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맑음동두천 4.1℃
  • 맑음강릉 9.9℃
  • 구름많음서울 3.8℃
  • 구름많음대전 7.8℃
  • 맑음대구 9.7℃
  • 맑음울산 12.0℃
  • 구름많음광주 8.4℃
  • 연무부산 13.8℃
  • 구름많음고창 8.5℃
  • 맑음제주 14.5℃
  • 구름많음강화 2.5℃
  • 구름많음보은 6.2℃
  • 구름많음금산 7.1℃
  • 구름조금강진군 10.4℃
  • 맑음경주시 11.4℃
  • 구름조금거제 13.7℃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랭킹연구소] 기업 CEO, ‘관리형’ 늘고 '기술형’ 줄었다…3년새 기술형 CEO 3.4%p↓

시총 500대 기업, 경영·재무 출신 CEO가 ‘절반’
글로벌 기업, ‘기술형 CEO’ 중심 추세와 대조
대표이사 전공도 상경 계열 늘고 공학 계열은 감소
CEO스코어, 시총 500대 기업 대표이사 현황 분석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국내 시가총액 상위 500대 기업 대표이사(CEO) 가운데 경영·재무 출신의 ‘관리형 CEO'가 절반이나 되고, 3년 전에 비해서도 2.9%포인트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기술·연구직 출신의 ‘기술형 CEO’는 28.4%에 불과하고, 3년 전에 비해서도 3.4%p 줄어들었다.이는 글로벌 주요 대기업들이 AI(인공지능), 로봇 등 첨단 기술 트렌드에 맞춰 엔지니어 출신 CEO를 전면에 내세우는 추세와 대비되는 것이어서 눈길을 끈다.

 

19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시가총액 상위 500대 기업 중 470개 사를 대상으로 올해 3월(637명)과 2022년 3월(655명) 기준 대표이사들의 이력을 분석한 결과, 기술·연구 직무 출신 비중은 28.4%(181명)로 3년 전 대비 3.4%p 줄었다.

 

생산·구매 등 현장직 출신도 3.3%(21명)로, 3년 전(4.6%)보다 1.3%p 감소했다. 반면, 경영·재무 등 이른바 관리형 CEO 비중은 같은 기간 46.9%에서 49.8%(317명)로 2.9%p 늘어나며 전체의 절반(49.8%)에 육박했다.

 

엔지니어 출신 CEO 대신 관리형 CEO를 늘리는 추세는, 특히 자산 총액 5조원 이상인 대기업집단 소속 기업들(309명 조사)에서 더욱 뚜렷했다. 대기업 대표 가운데 기술·연구직 출신은 3년 새 4.6%p가 감소한 16.2%로, 5명 중 1명도 되지 않았다. 반면 경영·재무 출신은 58.6%(181명)로, 같은 기간 5.0%p나 증가했다.

 

 

또한 대기업 집단 이외 기업군(328명 조사)의 경우, 기술·연구직 출신이 39.9%로 상대적으로 비중이 컸지만, 이들 기업군도 역시 3년 전보다는 2.1%p가 줄어들었다. 반면 경영·재무 출신 대표 비중은 41.5%(136명)로, 2022년 3월(40.5%)보다 1.0%p 늘었다.

 

엔지니어 출신 CEO의 감소추세는 대표이사의 대학 전공에서도 확인된다.

 

조사 결과, 경영·경제학 전공자 비중은 3년 전 27.3%에서 올해 29.9%로 2.6%p 늘어난 데 반해, 전자·화학·기계·산업공학 등 공학계열 전공은 대부분 줄어드는 추세를 보였다. 실제, 전자·전기공학 출신은 7.9%에서 6.8%, 기계공학 출신은 4.6%에서 4.2%, 산업공학 출신도 3.2%에서 2.7%로 감소했다. 화학 및 화학공학 전공은 9.9%로 동일했다.

 

CEO 출신 대학은 서울대·연세대·고려대(SKY)가 전체의 46.0%로, 전체의 절반에 육박했다. 이 중 절반에 가까운 22.5%가 서울대 출신이었고, 연세대(12.7%), 고려대(10.8%) 출신이 그 뒤를 이었다.

 

조사대상 기업의 대표이사 평균 나이는 59.6세로, 3년 전(58.4세)보다 1.2세가 높아졌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비가오나 눈이오나" 지하 바로 연결되는 ‘직통 역세권’ 프리미엄 '쑥'…반포 래미안 '트리니원’ 등 분양지역 '솔깃'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단지 출입문을 나서면 곧바로 지하철로 연결되는 ‘직통 역세권’ 아파트가 부동산 시장의 프리미엄 기준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동 편의성이 주거 선택의 최우선 가치로 자리 잡으면서, 단지와 역을 잇는 ‘문 밖이 곧 역’ 구조가 입지 경쟁력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예전에는 ‘도보 10분 이내’면 역세권이라 불렸지만, 최근 수요자들은 비나 눈이 오는 날에도 우산 없이 이동 가능한 ‘직통 연결’ 단지를 선호하는 추세다. 지하통로나 브리지를 통해 역으로 바로 진입할 수 있는 단지는 출퇴근 효율은 물론, 보행 안전성과 쾌적성까지 갖춰 주거 만족도가 높다. 실제로 이러한 단지는 이동 시간뿐 아니라 생활 동선의 질까지 향상시키며, 자산 가치 측면에서도 꾸준히 프리미엄을 형성하고 있다. 직통 역세권 단지의 장점은 단순한 교통 접근성에 그치지 않는다. 단지와 역이 맞닿은 구조상 유동 인구가 많아 상업시설이 활성화되고, 대형마트·병원·문화센터 등 생활 인프라가 함께 들어서는 경우가 많다. 입주민 입장에서는 외부 이동 없이 쇼핑·여가·의료 등 일상 기능을 한 공간에서 해결할 수 있어 교통과 생활의 가치를 동시에 누릴 수 있다. 서울 서초구 반포

유진홈센터, ‘에이스하드웨어 PL 브랜드' 자체 개발 권한 공식 획득…세계 70개국 에이스하드웨어 파트너 중 최초 획득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유진그룹(회장 유경선) 계열 유진홈센터(대표이사 유순태)가 미국 에이스하드웨어(Ace Hardware) 본사로부터 PL(Private Label, 자체상표) 브랜드 자체 개발 권한을 공식 획득했다고 17일 밝혔다. 전 세계 70여 개국의 에이스하드웨어 파트너 가운데 PL 브랜드 자체 개발 권한을 부여받은 것은 유진홈센터가 최초다. 이번 협력을 통해 유진홈센터는 에이스하드웨어 브랜드 제품을 기획, 생산, 유통하는 글로벌 파트너십 모델을 구축하게 됐다. 양사는 에이스하드웨어 PL 상품을 공동으로 개발해 에이스하드웨어 매장뿐 아니라 국내 도매 채널까지 공급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데일 페넬(Dale Fennel) 에이스 인터내셔널(ACE International) 사장은 유진홈센터의 뛰어난 브랜드 개발 역량과 포트폴리오 전략 수립 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유진홈센터의 공구부터 라이프스타일에 이르는 전 제품군의 높은 기획 수준을 언급하며, 향후 ACE와 유진홈센터 간의 협력 관계 발전에 대한 기대를 내비쳤다. 특히 유진홈센터의 자체 브랜드 ‘SEE’에 대해선 “누구나 구매하고 싶을 정도로 상품력이 뛰어나다”는 의견을 전달하며 높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