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5 (토)

  • 맑음동두천 9.7℃
  • 맑음강릉 14.5℃
  • 구름조금서울 11.3℃
  • 맑음대전 11.9℃
  • 맑음대구 12.3℃
  • 맑음울산 14.5℃
  • 맑음광주 13.4℃
  • 맑음부산 18.1℃
  • 맑음고창 13.5℃
  • 맑음제주 18.1℃
  • 구름조금강화 10.3℃
  • 맑음보은 9.7℃
  • 맑음금산 10.2℃
  • 맑음강진군 14.7℃
  • 맑음경주시 14.2℃
  • 맑음거제 14.4℃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랭킹연구소] 임원당 직원수 증가 그룹 순위…신세계>금호아시아나>DL>롯데>현대차 順

직원 늘고 임원 줄고…대기업 실무 중심 재편 가속
30대 그룹 235개사 고용 현황 분석…지난해 직원수 1.7%↑ 임원수 0.7%↓
유통·건설업 중심 구조조정 흐름 읽혀…DL·롯데·GS 등 직원·임원 동반 하락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지난해 국내 30대 그룹의 직원 수는 늘고 임원 수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침체와 구조조정 흐름 속에서 대기업들이 실무 중심의 인력을 확대하고, 상대적으로 비용 부담이 큰 임원 자리는 축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1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30대 그룹 중 사업보고서를 제출한 235개 계열사 고용 변화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24년 기준 임원 1인당 직원수는 전년보다 평균 2.4명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직원 수는 98만3517명으로 전년 대비 1.7% 증가한 반면, 임원 수는 9817명에서 9746명으로 0.7% 감소했다.

 

임원당 직원수가 가장 많이 늘어난 그룹은 신세계였다. 지난해 직원수가 4.2%(1379명) 증가하고 임원수는 10.2%(17명) 감소한 것. 이에 따라 신세계는 임원 1인당 직원수가 197.0명에서 228.5명으로 평균 31.5명 많아져 전체 그룹 중 가장 증가폭이 컸다.

 

다음은 금호아시아나그룹으로 직원수가 1만995명에서 1만1075명으로 0.7% 증가할 때 임원수는 92명에서 80명으로 13.0% 감소, 임원 1인당 직원수가 18.9명(119.5→138.4명) 늘어났다.

 

현대자동차그룹도 임원당 직원수가 두자릿수로 증가했다. 전체 직원수가 15만9357명에서 16만2100명으로 1.7% 늘어나고 임원수는 1148명에서 1087명으로 5.3% 줄어들어 임원 1인당 직원수가 10.3명 증가했다.

 

유통과 건설업 중심의 일부 그룹은 직원수와 임원수가 모두 줄었으나, 임원 감소폭이 더 커 임원 1당 직원 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업황 부진에 따른 비용 절감 목적의 구조조정 일환으로 해석된다.

 

대표적인 곳이 DL그룹이다. DL이앤씨(건설)를 보유한 DL은 전체 직원수가 3.9%(323명) 감소한 가운데, 임원수는 21.2%(25명) 줄면서 임원 1인당 직원수가 15.5명 증가했다.

 

롯데그룹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직원수(-0.1%)와 임원수(-9.6%)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했으나, 임원 감소폭이 커서 임원 1인당 직원수가 102.5명에서 113.2명으로 평균 10.7명 늘었다.

 

CJ그룹은 직원수가 2.1%(664명) 줄었지만 임원수는 9.2%(29명) 감소해 임원당 직원수가 7.9명 증가했다.

 

GS그룹과 중흥건설도 유사한 흐름이지만, 직원수와 임원수가 동반 하락했지만 임원 감소폭이 더욱 커서 임원 1인당 직원수는 오히려 늘어났다.

 

GS는 직원수가 0.3%(1만7210명→1만7161명) 줄어들 때 임원은 6.3%(237명→222명) 감소해 임원 1인당 평균 직원수가 4.7명 증가했다.

 

중흥건설도 직원수가 7.1% 줄고 임원수는 10.8% 줄어들어 임원 1인당 직원수가 2.4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임원당 직원수가 감소한 그룹도 있다. HDC, KT, 카카오 등이 이에 해당한다.

 

HDC그룹은 직원수가 3.2%(246명) 증가했지만 임원수가 무려 51.2%(21명) 증가했다. 특히 미등기임원이 18명에서 41명으로 크게 늘어난 영향이 컸다. 이에 따라 임원 1인당 직원수가 평균 59.7명 감소했다.

 

KT는 지난해 대규모 인원 감축을 단행하며 직원수가 6.7%(2581명) 줄었지만 임원수는 8.9%(18명) 증가했다. 이로 인해 임원 1인당 직원수는 190.6명에서 163.2명으로 평균 27.3명 줄었다.

 

카카오는 직원수가 2.9%(246명) 늘었지만 임원수는 35.9%(51명)나 증가해 임원당 직원수는 14.5명 감소했다.

 

SM그룹은 직원수가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임원 1인당 직원수 역시 줄어든 다소 특이한 케이스다. SM의 지난해 직원수는 1617명으로 전년(1888명)보다 14.4% 줄었고 임원수 역시 60명에서 58명으로 소폭 하락했다. 그 결과 임원당 직원수가 평균 3.6명 감소했다.

 

한편, 직원수 증가율이 가장 높은 그룹은 SK였다.

 

SK는 전체 직원수가 5만7887명에서 6만5549명으로 1년 만에 13.2%(7662명) 증가했다. 전사 차원의 운영 효율화 작업에 나서고 있는 SK는 2022년 6만7523명에서 이듬해 14% 이상 감축한 뒤, 지난해 다시 직원 규모를 확대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달리 SK 임원수는 959명에서 1006명으로 4.9% 증가에 그쳤으며, 등기임원은 오히려 3명 감소했다.

 

지난해 여성 직원 증가율은 2.8%로 남성(1.3%)의 두 배 이상을 기록했다. 전체 고용자 중 여성 비중이 3분의 1 수준에 그쳐, 상대적으로 적은 기준 집단에서 상승효과가 두드러진 것으로 보인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말도 탈도 많은 교촌치킨, 이재명 대통령 '꼼수 인상' 저격…APEC·슈링크플레이션·배달료 '또 교촌했다'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11일 국무회의에서 슈링크플레이션, 즉 가격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품 용량을 줄이는 이른바 ‘꼼수 인상’ 문제를 강력히 지적하며 치킨업계가 크게 긴장하고 있다. 특히 교촌치킨이 대표적 사례로 거론되면서, 국내 외식업계에 파장이 커지고 있다.​ 교촌치킨은 올해 9월 일부 순살 메뉴의 중량을 700g에서 500g으로 대폭 줄이면서도 가격은 변동하지 않아 소비자 기만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닭다리살만 사용하던 주재료에 안심살을 섞은 것도 가격 인상 논란에 불을 지폈다. 이 같은 ‘슈링크플레이션’ 행위는 국감에서 여야 의원들에게 질타를 받았고, 대통령실과 공정거래위원회,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정부 부처가 대책 마련에 나서게 된 배경이다.​ 소비자들은 교촌의 부도덕한 가격 인상 행태에 “교촌이 또 교촌했다”며 강한 불만과 배신감을 표출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불매운동 움직임과 소비자 신뢰 저하로 이어져 교촌 브랜드의 시장 리더십이 흔들리고 있다.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에프앤비는 10월 23일 결국 순살 메뉴 중량과 주재료 구성을 원상복구시키는 결정을 내렸으나, 이 과정에서 국민 신뢰와 브랜드 이미지에 적지 않은 타격을 입었다.

‘필코노미’ 트렌드 확산에 CJ온스타일 라방 채팅 수 18만건 '역대 최대'∙∙∙3Q 모바일 라방 거래액 63%↑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CJ온스타일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이하 라방)가 ‘기분이 소비를 이끈다’는 ‘필코노미(Feelconomy)’ 트렌드 속에서 역대 최대 수준의 고객 참여를 이끌어냈다. CJ온스타일은 10월 모바일 라방 채팅 수가 18만 건에 육박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8월 초대형 모바일 라이브쇼 론칭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이번 성과는 라부부 등 팝마트와의 협업과 셀럽·인플루언서 100인이 추천하는 상품을 큐레이션한 하반기 최대 쇼핑 축제 ‘컴온스타일’ 흥행이 고객 공감과 활발한 라방 채팅 참여를 이끌어냈다. 특히 지난 17일 진행된 팝마트 라부부∙크라이베이비 라방에는 2만 건의 채팅이 쏟아지기도 했다. 또한 기은세∙박세리 등 셀럽 MC를 중심으로 ‘토크 예능형 라방’을 확대해 시청자가 콘텐츠에 공감하고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 점도 성과를 견인했다. 채팅 참여가 활발해지면서 앱 체류시간과 구매 전환율도 동반 상승, CJ온스타일의 3분기 모바일 라방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62.8% 증가했다. 라방 채팅창이 서로의 감정을 나누는 교감의 장으로 발전한 사례도 있다. 평일 오전 10시에 방송되는 대표 유아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