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8 (화)

  • 맑음동두천 2.0℃
  • 맑음강릉 4.9℃
  • 맑음서울 1.8℃
  • 맑음대전 3.4℃
  • 맑음대구 4.3℃
  • 맑음울산 3.7℃
  • 구름조금광주 2.7℃
  • 맑음부산 6.3℃
  • 구름많음고창 1.5℃
  • 구름많음제주 5.0℃
  • 맑음강화 0.7℃
  • 맑음보은 1.3℃
  • 맑음금산 2.8℃
  • 맑음강진군 3.4℃
  • 맑음경주시 4.7℃
  • 맑음거제 5.5℃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공간차트] 신규 상장으로 1조 주식갑부 누구?…100억 넘는 슈퍼리치만 124명

CXO연구소, 작년 신규 상장된 상장사 149곳 대상 주식재산 100억 넘는 주주 조사
MZ세대 주식부자도 24명 입성…단일종목 중 ‘시프트업’에서만 6명 나와 最多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24년 한국거래소에 신규 상장한 상장사 중 개인주주 주식평가액이 1조원 넘는 재벌급 수준의 거부(巨富)가 탄생했다.

 

주식재산 1000억 클럽(1000억원~1조 미만)에 가입한 슈퍼부자도 8명 나왔다. 또 작년에 150여 곳의 신규 상장사 중 지난 7일 기준으로 주식평가액이 100억원 넘는 주식부자만 해도 120명 이상 탄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여기에는 1980년 이후 출생한 MZ세대만 해도 20명 넘었는데, 올해 기준 30대인 젊은 슈퍼리치도 6명 포함된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가 ‘2024년 신규 상장한 상장사 대상 주식평가액 100억 넘는 주식부자 현황 조사’ 결과에서 도출된 것이라고 11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지난해 1월부터 12월 사이 코스피와 코스닥 등에 신규 상장한 149개 상장사의 개인주주이다.

 

주식평가액은 2월 7일 종가(終價) 기준으로 계산해 100억원 넘는 주식부자 현황을 파악했다. 주식평가액은 신규 상장한 단일종목 1곳에 대해서만 계산이 이뤄졌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150여 곳의 작년 신규 상장 주식종목 중 이달 7일 종가 기준으로 주식평가액이 100억원 넘는 주식부자는 124명 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주식평가액으로 구분해보면 1조원이 넘는 1명을 포함해 1000억원 이상은 모두 9명이었다. 이어 ▲500억원~1000억원 미만 20명 ▲300억~500억 25명 ▲100억~300억 70명으로 조사됐다. 10억~100억원 사이 주식가치를 보인 주주도 149명으로 파악됐다.

 

 

이달 7일 기준으로 주식재산이 1조원 넘는 주식갑부에는 게임업체인 ‘시프트업’ 김형태 대표이사가 이름을 올린 것으로 확인됐다. 김 대표이사는 시프트업 종목의 주식을 2266만 1370주를 보유한 최대주주이다. 시프트업의 이달 7일 종가 기준 6만700원으로 곱한 김 대표이사의 주식평가액은 1조3755억원으로 평가됐다. 다만, 작년 7월 11일 첫날 상장될 당시 주식평가액 1조6089억원과 비교하면 14.5% 하락했다.

 

흥미로운 점은 김형태 대표이사는 과거 엔씨소프트 아트디렉터(AD)로도 재직한 바 있었다는 점이다. 이달 7일 기준 엔씨소프트 최대주주인 김택진 대표이사의 주식재산은 4507억원 수준이다. 과거 월급쟁이였던 김형태 대표이사의 주식재산은 재직 당시 오너인 김택진 대표이사보다 배 이상 많아져 눈길을 끌었다. 엔씨소프트를 나와 시프트업 회사를 차린 것이 김형태 대표이사 입장에서는 부(富)의 대역전을 이뤄내는 전환점이 된 셈이다.

 

김형태 대표이사를 포함해 시프트업에서만 이달 7일 기준 주식가치가 100억원 넘는 주식부자는 모두 6명이나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기에는 ▲민경립(36세) 589억원 ▲이형복(48세) 330억원 ▲조인상(44세) 182억원 ▲채지윤(41세) 163억원 ▲이동기(43세) 105억원 순으로 높았다.

 

주식재산이 1000억원~1조원 사이에 해당하는 1000억 클럽에는 8명이 포함됐다.

 

여기에는 ▲박동석 산일전기(7566억원) ▲김병훈 에이피알(5917억원) ▲강은숙 산일전기(4027억원) ▲백종원 더본코리아(2629억원) ▲이성호 씨메스(1256억원) ▲공경철 엔젤로보틱스(1061억원) ▲박영근 탑런토탈솔루션(1046억원) ▲이돈행 넥스트바이오메디컬(1000억원) 대표이사가 이달 7일 기준 주식평가액 1000억원 이상을 기록했다.

 

주식재산 1000억 클럽에 가입한 8명 중 각 종목별로 지난해 상장 첫날 대비 이달 7일 기준으로 4명은 주식평가액이 증가한 반면 나머지 4명은 감소해 희비가 엇갈렸다.

 

증가율로만 보면 이돈행 넥스트바이오메디컬 대표이사가 가장 크게 웃었다. 앞서 종목은 작년 8월 20일에 처음 상장됐다. 상장 첫날 이돈행 대표이사의 주식가치는 넥스트바이오메디컬의 보통주 1주당 주가가 2만3700원으로 마감해 507억원 수준으로 평가됐었다. 그러던 것이 지난 7일에는 1주당 주가가 4만6750원으로 크게 오르면서 이돈행 대표이사의 주식재산도 상장 첫날 대비 97.3%나 껑충 뛰어 1000억원대 주식부자 대열에 합류했다.

 

이성호 씨메스 대표이사도 작년 10월 24일 첫날 상장 때는 725억원 수준이었는데, 이달 7일에는 1200억원 이상 기록하며 73.2%나 주식재산이 크게 불었다.

 

박동석 산일전기 대표이사를 비롯해 박 대표이사의 배우자인 강은숙 주주도 지난해 7월 29일 첫날 상장일 대비 이달 7일 기준 37.5%나 올라 미소를 지었다. 작년 상장 첫날인 7월 29일 기준 박동석 대표이사의 주식가치는 5504억원, 강은숙 주주는 2929억원 수준이었다. 이달 7일 기준 박동석 대표이사 부부의 합산 주식평가액만 해도 1조원을 넘어섰다.

 

 

이와 달리 공경철 엔젤로보틱스 이사회 의장의 작년 3월 26일 상장 첫날 주식평가액은 2253억원이었는데, 이달 7일에는 1061억원으로 감소했다. 11개월 새 52.9%로 반토막 넘게 쪼그라든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한돈 빽햄 논란으로 이슈가 불거졌던 더본코리아 백종원 대표이사의 주식평가액도 41.8%나 내려앉았다. 지난해 11월 6일 상장 첫날 때만해도 백 대표이사의 주식재산은 4519억원으로 5000억원을 넘봤지만, 불과 3개월 새 2000억원대로 내려앉아 울상을 지었다.

 

김병훈 에이피알 대표이사의 주식가치도 작년 2월 27일 첫 상장일 때는 7889억원 수준을 보였는데, 거의 1년여 새 25%의 지분 가치가 사라져 5000억원대로 감소했다.

 

이달 7일 기준 주식재산이 800억~900억원대를 보이며 1000억원에 초근접한 주주도 5명으로 조사됐다.

 

여기에는 ▲황희종 삼현(988억원) ▲남명용 루미르(917억원) ▲문승호 에이치브이엠(882억원) ▲김재학 하이젠알앤엠(839억원) ▲최영섭 차이커뮤니케이션(820억원) 대표이사가 속했다. 이중 상장 첫날 1000억원 넘는 주식평가액을 보인 주주에는 ▲황희종 삼현(1175억원, 3월21일 상장 첫날) ▲남명용 루미르(1126억원, 10월21일) ▲최영섭 차이커뮤니케이션(1571억원, 9월27일) 대표이사가 포함됐다.

 

작년 신규 상장으로 주식부자 100억 클럽에 가입한 124명을 출생년도별로 살펴보면 1970년대생이 36명으로 최다였다. 이어 ▲1960년대생 34명 ▲1980년대생 24명 ▲1950년대생 14명 ▲1950년 이전 출생자 6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1980년 이후 태어난 MZ세대 중에서도 올해 기준 30대인 젊은 주식부자도 6명이나 탄생했다. 이들 중에는 5900억원이 넘는 주식재산을 보유한 김병훈(37세) 에이피알 대표이사의 주식가치가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1000억원에 육박한 황희종(36세) 삼현 최대주주를 비롯해 ▲황승종(39세) 삼현(637억원) ▲민경립(36세) 시프트업(589억원) ▲정지성(39세) 에스오에스랩(523억원) ▲김영준(36세) 노머스(494억원) 대표이사 등이 이름을 올렸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최근에 게임과 IT 업종 등을 중심으로 상장을 통해 부(富)의 엘리베이터를 타는 신흥 젊은 부자들이 많이 생겨나는 추세”라면서 “상장한 회사의 기업 가치를 지속적으로 성장 발전시키려면 시대에 맞는 새로운 젊은 기업가 정신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47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공간차트] 배당금 부호순위 TOP10 '1위 이재용'…정몽구·정의선·이부진·홍라희·이서현·최태원·구광모·정몽준·김남호 順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24년에도 국내에서 가장 많은 배당금을 받은 인물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었다.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명예회장이 2위를 차지했으며,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그 뒤를 이었다.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홍라희 전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 이서현 삼성물산 전략기획담당 사장 등 삼성가(家) 세모녀도 1000억 이상을 수령해 배당부호 상위권에 올랐다. 국내 상장사들의 지난해 배당금 총액은 전년 대비 10.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SK하이닉스가 배당금을 두 배 가까이 늘리며 증가세를 주도한 가운데, 정부의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정책에 발맞춰 기업들이 배당 확대 전략을 펼친 것도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18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지난 14일까지 현금 및 현물배당을 발표한 560개 기업들의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2024년 배당금 총액은 40조709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36조8631억원보다 3조8458억원 증가해 약 10.4% 상승한 수치다. 560개 기업 중 285개 기업(51%)이 전년 대비 배당금을 늘렸으며, 94개 기업(16.7%)은 지난해와 동

현대건설, 5100억원 규모 사우디 송전선로 공사 수주…중동서 K-전력망 건설역량 '우뚝'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현대건설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두 건의 송전공사를 연이어 수주하며 전력망 건설 분야의 독보적인 경쟁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현대건설은 최근 사우디 전력청(SEC)이 발주한 ‘태양광 발전 연계 380㎸ 송전선로 건설 프로젝트’를 연달아 수주했다고 밝혔다. 사우디 메디나와 젯다 지역에 각각 건설하는 송전선로로, 총 공사금액은 약 3억8900만 달러(한화 약 5125억원) 규모다. 메디나 지역에 구축하는 ‘후마이지 태양광 발전 연계 380kV 전력망’은 사우디 서부 내륙의 후마이지에 건설 예정인 태양광 발전소에서 메디나 인근의 변전소까지 연결하는 311km의 송전선로다. 젯다 지역에 건설하는 ‘쿨리스 태양광 발전 연계 380kV 전력망’은 사우디 서부 해안 쿨리스에 건설 예정인 태양광 발전소에서 메카 인근의 기존 전력선로를 연결하는 180km의 송전선로로, 두 프로젝트 모두 2027년 11월 완공을 목표로 한다. 이번 프로젝트의 시공사 선정은 발주처인 사우디 서부 전력청이 초청한 일부 기업의 경쟁입찰을 통해 이뤄졌다. 50여 년간 40건의 사우디 송전선로 건설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사우디 전력청과 오랜 신뢰관계를 구축해온 현대건설은

한미글로벌, PM 직업훈련과정 'GPMU 부트캠프' 3기 모집…"수강료 전액 국비지원에 채용시 특전까지"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1위 PM(건설사업관리) 전문기업 한미글로벌(회장 김종훈)이 디지털 융합 건설사업관리 실무인재 양성을 위한 ‘GPMU 부트캠프’ 3기 수강생을 오는 2월 24일까지 모집한다고 17일 밝혔다. 이 교육과정은 고용노동부의 KDT(K-Digital Training)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첨단∙디지털 선도기업 아카데미’ 중 하나로, 교육생들에게 현업 기반의 실무 교육을 제공하는 국비지원 직업 훈련 과정이다. 한미글로벌은 건설산업의 선도기업으로 선정되어 본 과정을 통해 디지털 시대의 맞춤형 건설사업관리(PM)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PM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GPMU 부트캠프’ 3기는 건설사업관리 직무에 관심이 있는 국민내일배움카드 발급 가능자를 대상으로 3월 14일부터 7월 3일까지 총 15주간 서울시 구로구에 위치한 코오롱싸이언스밸리에서 대면교육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매일 8시간씩 주 40시간, 총 600시간 이상의 집중 교육훈련과정으로 수강료는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한미글로벌의 현직 전문가로 구성된 강의진이 실제 프로젝트 정보에 기반한 현장맞춤형 강의와 실습을 진행하고 조건을 충족할 경우 훈련장려금

신한금융 진옥동 회장의 올해 첫 해외 IR行…韓금융시장의 안정성과 신한금융의 밸류업 알렸다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신한금융그룹(회장 진옥동)은 지난 12일부터 나흘간 일본에서 현지 주요 금융기관 및 기관 투자자들과 만나는 올해 첫 해외 IR(투자설명회)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16일 밝혔다. 진옥동 회장은 방일 기간 동안 최근 고조된 한국 금융시장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국내외 업권 동향을 공유하며 일본 기관 투자자들의 투자 유치 및 확대를 위해 쉼 없는 일정을 소화했다. 일본 금융청, 일본은행(BOJ) 등에 이어 다이와증권, 미즈호, SMBC 등의 주요 투자자들과 만나 국내외 정치·경제 불확실성 증대에도 불구, 빠르게 안정되고 있는 한국 금융시장 현황과 함께 신한금융의 경영실적 및 밸류업 프로그램 이행 상황을 전했다. 특히 적극적인 가계부채 관리, 부동산 PF 시장 불확실성에 대한 선제적 대응, 증권사 정상화를 통한 자본시장 활성화 노력 등 내실 있는 성장을 통해 한국의 밸류업 선도 금융그룹으로서 충실히 역할을 수행해 나갈 것을 약속했다. 한편, 신한금융은 지난해 말부터 해외 투자자들과의 1:1 화상회의, 대면 면담뿐만 아니라 전 세계 20개국의 250여개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투자자들을 안심시키고 국내 금융시장 상황을 발빠르게 공유

주거 전문기업 층간소음 해결 '맞손'…GS건설, LX하우시스와 아파트 층간소음 저감 기술 개발 MOU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GS건설이 국내 건축자재 대표기업인 LX하우시스와 손잡고 공동주택 층간소음 줄이기에 본격 나선다. GS건설은 12일 GS건설 조성한 부사장(CTO)와 LX하우시스 강성철 전무 (경영전략부문장)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 종로구 GS건설 사옥에서 ‘고성능 층간차음 바닥구조 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GS건설은 LX하우시스가 층간차음 바닥구조 완충재로 자체 개발한 고성능 폴리우레탄을 아파트 바닥 시공에 사용해, 입주 시 바닥충격음 측정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층간차음 바닥구조 개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GS건설은 입주시에도 안정적으로 층간차음 성능이 구현될 수 있는 바닥구조 개발 연구를 진행해 왔다. 보다 실효성 있는 층간소음 저감을 위해서는 자재와 구조기술, 현장 품질관리가 합쳐져야 한다는데 LX하우시스와 의견을 모으고, 공동으로 연구개발에 나서게 됐다. LX하우시스가 자체 개발한 폴리우레탄 완충재가 적용된 바닥구조는 지난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서 진행한 ‘2024 고성능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기술공모’에 참가해 의자를 끄는 소리 등의 경량충격음은 물론, 아이들이 뛰는 소리

눈 높아진 수요자들, ‘육각형 아파트’에 몰린다…"선호요인 모두 갖춘 완성형 아파트" 흥행 키워드 '쑥'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아파트 분양시장에서 육각형 아파트가 인기를 끌고 있다. 육각형 아파트란 상품성, 브랜드, 입지, 교통, 학군 등 수요자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를 고루 갖춘 완성형 아파트를 이르는 말로, 주택 수요자들이 선호하는 기준을 대부분 충족하고 있는 단지를 가리킨다. 예컨대 입지와 인프라는 물론 브랜드와 상품성 측면에서도 만족할 만한 기준을 지니고 있어 실거주는 물론 투자 안정성까지 보유하고 있는 곳을 지칭하는 것으로,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가 발간한 《트렌드 코리아 2024》에서 소개된 신조어인 ‘육각형 인간’에서 확장된 표현이다. 육각형 아파트는 청약 경쟁률 측면에서 서울시는 물론 강남 3구 내에서도 상위권에 오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해 7월 분양한 서울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펜타스’는 1순위 청약에서 178가구 모집(특별공급 제외)에 총 9만3,964건이 접수돼 527.3대 1의 높은 청약경쟁률을 기록한 바 있다. 같은 달 분양한 서울 강남구 도곡동 ‘래미안 레벤투스’도 1순위 청약에서 71가구 모집(특별공급 제외)에 2만8,611건이 접수돼 40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또한, 지난해 10월 분양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