일) 시총 변동 금액과 순위 등을 비교해 살펴봤다. 시총은 한국거래소 자료를 참고했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올해 6월말 기준 국내 시총 규모는 2856조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지난 3월말에는 2324조원 정도였는데, 올 2분기(3월말 대비 6월말) 시총 체격은 532조

"중국인 집주인에게 월세 내야 하나요?"…한국 부동산, 외국인 투기 '역차별' 논란에 외국인 투기 차단법 '입법' 시동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최근 한국 부동산 시장에서 중국인 투자자들의 투기적 매수가 심각한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정부가 내국인에 대한 고강도 대출 규제를 시행한 반면, 외국인에겐 사실상 규제 사각지대가 열려 있다는 점이 문제의 핵심이다. 이에 따라 국회에서는 외국인 부동산 투기를 차단하기 위한 법안이 발의되는 등 대책 마련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중국인, 한국 부동산 '쇼핑'…투기성 매수 집중 최근 5년간 한국에서 부동산을 매입한 외국인 중 중국인의 비중은 60~70%에 달해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2024년 한 해 동안만도 중국인 1만1346명이 국내 부동산을 사들여 전체 외국인 매수의 64.9%를 차지했다. 특히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매수세가 집중되는 현상이 뚜렷하다. 이들은 대부분 본국(중국)에서 자금을 조달하거나, 현금으로 고가 주택을 일시에 매수하는 방식으로 규제를 피해가고 있다. 실제로 120억원 상당의 단독주택을 30대 중국인이 전액 현금으로 매입한 사례, 8살 중국 어린이 명의의 아파트 매수 등 비상식적인 거래도 적발됐다. 또, 다주택자로 임대사업을 하며 세금 탈루까지 시도하는 등 투기성 행위가 빈번하다. 내국인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