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7 (목)

  • 흐림동두천 12.1℃
  • 흐림강릉 7.8℃
  • 흐림서울 18.4℃
  • 흐림대전 21.4℃
  • 맑음대구 16.8℃
  • 맑음울산 19.0℃
  • 구름많음광주 19.1℃
  • 부산 17.9℃
  • 구름많음고창 18.9℃
  • 맑음제주 25.2℃
  • 흐림강화 12.7℃
  • 구름많음보은 11.4℃
  • 구름많음금산 21.0℃
  • 흐림강진군 15.9℃
  • 맑음경주시 15.5℃
  • 구름많음거제 17.8℃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상장 중견기업, 25% '적자'…항공레저 '웃고' 제약바이오 '울고'

기업들 본사가  위치한 광화문 도심 전경 [뉴스스페이스DB]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올해 1분기 국내 상장 중견기업 4곳 중 1곳은 영업적자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19 종식’에 따라 항공사 및 여행‧레저 관련 업체들의 실적 성장이 두드러진 반면 코로나19의 수혜를 봤던 제약‧바이오 업체들은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업종별 희비도 엇갈렸다.

 

21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상장 중견기업 중 1분기 보고서를 제출한 713개사의 2022년 1분기와 2023년 1분기 실적을 조사한 결과, 181개(25.4%) 기업은 올 1분기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영업적자 기업 수는 지난해 1분기 144개(20.2%) 대비 37개(5.2%포인트) 늘어났다. 이는 대기업군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은 비율이다. 올 1분기 국내 500대 기업 중에서 올해 1분기 실적 확인이 가능한 309개사 중 영업적자 기업 수는 33개(10.7%), 지난해에는 24개(7.8%)에 불과했다.

 

중견기업 713개사의 올 1분기 영업이익은 2조6261억원으로 전년 동기(3조8111억원) 대비 1조1850억원(31.1%↓)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60조8084억원으로 전년 동기(60조4583억원) 대비 3502억원(0.6%↑) 증가해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조사 대상 중견기업 713개사 중 145개사(20.3%)가 전년 대비 적자전환하거나 적자 폭이 늘어났다. 반면 흑자 전환한 기업은 64개(9.0%)에 그쳤다. 올 1분기 기준 영업적자 규모가 가장 큰 중견기업은 게임업체 위메이드(-468억원, 적자전환)였다. 이어 위니아(-351억원, 적자확대), 롯데관광개발(-334억원, 적자확대), 네패스(-290억원, 적자확대) 순으로 적자폭이 컸다.

 

특히 올 1분기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종식 선언’이 이뤄지면서 정부의 방역정책이 사실상 해제됨에 따라, 관련 기업들의 등락이 두드러졌다. 조사 대상 기업 중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 증가액이 가장 큰 기업은 티웨이항공으로, 영업이익 825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390억원 대비 1214억원 증가한 것으로 흑자전환했다.

 

뒤이어 △파라다이스(446억원↑, 흑자전환) △휴스틸(417억원↑, 156.8%) △하나투어(353억원↑, 흑자전환) △와이지엔터테인먼트(304억원↑, 497.7%) △다원시스(292억원↑, 흑자전환) △JYPEnt.(229억원↑, 119.3%) △오스템임플란트(211억원↑, 41.2%) △핸즈코퍼레이션(209억원↑, 흑자전환) △제일약품(196억원↑, 흑자전환) 등 순이다.

 

코로나19의 수혜를 받아 급성장했던 씨젠은 올 들어 방역정책이 완화되면서 1년 새 영업이익이 2135억원 감소하며 적자전환했다. 이밖에 △후성(698억원↓, 적자전환) △인탑스(628억원↓, -83.3%) △위메이드(521억원↓, 적자전환) △아난티(399억원↓, 적자전환) △SIMPAC(397억원↓, -79.9%) △동화기업(355억원↓, 적자전환) △지씨셀(353억원↓, -97.7%) △원익IPS(328억원↓, 적자전환) △티에스이(288억원↓, 적자전환) 등 순이다.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감소한 기업은 402곳(56.4%)으로 절반을 넘기며 증가한 기업 311곳(43.6%)보다 많았다.

 

업종별로는 ‘IT전기전자’ 업종의 올 1분기 영업이익이 2818억원에 그치며 전년 동기 대비 6403억원(69.4%↓) 감소하며 가장 크게 줄었다. IT전기전자 업종은 매출액 역시 전년 대비 1조5535억원(11.3%↓) 감소해 업종 중 가장 많이 감소했다.

 

반면 영업이익 증가폭이 가장 큰 업종은 자동차‧부품 업종으로, 2899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두며 전년 동기(1057억원) 대비 1842억원(174.3%) 증가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비가 와도 OK”, 삼표산업 ‘블루콘 Rain OK’ 한국콘크리트학회 기술인증서 획득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삼표그룹이 국내 최초로 개발한 강우(降雨)시 타설 가능한 콘크리트 ‘블루콘 레인 오케이(BLUECON Rain OK)’가 한국콘크리트학회로부터 기술력을 인정 받았다. 삼표그룹(회장 정도원)의 주력 계열사인 삼표산업은 국내 최고 권위의 콘크리트 전문 학술단체인 한국콘크리트학회로부터 ‘블루콘 레인 오케이’에 대한 기술 인증을 획득했다고 26일 밝혔다. 한국콘크리트학회의 기술인증은 신기술 및 콘크리트 재료, 공법 등의 기술개발 사항을 학회 전문가의 면밀한 검토와 심의를 거쳐 건설 기술에 우수성을 인증하고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한 제도다. 삼표산업 ‘블루콘 레인 오케이’의 인증 분야는 재료 및 자재다. 시간당 3mm 이하의 강우 타설시 혼화제와 최적의 원재료를 사용해 재료 분리 저항성을 높여 콘크리트 공사 표준시방서(KCS 14 20 00)에 따른 강도를 만족하고 유동성을 갖는 콘크리트 제조 기술이다. 강우일 때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빗물이 섞여 강도·내구성·품질 저하 문제로 부실 시공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와 관련해 국민적 공분을 사는 일이 발생한 적도 있다. 이에 삼표산업은 사고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된 압축 강도 부족과 품질 저하에 대한

"불황에 살아남아야 강한 브랜드"…신동아·대저건설 '휘청'에 분양 ‘빅 브랜드’로 쏠린다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주택시장에서 대형건설사의 브랜드 파워가 재조명 받고 있다. 최근 치솟는 공사비에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만기 이슈 등이 맞물려 중견·중소 건설사가 잇따라 부도에 처하는 등 건설업 전반에 위기감이 감돌자 대형건설사의 안정성이 주목받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최근 3년 간 종합건설업체 폐업 신고건수는 ▲2022년 261곳 ▲2023년 418곳 ▲2024년 516곳 등 해마다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올해에도 채 1분기를 지나지 않은 시점에 63빌딩을 시공한 신동아건설을 비롯해 경남지역 2위의 대저건설, 시공능력 83위의 대우조선해양건설 등이 잇따라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수요자들의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다 보니 청약시장에서 브랜드 아파트로의 수요 쏠림이 두드러지는 모습이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자료를 보면 올 1~3월(10일 기준) 전국 분양단지 중 시공능력평가순위 상위 10개 건설사가 공급한 브랜드 아파트는 총 6곳으로, 일반공급 3800가구 모집에 총 8만9047명이 몰려 1순위 평균 23.4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중견·중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