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랭킹연구소] 쿠팡, 1년새 고용 60% '쑥' 最高…삼성, 6년연속 '고용 증가'

88개 그룹 고용, 쿠팡 3만2000명 늘고 SK 9500명 줄고
CXO연구소, 공정위 지정 88개 대기업 집단 2022년 대비 2023년 고용 변동 분석
88개 그룹 1년 새 고용 일자리 5만 5919곳 늘어…고용 증가율 3.1% 수준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국내 대기업 집단(그룹) 중 ‘쿠팡’은 최근 1년 새 3만2000곳 넘게 일자리가 증가한 반면 ‘SK’는 9500곳 넘게 감소해 고용 성적 희비가 엇갈렸다.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가 올해 지정한 88개 그룹의 2022년 대비 2023년 전체 직원 수는 5만 5000명 이상 증가했는데, 3% 수준의 고용 증가율을 보였다. 또 개별 기업으로 보면 ‘쿠팡풀필먼트서비스’가 2022년 대비 2023년 고용이 3만명대에서 6만명대로 배(倍) 이상 높아졌고, 삼성전자는 작년 고용 인원만 해도 11만8700명 이상으로 단일 기업 중 고용 1위를 유지한 것으로 파악됐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88개 그룹 대상 2022년~2023년 고용 변동 분석’ 결과를 5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공정위가 올해 지정한 자산 5조원이 넘는 88개 대기업 집단이다. 그룹별 고용 현황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기재된 공정위 공시 자료를 참고했다. 고용 인원은 국내 계열사 및 12월 말 기준이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올해 공정위가 지정한 88개 대기업 집단 내 국내 계열사는 3318곳이다. 이들 3300곳이 넘는 기업의 재작년(2022년) 기준 전체 직원 수는 178만1405명으로 집계됐다. 작년(2023년)에는 183만7324명으로 1년 새 5만5919명 수준으로 직원 수가 늘었다. 고용 증가율은 3.1% 정도였다. 이는 2021년 대비 2022년 기준 82개 그룹에서 2.5%(4만 2981개) 수준의 고용 증가율을 보인 것과 비교하면 1년 새 고용 규모는 0.6%포인트 증가했다.

 

지난해 말 기준 183만명이 넘는 88개 그룹 전체 고용 규모는 같은 기간 고용보험에 가입한 1519만9534명의 12.1% 비중이었다. 이를 뒤집어 해석하면 여전히 국내 고용 인원의 10명 중 9명 정도는 대기업 집단에 속하지 않은 중소·중견기업과 소상공인 등에서 우리나라 고용의 상당수를 책임지고 있다는 얘기다.

 

국내 고용 일자리를 크게 늘리려면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 등에서 고용이 확대될 수 있는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연구소 측은 분석했다. 

 

조사 대상 88개 그룹 중 최근 1년 새 직원 수가 증가한 곳은 43곳이었고, 36곳은 감소세를 보였다. 9곳은 올해 대기업 집단으로 신규 편입됐거나 직원 수에 변동이 없었다. 직원 일자리가 늘어난 43곳 중에서 고용 인원이 가장 많이 증가한 그룹은 ‘쿠팡’인 것으로 확인됐다.

 

쿠팡 그룹은 재작년 5만2551명이던 것에서 작년에는 8만4702명으로 1년 새 직원 수가 3만2151명이나 많아졌다. 여기에는 1년 새 3만명 이상 고용을 늘린 ‘쿠팡풀필먼트서비스’의 역할이 컸다. 앞서 회사는 88개 그룹 중 개별 기업 중 고용 인원이 최다 증가했다.

 

쿠팡 다음으로 최근 1년 새 만명 넘게 고용이 증가한 그룹에는 ‘한화’도 이름을 올렸다. 앞서 그룹은 같은 기간 4만 2555명에서 5만5009명으로, 1년새 1만2454명이나 고용이 증가했다. 여기에는 한화오션 등이 한화그룹으로 편입된 영향이 주효했다. 

 

2022년 대비 2023년에 그룹 고용 증가 인원이 1000명 넘는 대기업 집단은 8곳 더 있었다. 여기에는 ▲현대차(8836명) ▲포스코(6353명) ▲삼성(4282명) ▲CJ(3554명) ▲이랜드(2319명) ▲한진(1668명) ▲LS(1137명) ▲HD현대(1015명) 그룹이 포함됐다.

 

 

이와 달리 SK 그룹은 최근 1년 새 책임져야 할 일자리가 9000곳 넘게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재작년 12만4499명이던 직원 수는 작년에는 11만4950명으로 1년 새 9549명이나 그룹 고용 인원이 적어졌다. 고용 감소율만 해도 7.7% 수준이었다.

 

다만, 이러한 배경에는 2022년까지 SK그룹 계열사였던 SK쉴더스(6827명)와 캡스텍(4848명)이 다른 회사로 매각된 원인이 컸다. 매각된 2개 기업을 제외하고 계산해 보면, 나머지 SK 그룹의 고용은 2100명 정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SK를 제외하고 2022년 대비 2023년에 1000명 이상 고용이 줄어든 그룹은 4곳도 포함됐다. 이들 그룹군에는 ▲KG(2711명↓) ▲신세계(2209명↓) ▲LG(1834명↓) ▲롯데(1751명↓) 순으로 고용 규모가 1000곳 이상 감소했다.

 

3300곳이 넘는 88개 그룹의 개별 기업별 고용 현황을 규모별로 살펴보면 작년 기준 직원 수가 1만명이 넘는 ‘고용 만명 클럽’에는 28곳 가입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중에서도 작년 삼성전자의 고용 인원은 11만8725명으로 단일 기업 중 유일하게 직원 수가 10만명을 넘어서며 고용 1위 왕좌 자리를 지켰다. 

 

이어 ▲2위 현대자동차(7만3267명) ▲3위 쿠팡풀필먼트서비스(6만4109명) ▲4위 기아(3만6884명) ▲5위 LG전자(3만6363명)가 대기업 집단 계열사 중 고용 톱5에 포함됐다. 이중 개별 기업 고용 1위 삼성전자는 2022년 대비 2023년 직원 수가 2893명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쿠팡풀필먼트서비스는 1년 새 3만2869명이나 증가하며 우리나라 단일 기업 중 고용 TOP 3에까지 이름을 올렸다. 이 회사의 경우 2022년 대비 2023년 고용 증가율만 해도 105.2%나 됐다. 최근 1년 새 쿠팡풀필먼트서비스가 국내 대기업 집단의 고용 증가 견인차 역할을 한 셈이다. 이외 ▲6위 SK하이닉스(3만1751명) ▲7위 LG디스플레이(2만8168명) ▲8위 이마트(2만5060명) ▲9위 SCK컴퍼니(2만1883명) ▲10위 삼성디스플레이(2만1201명) 순으로 작년 기준 고용 규모가 큰 상위 10개 대기업군에 꼽혔다. 

 

그룹별 2022년 대비 2023년 기준 고용 증가율로 보더라도 쿠팡 그룹이 61.2%로 가장 높았다. 이어 ▲한화(29.3%) ▲이랜드(18.1%) ▲포스코(16.7%) ▲유진(13.6%) ▲BGF(12.6%) ▲에코프로(12.3%) 그룹 순으로 최근 1년 새 그룹 고용 인원이 10% 이상 상승했다. 

 

작년 기준 그룹 전체 고용 규모별 순위는 삼성이 27만8284명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삼성 그룹은 지난 2017년 24만2006명이었는데 이후 작년까지 6년 연속으로 고용이 지속 성장하는 기록을 세워가고 있어 주목을 끌었다. 삼성에 이어 ▲현대차(19만7727명) ▲LG(15만4941명) ▲SK(11만4950명)는 지난해 고용 10만명 클럽에 가입했다.

 

다음으로 ▲롯데(8만6244명) ▲쿠팡(8만4702명) ▲신세계(7만1530명) ▲CJ(6만1901명) ▲KT(5만8485명) ▲한화(5만5009명) 그룹이 고용 규모 순으로 TOP 10에 속했다.

 

한편 이번 조사와 관련해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우리나라에서 대기업 집단이 차지하는 경제 비중은 상당하지만 자동화 시스템 등이 지속적으로 도입됨에 따라 고용 증가 속도는 더뎌 실질적인 고용은 중소기업 등에서 책임지고 있는 게 현실이다”며 “장기적으로 국내 고용을 확대하려면 30명~100명 사이 직원 수를 둔 중소기업에 고용을 늘릴 수 있는 다양한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랭킹연구소] 50대 그룹 오너일가 주식담보대출 순위 TOP30…홍라희·이부진·이서현·최태원·정몽준·구광모·서정진·조현범 順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국내 50대 그룹 오너일가 주식담보대출금이 1년 사이 2조8140억원이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너일가가 보유한 지분의 담보 비중도 1년 전 37.6%에서 올해 49.9%로 12.3%포인트 상승했다. 전체 주식담보대출 규모가 가장 큰 삼성의 대출금이 크게 증가한 것이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7월 1일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50대 그룹 오너일가 주식담보 현황(2025년 6월 20일 기준)을 조사한 결과, 절반인 25개 그룹에서 1명 이상이 담보 대출을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주식담보대출에 이름을 올린 오너일가 수는 전년 98명에서 올해 129명으로 늘었다. 이들이 실행한 담보대출 총액은 약 9조9204억원에 달한다. 대출금 증가액이 가장 큰 그룹은 단연 삼성이다. 삼성가 세 모녀 명의로 실행된 주식담보대출이 1년 전 2조9328억원에서 올해 5조1668억원으로 76.2% 늘었고, 담보 비중도 30.7%에서 55.5%로 상승했다. 이들 세 사람의 대출 총액은 전체 주식담보대출의 절반이 넘는다. 가장 큰 규모의 대출은 홍라희 리움미술관 명예관장이 일으켰다. 지난해 1조7800억원에서 68% 늘어난 2조9900억원을 대출했다. 주

한미글로벌, 사우디 메카 초고층 프리미엄 주거단지 PM 수주…"이슬람교 최대 성지 메카 중심부, 중동시량 공략 가속"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글로벌 PM(건설사업관리) 전문 기업 한미글로벌(회장 김종훈)은 사우디 법인을 통해 사우디아라비아 메카에서 추진되는 초고층 프리미엄 주거단지 개발사업의 PM 용역을 수주했다고 30일 밝혔다. 수주 금액은 약 250억원으로 이는 한미글로벌의 지난해 해외 매출(연결기준)의 약 10%에 해당한다. 이 프로젝트는 세계 이슬람의 심장부인 메카의 최고 성지인 알-하람 맞은편에 위치한 초고층 프리미엄 주거단지로 레지던스 타워와 상업시설, 기도실, 주차장 및 기타 지원 시설 등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발주처의 비밀유지 요청에 따라 프로젝트명, 사업개요, 계약 상대 등은 공개되지 않았다. 한미글로벌은 지속적인 해외 수주를 통해 안정적인 실적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 1분기에는 연결 기준 매출 1225억원, 영업이익 98억원을 기록했으며, 이 가운데 해외 매출이 635억원으로 전체의 약 52%를 차지했다. 특히 사우디에서의 매출은 123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1% 증가했다. 지난 2007년 사우디 시장에 진출한 이래 한미글로벌은 현재까지 40여 개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해왔다. 2021년부터는 사우디의 미래 신도시 프로젝트인 ‘네옴시티’ 관련 프

[혼쭐위원회] 올림픽파크포레온 ‘변기게이트?’…아메리칸스탠다드 위생·품질 '논란'에 공급사·조합·시공사 '뒷짐'

[뉴스스페이스=최동현, 이종화 기자] 서울 강동구 둔촌동에 위치한 국내 최대 아파트 단지 ‘올림픽파크포레온’(옛 둔촌주공 재건축)에서 ‘변기대전’으로 불리는 집단 민원이 확산되고 있다. 지난해 11월 입주를 시작한 이 단지는 1만2032세대, 85개동 규모로 현대건설, HDC현대산업개발, 대우건설, 롯데건설 등 국내 빅4 건설사가 컨소시엄을 이뤄 공동 시공했다. “소변이 튄다”…입주민 4200가구 설문 참여, 위생·감염 불안 고조 논란의 중심에는 일본기업 아메리칸스탠다드(AMERICAN STANDARD) ‘PLAT ROUND 비데일체형’ 양변기(직수형) 모델로확인됐다. 이 제품은 자동물내림, 항균 도기, 절수 기능, 심플 디자인, 무선 리모컨 등 프리미엄 사양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실제 설치 제품에서 변기 도기가 변기시트보다 작아 ‘소변 튐’ 현상이 발생, 특히 여성 입주민을 중심으로 위생·감염 문제가 제기됐다. 일부 입주민은 방광염, 피부발진 등 실제 감염 사례까지 보고했으며, 임산부·영유아가 많은 ‘출산·육아 친화단지’라는 점에서 위생 불안이 더욱 증폭됐다. 입주민들은 “쇼룸에서 본 동일 모델보다 실제 설치 제품의 도기 크기가 작다”며, 직접 치수를 재

호반그룹의 삼성금거래소, KB국민카드 ‘KB Pay 쇼핑’에 공식 입점…"간편하고 안전하게 금 구매"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호반그룹의 삼성금거래소가 금 유통 시장의 디지털화를 선도한다. 국내 대표 귀금속 유통기업 삼성금거래소가 KB국민카드의 통합 결제 플랫폼 ‘KB Pay’의 쇼핑 서비스에 공식 입점했다고 26일 밝혔다. 삼성금거래소는 최근 실물자산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시장 흐름에 따라 금 구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자 이번 입점을 추진했다. 이번 제휴를 통해 고객들은 KB Pay 앱 내 쇼핑탭을 통해 삼성금거래소의 다양한 순금 제품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구매할 수 있으며 배송부터 정품 보장까지 전 과정에서 카드사 플랫폼의 신뢰도 있는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다. 특히 KB Pay 쇼핑에서 삼성금거래소 상품 구매 시 KB국민카드 포인트인 ‘포인트리’도 사용할 수 있어 실질적인 가격 부담을 낮출 수 있고 기타 다양한 쇼핑몰 제공 혜택도 함께 누릴 수 있다. 삼성금거래소는 입점을 기념해 오는 7월 31일까지 약 5주간 특별 이벤트도 진행한다. 함께 선보이는 상품 라인업도 주목할 만하다. 젊은 세대의 트렌드를 반영한 ‘플렉스 카드 골드바’는 신용카드 형태로 제작된 실물 금으로 소장성과 휴대성을 동시에 갖췄다. 삼성금거래소의 전통적인 디자인을 살린 기본형

‘줍줍’ 기회, 실수요자 품으로…무주택자에 유리한 청약 시장 열린다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무순위 청약, 이른바 ‘줍줍’ 제도가 실수요자 중심으로 개편되면서 청약 시장의 판도에 변화가 일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6월 10일부터 무순위 청약 신청 자격을 무주택자로 제한하는 내용을 담은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 개정안을 시행했다. 기존에는 만 19세 이상이면 청약통장이 없어도 누구나 무순위 청약에 참여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무주택자만 신청할 수 있도록 요건이 강화된 것이다. 정부는 당초 미분양 해소를 위해 유주택자에게도 무순위 청약 문을 열어뒀으나, 일부 인기 단지에 수요가 과도하게 몰리고 시세차익을 노린 투기 양상까지 나타나면서 청약 시장의 왜곡이 우려됐다. 이에 따라 실거주 중심의 청약 질서 회복을 목표로 신청 자격을 다시 제한한 것이다. 무순위 청약은 일반 분양 후 미계약으로 발생한 잔여 물량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당첨 시 수억 원의 시세차익을 기대할 수 있어 ‘로또 청약’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최근 자격 요건이 강화되면서 과열됐던 경쟁이 점차 완화될 것을 전망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제도 변화가 무주택 실수요자에게 실질적인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분석한다. 청약 가점이 낮아 기존 일반 청약에서 번번이 고배를 마셨던

고가 2주택자 간주임대료 과세 확대 앞두고 '촉각'…강남發 新 전월세시장 ‘뉴노멀’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2026년부터 기준시가 12억원을 초과하는 2주택자의 전세보증금에 대해 간주임대료 과세가 적용되면서, 특히 강남권 부유층과 고가주택 소유자들 사이에서 전월세 시장의 ‘지각변동’ 조짐이 예고된다. 이미 강남 부자들은 새로운 편법과 절세 전략, 임대 방식 다변화에 분주한 모습이다. 내년 이후 부동산 전월세 시장에서 예상되는 주요 현상을 알아봤다. 이로 인해 전세와 월세 시장에 어떤 풍속도가 불지 주목된다. 간주임대료 과세 대상 확대 내용 현행 소득세법상 12억원 초과 1주택자 및 2주택 이상 보유자는 월세 소득에 대해 과세하지만, 전세보증금은 2주택자까지는 과세 대상에서 제외됐다. 즉 기존에는 3주택 이상 다주택자에게만 적용되던 전세보증금에 대한 간주임대료 과세가 내년부터는 전세보증금 합계액이 기준시가 12억원을 초과하는 2주택자에게도 적용된다. 간주임대료는 보증금 합계액에서 3억원을 공제한 뒤 60%만 과세 대상으로 하며, 정기예금 이자율(3.1~3.5%)을 곱해 임대소득으로 간주한다. 예를 들어 15억원 전세를 준 2주택자는 약 2232만원의 임대소득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돼 세금을 내야 한다. 1. ‘전세 쪼개기’와 보증금 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