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6 (일)

  • 맑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1.2℃
  • 맑음서울 18.4℃
  • 맑음대전 19.7℃
  • 구름조금대구 18.4℃
  • 구름조금울산 20.2℃
  • 구름많음광주 19.4℃
  • 맑음부산 20.1℃
  • 구름조금고창 19.2℃
  • 맑음제주 21.1℃
  • 구름많음강화 14.9℃
  • 맑음보은 17.3℃
  • 구름조금금산 19.3℃
  • 구름조금강진군 20.3℃
  • 구름많음경주시 20.6℃
  • 맑음거제 18.3℃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랭킹연구소] 500대 CEO 출신대학 '서울·고려·연세·한양·성균관' 順…출신전공 '경영·경제·화학공학·기계공학·법학' 順

500대기업 CEO, 평균연령 59.6세…서울대 출신 줄었다
평균 연령, 4년 전보다 1.1세↑…60대가 50대보다 많아
서울대 출신 CEO 비중 4.0%p 줄었어도 SKY 출신 절반 가까워
경영학 전공 23.3%로 최다…고졸 CEO는 3명 불과
CEO스코어, 500대기업 대표이사 이력 분석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올해 500대기업 대표이사들의 평균 연령은 4년 전인 2020년보다 1.1살 많은 59.6세로 집계됐다. 서울대 출신 CEO의 비중도 이전보다 줄었다.

 

3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김경준)가 2024년 지정 매출 기준 500대기업 중 대표이사 이력이 조사 가능한 405개사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올해 기준 대표이사의 평균연령은 59.6세로 집계됐다. 이는 4년 전인 2020년(58.5세)보다 1.1세 늘었다.

 

조사 대상 대표이사의 수는 2020년말 531명, 2024년 5월말 기준 528명이다. 60대 대표이사의 비중이 50대를 초과하는 ‘고령화’ 현상도 뚜렷했다.

 

2020년 52.5%(279명)로 과반을 차지했던 50대 대표이사는 2024년 40.0%(211명)으로 12.5%포인트(68명)나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60대 대표이사는 35.0%(186명)에서 48.7%(257명)으로 13.7%포인트(71명) 늘었다.

 

이 밖에 30~40대 젊은 대표이사는 6.6%(35명)으로 4년 전보다 1.1%포인트(6명) 줄었으며, 70대 이상 고령 대표이사는 4.7%(25명)로 4년 전과 비슷했다.

 

서울대 출신 대표이사는 총 21.4%(113명)로 4년 전 25.4%(135명) 대비 4.0%포인트(22명) 감소했으나,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가장 높았다. 이어 고려대 출신 대표이사는 12.1%(64명), 연세대 출신은 12.1%(64명)로 4년 전 대비 각각 0.8%포인트(4명), 2.9%포인트(15명)씩 늘었다.

 

이들 ‘SKY 대학(서울대‧고려대‧연세대)’ 출신 대표이사 비중은 45.6%(241명)로 2020년 45.9%(244명) 대비 소폭(0.3%포인트, 3명) 감소했지만 여전히 절반에 가까운 비중을 보였다.

 

그 외 출신 대학으로는 한양대(23명), 성균관대(20명), 부산대(19명), 서강대(19명), 한국외대(15명), 인하대(11명), 경북대(8명) 등이 있다.

 

 

비(非) 서울권 소재 대학 출신 대표이사는 18.8%(99명)로 2020년 19.4%(103명)보다 0.6%포인트(4명) 줄었다. 부산대, 인하대, 경북대를 포함해 영남대(5명), 충북대(5명), 카이스트(5명) 등으로 집계됐다.

 

외국 대학 출신 대표이사는 2020년 8.5%(45명)에서 2024년 10.2%(54명)로 1.7%포인트(9명) 늘었다. 오하이오주립대(3명), 아오야마가쿠인대(3명), 하버드대(3명) 순으로 나타났다.

 

고졸 출신 대표이사는 2020년과 2024년 모두 3명뿐이었다.

 

500대 기업 대표이사들의 전공은 경영학이 123명(23.3%)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제학 61명(11.6%), 화학공학 43명(8.1%) 등이 다수를 차지했다.

 

경영학을 전공한 대표이사는 2020년 21.8%(116명) 대비 1.5%포인트(7명) 늘어난 반면, 경제학 전공은 2020년 12.6%(67명) 대비 1.0%포인트(6명) 줄었다. 화학공학 전공은 2020년 6.2%(33명)보다 1.9%포인트(10명) 증가했다.

이어 기계공학 27명(5.1%), 법학 26명(4.9%), 전기‧전자공학 21명(4.0%), 정치외교학 18명(3.4%) 순으로 각각 집계됐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The Numbers] DSR·LTV도 대감집 머슴에게 '딴세상'…사내대출, ‘부동산 규제 우회 통로’로 급부상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최근 국내 대기업과 공공기관들이 운영하는 사내대출 제도가 ‘부동산 규제 우회 통로’로 급부상하고 있다. 시중은행 가계대출 규제가 한층 강화되면서, 삼성, 현대차, 네이버, 카카오, SK하이닉스, 두나무 등 유수의 기업들은 직원 복지 수단으로 사내대출 한도와 금리를 대폭 상향·인하하는 추세를 보인다. 특히 두나무는 최근 집값 안정 대책에도 불구, 사내대출 한도를 기존 3억원에서 5억원으로 늘리고 금리 역시 무이자에 가깝게 운용해 ‘역대급 복지’ 논란의 중심에 섰다.​​ DSR·LTV 적용 없는 사내대출, 실제 규모 5년 새 63% 급증 사내대출이 ‘근로복지기금’으로 취급된다는 사실은 돈줄이 막힌 실수요자들에게 큰 매력이다. 회사가 직접 대출을 시행할 경우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나 LTV(주택담보인정비율) 등 금융권 규제와 관계없이 한도 산정이 자유롭고, 신용점수에도 영향이 없다. 실제 2020년 연간 대출액은 2조원대에서 2023년 3조392억원까지 63%나 늘었고, 공공기관을 포함한 상위 7개 기관의 사내대출 잔액도 최근 5년간 500억원 이상 증가했다.​ 국내 대표적인 사내복지가 우수한 회사별 사내대출 한도와 금리는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