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4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프랜차이즈 본사·점주 ‘이익 불균형 심화' 4배差…본사 웃고, 가맹점 운다

'팬데믹 이후' 3년치 분석 결과
치킨·피자 가맹점 늘고 점포당 평균매출은 감소, 본사 매출증가율 30% 이상
화장품 가맹점수 반토막…커피·음료 유일하게 점포수·연매출 동시 성장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주요 프랜차이즈업계의 ‘이익 불균형’이 한층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가맹본사 영업이익이 2020년 대비 80% 가까이 늘어난 반면 가맹점 영업이익은 제자리였다. 이 기간 프랜차이즈 가맹점포당 평균 매출 증가율은 본사 매출액 증가율의 4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특히 치킨, 피자, 편의점 업종에서 가맹점수는 증가하는데 점포당 평균매출액은 감소하는 시장 포화의 전형적 문제를 드러냈다.

 

24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프랜차이즈 대표격인 커피, 치킨, 피자, 편의점, 제과제빵, 외식, 화장품 등 7개 업종의 가맹본부와 가맹점의 3년치 현황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이같이 내놓았다. 

 

해당 조사는 코로나 팬데믹이 있었던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비교가능한 프랜차이즈 128개 가맹본부의 가맹점수, 점포당 연평균 매출액, 본사 매출액과 영업이익 등을 분석한 것이다. 

 

조사 결과 국내 대표 7개 업종 프랜차이즈 가맹점수는 2020년 9만1239개에서 지난해 10만1792개로 11.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맹점당 연평균 매출액은 2억8728만원에서 3억871만원으로 7.5% 늘었다. 

 

이 기간 가맹본사 매출액은 52조9683억원에서 70조291억원으로 32.2% 증가하며, 가맹점 평균 매출 증가율의 4배 이상이었다. 가맹본사들의 영업이익도 1조1117억원에서 1조9763억원으로 77.8% 급증했다. 소매가격 인상이 개별 업주들이 아닌 가맹본사에 전이된 것이다. 

 

프랜차이즈 가맹본사와 점주간 불균형 성장이 가장 심한 업종은 피자, 치킨, 편의점이었다. 가맹점이 가장 많이 늘어난 것은 피자 프랜차이즈로, 20개 가맹본부 점포수가 2020년 4025개에서 3년새 4636개로 15.6% 증가했다. 반면 점포당 연평균 매출액은 3억5912만원에서 3억2203만원으로 10.3% 감소했다. 그러나 본사 매출액은 1조87억원에서 1조4332억원으로 오히려 42.1%나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피자 다음으로 가맹점이 많이 늘어난 업종은 편의점이었다. 9개 가맹본부의 점포수가 4만5822개에서 5만2614개로 14.8%가 증가했다. 편의점 업종 역시 가맹점 매출은 두 자릿수로 감소했다. 가맹점당 연평균 매출액이 2020년 3억8514만원에서 지난해 3억4533억원으로 –10.3%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본사 9곳의 매출액은 20조8515억원에서 27조 8498억원으로 33.6% 증가했으며, 영업이익 증가율은 이보다 높은 48.0%(3843억원→5687억원)로 나타났다. 

 

 

치킨 업종도 비슷한 추세를 보였다. 가맹점수가 1만3910개에서 1만5093개로 8.5% 늘어났지만, 점포당 평균 매출액은 3억3500만원에서 3억2969만원으로 1.6% 줄었다. 이에 비해 치킨 프랜차이즈 가맹본사 매출액은 2조9315억원에서 3조8969억원으로 32.9% 증가했다.

 

가맹점이 줄면서 연평균 매출액이 증가한 업종은 외식, 제과제빵, 화장품이었다. 이중 화장품 프랜차이즈 점포가 가장 많이 사라졌다. 조사 대상 7개 화장품 프랜차이즈 본부의 가맹점은 2020년 1440개에서 지난해 763개로 반토막이 났다. 이 기간 점포당 연평균 매출액은 2억524만원에서 2억2880만원으로 11.5% 증가했다.

 

본사 매출액은 5조1896억원에서 4조4403억원으로 –14.4%를 기록했지만, 관련 비용 감소로 영업이익은 오히려 크게 늘었다. 103억원에서 1454억원으로 무려 1309.3% 증가율을 보였다. 

 

제과제빵 업종도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16개 가맹본부 산하 점포수가 6661개에서 6498개로 3년새 2.4% 감소했지만, 연평균 매출액은 2억2536만원에서 3억5263만원으로 56.5% 증가했다. 해당 기간 가맹본사 매출도 11조6741억원에서 15조6818억원으로 34.3% 상승했으며, 영업이익은 1299억원에서 3371억원으로 159.5% 늘었다.

 

소상공인들이 가장 많이 창업하는 외식분야 가맹점 또한 줄었다. 외식분야 42개 가맹본부 점포수는 9151개에서 9125개로 소폭 감소(-0.3%)한 가운데, 가맹점 연평균 매출액은 2억4906만원에서 3억455만원으로 22.3% 증가했다. 본사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더 큰폭으로  상승했다. 외신 프랜차이즈 본사 매출액은 1조33억원에서 1조5109억원으로 가맹점 매출증가율의 두 배 이상(50.6%)을 올렸고, 영업이익은 90억원에서 807억원으로 799%나 늘었다.

 

팬데믹 이후 가맹점수와 매출액이 동시에 성장한 업종은 커피 및 음료가 유일했다. 15개 프랜차이즈 본부의 가맹점 수는 1만230개에서 1만3063개로 3년간 27.7% 늘어나며 가장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가맹점당 연평균 매출액도 2억5206만원에서 2억7796억원으로 10.3% 늘었다. 본사 매출액 역시 10조3095억원에서 15조2162억원으로 47.6%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2433억원에서 4428억원으로 82.0% 상승했다.    

 

한편 업종과 관계 없이 단일 브랜드로 가맹점이 가장 많은 곳은 편의점 CU(1만6615개)였다. 가맹점당 연평균 매출액이 가장 높은 곳은 더본코리아의 빽다방빵연구소로 지난해 기준 8억1752만원이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주변 온도 낮춘다는 도시숲, 폭염 속 숲세권·공세권 아파트 '눈길'…조망∙산책∙휴식까지 청약경쟁 '후끈'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계속되는 폭염 속에서 공원 인근 아파트들이 주목받고 있다. 공원과 같은 도시숲은 주변 온도를 낮추는데 효과적인 데다 쾌적한 주거 환경까지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산림청 자료를 보면, 도시숲은 주변 온도를 약 3~7℃ 낮추고, 습도는 약 9~23% 높여 도시 열섬현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공기 중 미세먼지를 흡수하고 차단해 일반 미세먼지는 약 25.6%, 초미세먼지는 약 40.9%까지 줄이는 효과가 있다. 산업단지와 주거지 사이에 완충숲을 만든지 10년 후에는 산업단지의 미세먼지는 32%가 줄어들었고, 주거지역에도 46.8%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실제 주거 환경을 쾌적하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하는 만큼 공원 인근 아파트는 가치가 높게 나타난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세종 나성동 일원 ‘나릿재마을2단지 세종 리더스포레(‘21년 6월 입주)의 전용면적 84㎡는 올해 4월 11억5,000만원에 거래돼 지난해 같은 기간 실거래 가격(9억원) 대비 약 2억5,000만원 올랐다. 이 단지는 단지 바로 옆에 아이뜰어린이공원이 있으며 나성동독락정역사공원, 세종중앙공원, 어리연수변공원 등

삼표그룹, 자립준비청년의 안정적 기반 마련 '앞장'…은평구와 주거환경개선 지원사업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삼표그룹과 은평구청이 자립준비청년들이 보다 나은 환경에서 생활하고 자립적인 삶을 구축할 수 있도록 힘을 합쳤다. 건설기초소재 전문기업 삼표그룹(회장 정도원)이 은평구청과 손잡고 자립준비청년들의 주거환경 개선을 지원한다고 12일 밝혔다. 자립준비청년은 보호시설 퇴소 후 대체로 임대주택과 노후화된 주택에서 홀로서기를 시작한다. 어린 나이에 생활비와 교육비, 취업 준비 등의 필수 비용 마련에도 벅차기에 곰팡이로 얼룩진 벽지, 장판 교체, 단열, 방수 처리 등 기본적인 집수리나 유지 비용에 어려움을 토로하는 것이 대다수다. 따라서 시설 퇴소 초기 정착을 위한 임대주택 지원제도, 초기 지원 물품도 제공하고 있지만 그 이후의 주거 상황 등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지원제도가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삼표그룹은 주거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자립준비청년들의 생활 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은평구와 함께 주거환경 개선 사업을 진행, 총 1000만원의 후원금을 전달하기로 했다. 후원금은 자립준비청년 10명을 대상으로 화장실 수리, 보일러 교체 등 실질적인 주거 환경 개선에 사용될 예정이다. 유용재 삼표그룹 사회공헌단 상무는 “이번 주거환경개선 지원을 통해 자립준

우미건설, 건설 정보 AI ‘린 GPT’ 개발…"언제 어디서나 건설 질문에 실시간 답변"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우미건설이 맞춤형 AI 챗봇 개발회사인 도슨티와의 협업으로 건설 정보 AI ‘린 GPT’를 개발했다. ‘린 GPT’는 시공, 설계, 안전 등 건설과 관련된 질문에 대해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답변할 수 있는 생성형 AI다. 우미건설은 ‘린 GPT’에 건축법, 산업안전보건법 등의 공공데이터와 자체데이터를 학습시켜 현장에서 필요한 질문에 정확하고 신속하게 답변할 수 있도록 했다. 부서 간·회사 간 협업 비중이 높고, 데이터 형식이 다양해 디지털 정보 접근성이 낮은 건설업의 특수한 요구에 대응한 것이다. 실제로 삼성물산의 패브릭스 플랫폼(삼성SDS의 기업용 생성형 AI 서비스), 대우건설의 바로답(계약문서 분석시스템), GS건설의 Xi-Book(공사 기준 검색 프로그램) 등 많은 상위 건설사들이 자체 AI를 개발하고 있다. ‘린 GPT’는 외부 AI인 챗GPT와의 연결 기능 및 국가법령정보센터와 국가건설기준센터의 실시간 업데이트 정보도 제공한다. 우미건설은 ‘린 GPT’ 를 통해 본사와 현장 간의 정보 격차를 줄이고, 업무 속도 향상 및 시공 오류 감소는 물론, 안전성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미건설 건축본부 기술 담당 김

[이슈&논란] 왜 리플(XRP)은 트럼프 행정부 '전략비축 암호화폐'에서 제외됐을까…"규제 불확실성 별개, 질주는 진행형"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2025년 8월, 미국 백악관이 발표한 166쪽 분량의 '디지털 자산 정책 보고서'에서 리플(XRP)이 공식적으로 ‘전략비축 암호화폐’ 리스트에서 제외된 사실이 글로벌 디지털 자산 시장에 큰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솔라나(SOL), 체인링크(LINK), 유니스왑(UNI) 등 주요 암호화폐들이 선정된 것과는 극명한 대조를 이뤘다. 이번 정책 보고서는 암호화폐에 대한 미국 정부의 규제·육성 전략 방향뿐 아니라 블록체인·토큰화 증권·스테이블코인·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등 혁신과제 전반을 광범위하게 다뤘다는 점에서, 공식 리스트 배제는 상징적 의미가 더욱 크다. 리플(XRP) 정책 배제의 충격…법정 분쟁 여전 XRP의 전략비축 제외는 시장과 투자자들에게 충격 그 자체다. 개인 투자자 판매분에 대해 미국 법원이 '증권이 아니다'고 판결한 데 이어, 2025년 3월 SEC가 항소를 공식 철회하며 3년간의 '리플-SEC 소송전'에 마침표가 찍힌 바 있다. 그러나 백악관의 공식 보고서에서 XRP가 단 한 차례도 언급되지 않으면서 미국 정부가 리플을 장기적으로 비우호적 프로젝트나 이슈 자산으로 분류한

“단지보다 타운이 뜬다” 부촌 새로 쓰는 ‘브랜드 타운'…"생활인프라 집중되며 청약시장 인기"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분양시장에서 브랜드 단지가 모여 있는 이른바 ‘브랜드 타운’에 대한 선호도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누구나 알 수 있는 브랜드 아파트가 대거 밀집되면서, 지역의 시세를 주도하는 새로운 부촌으로 자리매김하는 모습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보면 인천 연수구 송도동 일원 ‘송도 더샵 파크애비뉴(‘18년 11월 입주)’ 전용면적 84㎡는 3월 15억5,000만원에 거래돼 올해 인천에서 거래된 ‘국민평형’ 중 최고가를 기록했다(22일 기준). 동기간 단지가 위치한 연수구에서 실거래된 동일 면적 아파트의 평균 가격은 6억1,953만원으로 이보다 약 2.5배 높은 금액에 거래된 셈이다. 포스코이앤씨는 이 단지 반경 1km 내에 9개 단지, 6,000여 가구의 ‘더샵’ 브랜드 타운을 이루고 있다. 이는 지방도 마찬가지다. 전북 전주시 일원 ‘포레나 전주에코시티(‘23년 5월 입주)’ 동일 면적은 올해 5월 7억3,000만원에 거래돼 올해 전북에서 거래된 동일 평형 중 최고가를 기록했다. 동기간 단지가 위치한 전주시에서 실거래된 동일 면적 아파트 평균 가격은 3억6,177만원으로 이보다 2배 이상 높은 금액에 거래된 것이다. 단지가 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