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8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이재용 개인배당 3237억 ‘부동의 1위’…지난해 주요기업 배당 9.3% 증가

2023년 배당금 총액 상위 30대 기업 현황. [리더스인덱스]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지난해 국내 주요 기업들의 배당 규모가 전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나란히 역대 최대 실적을 낸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전체 배당액 증가에 기여했다.

 

개인별 배당액 기준으로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3237억원의 배당을 받으며 지난해에 이어 개인 배당액 1위를 수성했다. 다만 홍라희 전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과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 등 세 모녀는 막대한 상속세 마련을 위해 계열사 지분을 일부 처분하며 배당액이 줄어들었다. 한편, 국내 주요 기업들은 '코리아 디스카운드(한국증시 저평가)' 해소를 위한 주주환원 정책 강화를 위해 배당 규모를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지난 8일까지 현금·현물배당을 발표한 76개 기업의 배당액을 조사한 결과 총액은 28조4486억원으로 전년 대비 9.3%(2조4306억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최근 공시한 결산배당 외에 분기·중간배당을 모두 포함한 수치다.

 

최근 공시한 결산배당 외에 분기·중간배당을 모두 포함한 수치다. 76개 기업 중 45곳은 전년보다 배당액이 증가했고 12곳은 동일, 19곳은 전년 대비 감소한 배당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현대자동차, 기아가 전체 배당액 증가를 이끌었다. 현대차는 결산배당과 반기·3분기 배당을 합산한 총액이 전년보다 63.8%(1조1683억원) 증가한 2조9986억원을 기록하며 배당금 증가 1위에 올랐다. 배당액 증가 규모가 두번째로 큰 기아는 전년보다 58.1%(8155억원) 늘어난 2조2188억원을 결산배당하기로 결정했다.

 

이어 메리츠금융지주가 지난해 말 임시 주주총회에서 2조1500억원 규모의 자본준비금을 이익잉여금으로 바꿔 배당 재원을 늘리고, 전년(127억원)보다 4356억원 증가한 4483억원을 결산배당하기로 했다.

 

이밖에 메리츠증권(2199억원), 삼성생명(1257억원), 삼성화재보험(994억원), 셀트리온(519억원), 포스코인터내셔널(468억원), 삼성증권(447억원) 등도 배당액 증가 상위권에 포함됐다.

 

배당 규모가 가장 크게 감소한 기업은 LG화학이었다. 2022년에는 7831억원을 배당했으나 최근 공시한 지난해 결산배당금은 절반 이하로 줄어든 2743억원이었다. 같은 기간 포스코홀딩스도 1514억원을 줄여 7587억원을 배당하기로 했다.

 

전체 배당액 순위로는 삼성전자가 지난해 반도체 부문의 대규모 적자에도 전년과 동일한 9조8094억원을 배당하기로 해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현대차와 기아, KB금융(1조1662억원), 하나금융지주(9798억원), SK하이닉스(8257억원), SK텔레콤(7656억원) 등 순이었다.

 

개인별 배당액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전년 대비 195억원 증가한 3237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2위는 2205억 증가한 조정호 메리츠금융지주 회장(2307억원), 3위는 535억원 늘어난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1762억원), 4위는 436억원 증가한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1549억원)이었다.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5위·1330억원), 홍라희 전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6위·1245억원),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8위·733억원)은 전년보다 감소한 배당금을 받게 됐다. 구광모 LG그룹 회장(7위)은 378억원 증가한 778억원을, 최태원 SK그룹 회장(9위)은 318억원 줄어든 331억원을 받는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랭킹연구소] 500대 기업 기간제 근로자 비중 순위…메리츠증권·자이에스앤디·다올투자증권·서희건설·하나증권 順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500대 기업의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최근 4년 새 1.4%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가장 크게 늘어난 기업은 삼양식품, 가장 많이 감소한 기업은 대동이었다. 올해 6월 말 기준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높은 기업은  메리츠증권·자이에스앤디·다올투자증권·서희건설·하나증권 순이었다. 이 중 메리츠증권·자이에스앤디·다올투자증권 3개사는 정규직보다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더 높았다. 8월 27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매출 기준 500대 기업 중 2021년부터 2025년까지 분기(6월) 보고서를 공시한 334개사를 대상으로 정규직(무기계약직 포함) 및 기간제 근로자의 인원수를 조사한 결과 최근 4년간 이들 기업의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1.4%포인트 증가했다. 올 6월 기준 조사 대상 기업 334곳의 전체 근로자 수는 132만4494명, 기간제 근로자는 10만3259명으로 집계됐다. 4년 전인 2021년 6월에 비해 전체 임직원이 4만7482명(3.7%) 늘어난 가운데 기간제 근로자는 2만1095명(25.7%) 증가했다. 조사 대상 500대기업의 연도별 기간제 근로자 비중은 ▲2021년 6월

"강남 도곡동 단 10세대 한정·청약통장 필요없다"…금호건설 ‘도곡 아테라’ 8월 29일 접수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금호건설(대표이사 조완석)은 강남구 도곡동에 선보이는 ‘도곡 아테라’의 청약을 8월 29일 진행한다. 이번 공급은 가로주택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신규 단지로, 강남의 핵심 입지에서 내 집 마련을 노려볼 수 있는 귀한 기회로 평가받고 있다. ‘도곡 아테라’는 강남구 도곡동 547-1 일원에 지하 2층~지상 7층, 총 82세대 규모로 조성된다. 전용면적은 44㎡~76㎡로 소형부터 중소형까지 실수요자의 선호도가 높은 타입으로 구성됐다. 이번 분양은 청약 통장 없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어 실수요자는 물론 투자 수요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공급 물량은 10세대로 희소성까지 더해지며 높은 경쟁률이 예상된다. 청약은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을 통해 29일(금) 접수를 시작해 9월 3일(수) 당첨자 발표, 9월 10일(수)~11일(목) 계약 순으로 진행된다. 단지는 교통, 교육, 생활 인프라를 모두 갖춘 입지 경쟁력이 강점이다. 지하철 강남역(2호선·신분당선), 매봉역(3호선), 양재역(3호선·신분당선) 등 주요 환승역이 모두 도보권에 위치한 ‘트리플 역세권’을 갖췄다. 여기에 양재IC와 남부순환로, 분당·수서 간 도시고속화도로 등 주요

삼성물산·현대건설 빅2, 국내 정비사업 40% 수주 '웃고'…포스코이앤씨·현대엔지니어링 '울고'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정비사업(재개발·재건축 등 도시 정비사업) 시장에서 삼성물산과 현대엔지니어링이 전체 수주고의 약 40%를 차지하며 대형사 양극화가 뚜렷해지고 있다. 올해 상반기 10대 건설사들이 확보한 정비사업 수주 총액은 약 31조6833원 규모로 집계됐다. 특히 부동의 1위 삼성물산은 ‘래미안’ 파워를 앞세워 주택사업 수주액 7조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초’ 기록을 갈아치웠다. 삼성물산은 지난 24일 개포우성7차와 삼호가든5차 재건축 시공권을 획득하며 올해 누적 수주액 7조828억원으로 집계됐다. 삼성물산은 올해 초 용산구 한남4구역 재개발 수주를 시작으로 송파 대림가락, 신반포4차, 장위8구역 공공재개발 등에서 승전보를 울리며 정비사업 수주액 1위를 지켜왔다. 현대건설 역시 5조5357억원을 기록하며 1위 삼성물산을 바짝 추격중이다. 현대건설은 올해 3월 부산 연산5구역(공사비 7657억원), 수원 구운1구역 재건축(3123억원), 장위9구역 공공재개발(3502억원) 개포주공6·7단지 재건축(1조 5138억원) 등 총 7개의 사업을 수주했다. 게다가 압구정2구역 재건축(2조7488억원)과 성북구 장위15구역 재개발(1조4663억원) 등

우미에스테이트, 솔닥과 시니어 디지털 헬스케어 MOU…"주거와 건강관리 융합한 차세대 시니어라이프 모델"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우미에스테이트가 8월 25일 린스퀘어에서 김병권 우미에스테이트 대표와 김민승, 이호익 솔닥 공동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공동 성장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우미에스테이트는 우미건설의 자산관리 전문 계열사로, 임대주택, 코리빙, 오피스, 상업시설 등을 관리·운영한다. 솔닥은 비대면 진료 솔류션 스타트업으로 AI 기반 헬스케어 플랫폼과 의료 연계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이다. 주요 협력 범위는 ▲시니어 전용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 설계 ▲데이터 기반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구축 ▲고령친화 복합단지 내 건강·문화·커뮤니티 프로그램 개발 ▲공동 마케팅 및 신규 사업 발굴 등이다. 특히 우미에스테이트의 주거 운영·개발 노하우와 솔닥의 첨단 의료 기술을 결합해 디지털 기반의 건강관리 인프라를 주거공간에 접목하는 것에 집중할 계획이다. 양사는 이미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인 ‘충북혁신도시 우미린 스테이’에 ‘헬스케어 존’을 설치하고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다. ‘헬스케어 존’은 입주민의 건강 데이터를 측정하고, 이를 활용해 건강관리, 비대면 진료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우미에스테이트 관계자는 “사회가 고령화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