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4 (월)

  • 구름많음동두천 6.4℃
  • 구름조금강릉 9.4℃
  • 서울 5.4℃
  • 대전 4.8℃
  • 대구 7.6℃
  • 울산 6.9℃
  • 광주 6.8℃
  • 흐림부산 11.9℃
  • 흐림고창 5.7℃
  • 구름많음제주 12.3℃
  • 흐림강화 5.6℃
  • 흐림보은 5.0℃
  • 구름많음금산 5.4℃
  • 흐림강진군 8.2℃
  • 흐림경주시 6.9℃
  • 흐림거제 11.1℃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공간차트] 트럼프發 '관세폭탄' 국내 25개 그룹 캐나다·멕시코에 해외법인 201곳…삼성·현대차·한화·LG·포스코 順

CXO연구소, 88개 대기업집단 대상 멕시코 및 캐나다 진출 해외계열사 현황 조사
캐나다 110곳·멕시코 91곳 운영…한화·LG·포스코도 10곳 넘는 해외법인 둬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와 캐나다에 25%나 되는 높은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행정 명령에 서명하며 사실상의 관세 전쟁을 선포했다.

 

본격적인 시행 시기와 관련해서는 아직 조율의 여지가 남아 있긴 하지만 이로 인해 두 나라에 진출해 있는 우리나라 대기업도 관세 폭탄에 대응하기 위해 비상이 걸렸다.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가 지난해 지정한 88개 국내 대기업집단에서는 200곳이 넘는 해외법인을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운영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중 삼성이 70여 곳으로 가장 많았고 뒤를 이어 현대차·한화·LG·포스코 그룹도 10곳 넘는 해외법인을 미국과 인접한 캐나다와 멕시코에 법인을 세워 사업을 펼쳐나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내용은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 ‘국내 88개 그룹이 멕시코와 캐나다에 세운 해외법인 현황 조사’에서 도출된 것이라고 4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공정위가 지난해 지정한 88개 대기업집단(그룹)이다. 조사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해외법인 현황(2023년 말 기준) 자료를 참고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88개 그룹 중 25개 그룹에서 201곳이나 되는 해외 계열사를 멕시코와 캐나다에 설립해 운영해오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201곳 중에서도 110곳은 캐나다, 91곳은 멕시코에 각각 분포했다.

 

캐나다와 멕시코에 있는 해외법인이라고 해서 모두 관세 폭탄을 맞는 것은 아니다. 두 나라에서 운영 중인 법인 중에서도 현지 공장 등에서 제품을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제조 기업들이 높은 관세의 벽을 직접적으로 극복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각 그룹별로 멕시코와 캐나다에 진출한 단순 해외법인 숫자 현황만 살펴보면 삼성이 68곳으로 최다였다. 삼성은 캐나다에 50곳, 멕시코에 18개의 회사를 둔 것으로 확인됐다. 삼성의 경우 캐나다에만 40곳 넘는 법인을 세워 태양광·풍력·신재생에너지 관련 사업을 펼치고 있었다. 그러다 보니 제조 생산과 관련해서는 캐나다보다는 상대적으로 멕시코에 둔 법인에서 미국 관세의 높은 장벽을 극복해야 하는 것으로 관측됐다.

 

대표적으로 삼성은 멕시코에 ▲Samsung Mexicana S.A. de C.V ▲Samsung Electronics Digital Appliance Mexico, SA de CV ▲Harman de Mexico, S. de R.L. de C.V. 등의 법인을 통해 전자 및 오디오제품 등을 생산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삼성 다음으로는 현대차가 28곳의 해외법인으로 많았다. 28곳 중 16곳은 멕시코, 12곳은 캐나다에 해외 계열사를 운영 중이다. 현대차 그룹 계열사인 현대차, 기아, 현대모비스는 각각 멕시코에 ▲Hyundai Motor de Mexico ▲Kia Mexico, S.A. de C.V(KMX) ▲Hyundai Mobis Mexico, S.De R.L. De C.V. 법인 등을 통해 완성차 및 자동차부품 제조와 판매 사업을 펼쳐나가고 있다.

 

한화도 14개의 법인을 멕시코(12곳)와 캐나다(2곳)에서 운영 중인데, 상당수는 태양광 관련 사업을 위한 회사인 것으로 조사됐다. 일반 제조업 중에서는 멕시코에서 운영 중인 ‘Hanwha Advanced Materials Mexico S. De R.L. De C.V.’ 법인을 통해 자동차부품을 생산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LG도 11개 법인을 멕시코(8곳)와 캐나다(3곳)에 설립해 운영 중이다. 이중 캐나다에는 LG에너지솔루션이 실질 지배하고 있는 ‘Nextstar Energy Inc.’를 통해 자동차전지를 생산하고 있다. 멕시코에는 LG전자가 거느리는 ‘LG Electronics Reynosa S.A. DE C.V.’ 회사에서 전자제품을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스코 역시 11곳이나 되는 해외법인을 멕시코(6곳)와 캐나다(5곳)에 각각 세워 사업을 영위 중이다. 대표적으로 멕시코에는 ㈜포스코가 지배하는 ‘POSCO MPPC S.A. de C.V.’社를 통해 철강 사업을 진행 중이고, 캐나다에서는 ㈜포스코퓨처엠가 세운 ‘ULTIUM CAM LIMITED PARTNERSHIP’ 법인에서 양극재 제조 및 판매 사업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외 주요 그룹 중에서는 ▲LS(7곳) ▲CJ·GS·넷마블·현대백화점(각 6곳) ▲SK·네이버·효성(각 5곳) ▲두산·한국앤컴퍼니·에코프로(각 3곳) 순으로 캐나다와 멕시코 두 국가에 3개 이상의 법인을 두고 있었다.

 

이들 그룹 중 멕시코에 제조 생산을 하고 있는 주요 기업에는 ▲LS Cable & System Mexico(전선 제조업, LS그룹) ▲LS EV MEXICO S.A. DE C.V.(전기차 부품 제조업, LS그룹) ▲GST Safety Textiles Mexico S. de R.L. de C.V(에어백 쿠션 및 원단 제조 및 판매업, 효성그룹) 등이 포함됐다.

 

캐나다에 생산 공장을 두고 있는 주요 법인 중에는 ▲EcoPro CAM Canada General Partner Inc.(축전지 제조업, 에코프로그룹) ▲EcoPro CAM Canada, L.P.(축전지 제조업, 에코프로그룹) ▲Hyundai L&C Canada Inc.(건축자재 제조 및 판매, 현대백화점그룹) 등으로 조사됐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국내 주요 대기업 중 이차전지 등의 배터리(Battery)와 가전제품(Electronics), 자동차(Car) 등 이른바 ‘B·E·C’ 관련 제품군에서 관세 폭탄으로 미국 수출 경쟁력에서 일정 부분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농후해졌다”며 “관세의 장벽이 높아졌다고 단기간에 미국으로 공장 이전을 하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에 해당 국가에서 제품을 생산해 판매를 늘리거나 미국을 제외한 이웃 국가 등으로 시장 다변화를 하는 방식으로 관세 충격파를 줄여나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58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김정수 부회장의 글로벌 현장경영…'불닭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위해 美 코첼라 방문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이 올해 첫 글로벌 현장경영 행보로 미국을 방문했다. 삼양식품은 김정수 부회장이 현지시간 11일 미국 캘리포니아 인디오에서 개막한 ‘코첼라 밸리 뮤직 앤드 아츠 페스티벌(이하 코첼라)’ 현장을 찾았다고 14일 밝혔다. 김 부회장은 삼양식품과 코첼라의 국내 최초 공식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마련된 코첼라 불닭 부스를 방문해 운영 현황을 점검했다. 또 총 6곳에 마련된 참여형 이벤트를 체험하고, 불닭소스를 페어링한 음식들을 시식했다. 아울러 코첼라 관계자, 축제 참가자 및 부스 방문객들과 소통하며 불닭 브랜드의 우수성과 경쟁력에 대한 인식을 제고했다. 코첼라에서 운영되는 불닭 부스와 샘플링 이벤트는 11일부터 20일까지 매주 금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진행되는데, 11일부터 13일까지 진행된 첫 번째 주에는 세계적인 아티스트는 물론 유명 셀러브리티들이 불닭 부스에 직접 방문해 다양한 디지털 체험을 즐겼다. 또한 많은 소비자들이 인산인해를 이루며 불닭 소스 시식에 참여하는 등 큰 호응을 보내며 성황리에 운영 중이다. 특히 삼양식품은 코첼라 현장에서 최근 선보인 글로벌 캠페인 ‘Rocket Hot, Ride the Buld

유한킴벌리, 미래·세대 잇는 신혼부부 100쌍과 '희망의 나무' 심었다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최근 연이은 산불로 숲 보호와 복원에 대한 관심이 큰 가운데 유한킴벌리는 12일 인제 자작나무숲에서 신혼부부 100쌍과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 2025 신혼부부 나무심기’를 진행했다. 신혼부부 나무심기는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 캠페인 대표 프로그램으로, 1985년 시작돼 올해로 41회차를 맞는다. 새로운 첫발을 내딛는 예비부부, 신혼부부들은 이날 직접 은행나무 4500그루를 나무를 심으며 미래세대를 위해 건강한 숲을 만드는 데 기여했다. 과거에 신혼부부로 나무를 심었던 부부도 자녀를 데리고 함께 참여하여, 세대와 미래를 잇는 신혼부부 나무심기의 가치를 되새겼다. 이번 행사는 유한킴벌리와 생명의숲이 공동주최하고 산림청과 인제군청이 후원했다. 행사가 열린 인제 자작나무숲은 2023년 12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한 갑작스러운 폭설과 강추위로 나뭇가지가 얼어 쓰러지거나 휘어지는 등 피해를 보았다. 지구 온난화로 대기의 수증기량이 증가하면 습기를 많이 머금은 습설이 내리는데, 건설(乾雪)보다 2~3배 무겁고 쉽게 뭉쳐지는 특성이 있어 시설물 붕괴, 교통 혼란 등 피해를 유발하기도 한다. 현재의 자작나무 숲 군락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생물

[공간파일] '그리드플레이션' 투썸플레이스, 2년 연속 역대 최대실적에도 가격인상 '빈축'…수상한 유상감자 380억, 이유는?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커피 전문 프랜차이즈 투썸플레이스(대표이사 문영주)가 2년 연속 최대실적을 거뒀음에도 잦은 가격인상을 단행해 소비자들로부터 '그리드플레이션' 기업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 또 투썸플레이스의 지배기업이며, 지분 100%를 보유한 트리니티홀딩스코리아가 380억원 규모의 유상감자를 시행한 배경과 이유에 관심이 모아진다. 업계 전문가들은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활용한 대주주의 투자금 조기 회수라고 판단했다. 1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투썸플레이스의 2024년 매출은 5200억원으로 전년(4801억원) 대비 약 8.3%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326억원으로 전년 260억원 대비 25.2% 증가했으며, 영업이익률은 6.3%로 전년 대비 0.9%p 상승했다. 당기순이익은 244억원으로 전년 대비 36.4% 증가했다. 이는 매출 증가와 비용 효율화의 결과로 분석된다. 지난해 투썸플레이스 소비자 매출은 전년 대비 11%, 동일 점포 매출은 7%, 신제품 매출은 62% 증가했다. 그러나 2년 연속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하면서도 정부 감시 약화를 틈타 3월에 가격인상을 단행한 것은 소비자 만족보다는 ‘지나친 수익만을 추구’하는 그리드플레이

"국내 산업단지 최초 커피 로봇 배달 시행"…LG디스플레이, 파주 사업장 로봇활용 배달 서비스 개시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LG디스플레이(대표이사 사장 정철동)가 AI 기반 자율주행 로봇을 활용한 배달 서비스를 시행하며 임직원 편의를 대폭 개선하고 업무 생산성 향상에 나선다. 파주 사업장에 입점한 커피 매장에서부터 사무·공장동 등 임직원이 근무하는 건물 입구까지 ‘우아한형제들’의 배달 로봇을 활용한 실외 배달 서비스를 개시한다. 산업단지에서 옥외로 하는 로봇 배달 서비스는 국내에서 처음이다. 배달 로봇은 주변 사물과 장애물을 빠르게 인식하며, 사람이 빠르게 걷는 속도와 비슷한 1.5m/s의 속도로 파주 사업장 내 건물 사이를 스스로 안전하게 운행한다. 축구장 150여 개 넓이의 파주 사업장은 프랜차이즈 커피 매장과 가장 거리가 먼 근무지까지 도보로 왕복 30분이 넘게 소요된다. 이번 로봇 배달 서비스를 도입함에 따라 임직원 이동 거리와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됐다. 주문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할 수 있어 간편하다. 오는 18일까지 시범 서비스를 하고 21일부터 본격적인 상용 서비스를 개시한다. LG디스플레이는 추후 임직원 의견을 청취하여 로봇 배달 서비스 품목을 커피에서 햄버거 등으로 확대하고 운행 로봇도 추가하는 등 임직원 편의를 지속적으로

"세계가 인정한 한국의 초격차 물기술"…세계 36개국 국회의장단, 한국수자원공사 물관리 실증 현장 방문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캄보디아, 콜롬비아 등 세계 36개국 전·현직 국회의장으로 구성된 국제 국회의장단이 첨단 물관리 기술혁신이 이뤄지고 있는 실증 현장을 찾았다. 한국수자원공사(K-water, 사장 윤석대)는 4월 11일, 파키스탄의 전 총리이자 현 상원의장인 유수프 라자 길라니(Yousuf Raza Gillani) 의장을 포함한 국제국회의장회의(Inter-Parliamentary Speaker Conference) 대표단 12명이 경기도 과천 한강유역본부 물종합상황실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이번 방문은 기후위기에 따른 글로벌 물 문제 해결을 위한 선진 물관리 기술 견학과 국제협력 강화를 목적으로 추진됐다. 이날 윤석대 사장은 대표단을 직접 맞이하고, 한국수자원공사의 디지털 기반 스마트 물관리 기술을 소개했다. ▲ 물관리 디지털트윈 ▲ 인공지능(AI) 정수장 ▲ 스마트 관망관리(SWNM)의 3대 초격차 기술과 글로벌 선도기술을 선보이며, 기존의 정부·국제기구·민간기업 중심 국제협력 채널을 의원외교 채널까지 확장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특히, 대표단은 물종합상황실에 구현된 ‘물관리 디지털트윈’ 기반 시스템을 직접 견학하며, 한국수자원공사의 과학적 통합물관

[공간파일] 공차코리아, 매출 2000억·순이익 2배 급증…배당금 131억·가맹점 직원 막말·6000억 몸값 엑시트 '주목'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밀크티 전문 프랜차이즈 공차코리아가 매출 2000억원 돌파와 함께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두자릿수 성장을 일궜다. 156%에 이르는 높은 부채비율과 싱가포르 사업종료 등 글로벌 전략 차질 속에서도 131억원을 지배기업에 지급하며 높은 배당성향을 이어갔다. 특히 사모펀드가 인수한 지 6년에 접어든 만큼 조만간 엑시트(투자금 회수)가 유력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물 들어올때 노젓는다'는 말처럼 최대의 실적도 거뒀고, 해외사업 호실적으로 상품성도 높으니 적극적으로 인수합병(M&A)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1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의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공차코리아의 2024년 연결 기준 매출액은 2014억원으로 전년(1829억원) 대비 10.1%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94억원을 기록했으며, 이는 전년(63억원) 대비 47.4% 증가, 당기순이익은 97억원으로 전년 43억원 대비 123.4% 급증했다. 하지만 국내와 해외의 실적은 희비가 엇갈렸다. 일본법인은 지난해 매출이 43% 늘어난 759억원, 순이익도 34억원을 거뒀다. 대만 법인도 매출이 64억원에서 58억원으로 소폭 줄었지만 당기순이익 60억원을 기록했다.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