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3.9℃
  • 맑음강릉 11.0℃
  • 흐림서울 3.8℃
  • 구름많음대전 8.2℃
  • 구름많음대구 9.5℃
  • 구름많음울산 12.2℃
  • 구름많음광주 8.5℃
  • 구름많음부산 13.3℃
  • 흐림고창 9.1℃
  • 흐림제주 12.8℃
  • 구름많음강화 3.5℃
  • 구름조금보은 6.7℃
  • 구름조금금산 8.5℃
  • 흐림강진군 9.3℃
  • 구름많음경주시 11.0℃
  • 구름많음거제 13.3℃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랭킹연구소] 현대차, 경영평가 1위…삼성전자·LG화학·기아·삼바 2~5위

현대자동차, 고속성장·투자·글로벌경쟁력 등 3개 부문 우수
2위 삼성전자, 투자·일자리창출·양성평등 부문에서 두각
고속성장·투자 우수 LG화학 3위…기아 4위, 삼성바이오로직스 5위
CEO스코어, 500대 기업 중 비금융기업 273곳 대상 8개 부문 경영평가 실시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현대자동차가 국내 500대 기업 중 2024년 ‘그레이트 컴퍼니(Great Company)’ 종합 최우수 기업으로 선정됐다. 기업의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가치를 고루 평가해 산정하는 그레이트 컴퍼니 종합 평가에서 현대자동차(이하 현대차)가 1위에 오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대차는 지난해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고속성장 분야는 물론, 투자, 글로벌 경쟁력 평가에서 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까지 4년 연속으로 1위를 차지했던 삼성전자는 올해 현대차에 밀려 2위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투자, 일자리창출, 양성평등 부문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했다.

 

지난해 5위였던 LG화학이 고속성장과 투자 부문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으며 종합 3위로 올랐고, 현대차 그룹사인 기아 역시 고속성장, 글로벌경쟁력 부문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종합 4위에 랭크됐다. 이어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지배구조투명과 양성평등 부문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으며 5위에 이름을 올렸다.

 

22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김경준)가 2024년 선정 매출 상위 500대 기업 가운데 비금융기업 413곳 중 사업보고서를 제출한 273곳을 대상으로 경영평가를 실시한 결과, 현대자동차가 800점 만점에 최고점인 662.2점을 받아 종합 1위에 올랐다.

 

올해로 8회째를 맞이한 500대 기업 경영평가는 CEO스코어가 매년 국내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경영 데이터를 평가해 발표하는 종합평가다. CEO스코어는 △고속성장 △투자 △글로벌경쟁력 △지배구조 투명 △건실경영 △일자리 창출 △양성평등 △사회공헌 및 환경보호 등 총 8개 부문에 걸쳐 경영평가를 하고 있다.

 

해당 평가는 업종(16개)과 매출 규모(10조/5조/2조 이상, 2조 미만)를 기준으로 표준점수를 산정하되 8개 부문의 세부 항목별 기준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해 점수를 낸다. 각 부문당 100점씩 총 800점 만점으로 집계한다.

올해 경영평가에서 현대자동차는 고속성장, 투자, 글로벌경쟁력 등 3개 부문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종합점수 662.2점로 사상 첫 1위 기업으로 선정됐다. 지난해까지 4년 연속으로 1위였던 삼성전자는 올해 종합점수 638.1점으로 2위에 선정됐다.

 

고속성장과 투자부문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LG화학은 종합점수 622.6점으로 3위에 올랐다. 기아는 고속성장, 글로벌경쟁력 부문에서 좋은 평가를 획득하며 종합점수 614.4점으로 4위에 선정됐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612.9점으로 종합순위 5위에 안착했다.

 

각 부문별로 살펴보면, 고속성장 부문은 매출 10조원 이상 기업 가운데 우수기업으로 현대자동차, 기아, LG에너지솔루션, 에스케이온, LG화학, 현대모비스 등이 선정됐다. 고속성장 부문 매출 10조원 미만 기업 중에선 티웨이항공, 제주항공, 포스코퓨처엠, 한화오션, 롯데웰푸드 등이 이름을 올렸다.

 

고속성장 부문 평가는 △매출 증감률 △자기자본이익률(ROE) △순이익 등을 주요 근거로 삼았다. 실제 현대자동차의 매출액은 2022년 142조5275억원에서 지난해 162조6636억원으로 1년 새 14.13%(20조1361억원) 급증했다. 지난해 현대자동차의 순이익은 전년비 53.72%(4조2887억원) 늘어난 12조2723억원으로 집계됐다. 또한 매출 10조원 미만 기업 중 티웨이항공의 지난해 매출액은 전년비 156.51%(8230억원) 증가한 1조3488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순이익은 991억원으로 전년(-1187억원) 대비 2178억원 늘어나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투자 부문에서는 삼성전자, LG화학, 현대자동차, 카카오, NAVER 등이 선정됐다. 해당 부문은 △유·무형자산 투자액 △연구개발(R&D) 투자액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설비 투자에 60조5342억원, R&D 투자에 28조3528억원 등 총 88조8870억원을 쏟아부었다. LG화학은 설비 투자에 13조1128억원, R&D에 2조857억원 등 총 15조1985억원을 투자했다. 현대차는 지난해 설비 투자 8조8512억원, R&D 3조9736억원 등 투자에 총 12조8248억원을 집행했다. 지난해에는 IT전기전자, 석유화학, 자동차·부품 업종에서 가장 많은 투자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경쟁력 부문에서는 글로벌 1위 기업 대비 △매출액 비중 △영업이익률 격차를 비교·산정했다. 그 결과 기아, 현대자동차, 현대모비스, 삼성물산, LG전자가 우수기업으로 선정됐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국내 그룹 중 기아, 현대차, 현대모비스 등 현대차그룹의 주요 계열사들이 다수 포함됐다.

 

기아는 완성차 업계 세계 1위 폭스바겐과 비교해 매출 비중이 21.93% 수준으로 조사됐다. 영업이익률은 폭스바겐(7.01%)과 비교해 4.62%p 높은 11.63%였다. 현대차는 폭스바겐 대비 매출 비중이 35.74%였으며 영업이익률은 폭스바겐보다 2.29%p 높은 9.30%를 기록했다.

 

지배구조 투명부문 우수기업에는 케이티앤지, 삼성바이오로직스, NAVER, S-Oil, SK 등이 이름을 올렸다. 해당 부문은 △사업보고서 공시정정 건수 △이사회 구성임원 정보 공개 여부 △기업 지배구조 핵심지표 준수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건실경영 부문은 크래프톤, 오리온, 한전KPS, 셀트리온, 롯데정밀화학이 우수기업으로 뽑혔다. 이 부문의 평가 항목은 △영업이익률 △주당순이익 △이자보상배율 △부채비율 등이다. 크래프톤의 지난해 매출액은 1조9106억원, 영업이익은 7680억원으로 영업이익률 40.20%의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또 이자비용은 89억원으로 이자보상배율은 86.20나 됐다. 이어 자본 5조5588억원, 부채 8816억원으로 부채비율은 15.86%의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오리온의 지난해 영업이익률은 16.91%, 이자보상배율은 136.78을, 부채비율은 19.15%로 조사됐다.

 

일자리창출 부문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 삼성전자, 현대모비스, 삼성에스디에서, 삼성SDI 등이 우수기업에 선정됐다. 이 부문은 △고용 증감률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 비중 △평균 근속연수 △1인 평균 급여액 등을 기준으로 평가했다.

 

LG에너지솔루션는 지난해 말 기준 전년 대비 9.80%(1086명) 증가한 1만2166명을 고용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1인 평균 급여액은 1억2300만원이며 정규직 비중은 98.07%에 달했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말 기준 고용인원은 12만4804명으로 전년비 2.80%(3400명) 늘었다. 1인당 평균급여액은 1억2000만원이었으며, 정규직 비중은 99.52%로 거의 100%에 달하는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양성평등 부문에서는 삼성전자, 롯데쇼핑, 이마트, SK하이닉스, 삼성바이오로직스 등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이 부문은 △여성 임원 비율 △여직원 비율 △남녀 간 1인 평균 급여액 격차 △남녀 간 평균 근속 연수 격차 등을 평가했다.

 

사회공헌 및 환경보호 부문에선 현대백화점, SK케미칼, 현대위아, 롯데정밀화학, S-Oil 등이 우수기업으로 선정됐다. 해당 부문 평가에는 △매출액 대비 기부금 비율 및 증감률 △온실가스 배출량 증감률 △에너지 사용량 증감률 등을 반영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비가오나 눈이오나" 지하 바로 연결되는 ‘직통 역세권’ 프리미엄 '쑥'…반포 래미안 '트리니원’ 등 분양지역 '솔깃'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단지 출입문을 나서면 곧바로 지하철로 연결되는 ‘직통 역세권’ 아파트가 부동산 시장의 프리미엄 기준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동 편의성이 주거 선택의 최우선 가치로 자리 잡으면서, 단지와 역을 잇는 ‘문 밖이 곧 역’ 구조가 입지 경쟁력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예전에는 ‘도보 10분 이내’면 역세권이라 불렸지만, 최근 수요자들은 비나 눈이 오는 날에도 우산 없이 이동 가능한 ‘직통 연결’ 단지를 선호하는 추세다. 지하통로나 브리지를 통해 역으로 바로 진입할 수 있는 단지는 출퇴근 효율은 물론, 보행 안전성과 쾌적성까지 갖춰 주거 만족도가 높다. 실제로 이러한 단지는 이동 시간뿐 아니라 생활 동선의 질까지 향상시키며, 자산 가치 측면에서도 꾸준히 프리미엄을 형성하고 있다. 직통 역세권 단지의 장점은 단순한 교통 접근성에 그치지 않는다. 단지와 역이 맞닿은 구조상 유동 인구가 많아 상업시설이 활성화되고, 대형마트·병원·문화센터 등 생활 인프라가 함께 들어서는 경우가 많다. 입주민 입장에서는 외부 이동 없이 쇼핑·여가·의료 등 일상 기능을 한 공간에서 해결할 수 있어 교통과 생활의 가치를 동시에 누릴 수 있다. 서울 서초구 반포

유진홈센터, ‘에이스하드웨어 PL 브랜드' 자체 개발 권한 공식 획득…세계 70개국 에이스하드웨어 파트너 중 최초 획득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유진그룹(회장 유경선) 계열 유진홈센터(대표이사 유순태)가 미국 에이스하드웨어(Ace Hardware) 본사로부터 PL(Private Label, 자체상표) 브랜드 자체 개발 권한을 공식 획득했다고 17일 밝혔다. 전 세계 70여 개국의 에이스하드웨어 파트너 가운데 PL 브랜드 자체 개발 권한을 부여받은 것은 유진홈센터가 최초다. 이번 협력을 통해 유진홈센터는 에이스하드웨어 브랜드 제품을 기획, 생산, 유통하는 글로벌 파트너십 모델을 구축하게 됐다. 양사는 에이스하드웨어 PL 상품을 공동으로 개발해 에이스하드웨어 매장뿐 아니라 국내 도매 채널까지 공급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데일 페넬(Dale Fennel) 에이스 인터내셔널(ACE International) 사장은 유진홈센터의 뛰어난 브랜드 개발 역량과 포트폴리오 전략 수립 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유진홈센터의 공구부터 라이프스타일에 이르는 전 제품군의 높은 기획 수준을 언급하며, 향후 ACE와 유진홈센터 간의 협력 관계 발전에 대한 기대를 내비쳤다. 특히 유진홈센터의 자체 브랜드 ‘SEE’에 대해선 “누구나 구매하고 싶을 정도로 상품력이 뛰어나다”는 의견을 전달하며 높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