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4 (월)

  • 흐림동두천 5.5℃
  • 흐림강릉 7.8℃
  • 서울 5.8℃
  • 대전 4.3℃
  • 대구 6.8℃
  • 흐림울산 6.0℃
  • 흐림광주 6.3℃
  • 흐림부산 10.3℃
  • 흐림고창 6.3℃
  • 구름많음제주 11.8℃
  • 구름많음강화 5.9℃
  • 흐림보은 4.7℃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7.5℃
  • 흐림경주시 6.8℃
  • 흐림거제 9.5℃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1년새 시총 SK하이닉스 20조, HD현대중·HD현대일렉·KB금융·삼바·한화에어로 10조 이상 '쑥'…삼성電 156조 '증발'

시총 '1조 클럽' 1년새 19곳 줄어 240곳…시총 톱20에 6곳 신규 입성
CXO연구소, 2024년 1월초 대비 2025년 1월초 2750여 곳 주식종목 시가총액 변동 조사
시총, 2503조(24년 초)→2254조(25년 초), 9.9%↓…1년 새 시총 249조원 증발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2024년 국내 주식 성적은 부진을 면치 못했다. 작년 초 대비 올해 동기간 기준 시가총액(시총)은 250조원 정도 감소했기 때문이다. 이는 재작년 대비 작년 초 기준 국내 상장사 시총이 490조원 넘게 증가했던 것과 비교해보면 180도 달라진 형국이다.

 

최근 1년 새 시총 덩치는 10% 정도 쪼그라졌고, 국내 주식종목 10곳 중 7곳꼴로 시총 하락세를 피하지 못했다. 올해 초 가입한 시총 1조 클럽은 작년 초 때보다 20여 곳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시장 한파에서도 단일 주식종목 중에서는 SK하이닉스가 최근 1년 새 20조원 넘게 시총 체격이 커졌고, HD현대중공업과 HD현대일렉트릭도 10조원 이상 불어나 주목을 받았다. 특히 작년과 올해 초 시총 TOP 20위권에는 6곳이 탈락하거나 신규 진입하는 등 국내 주식시장을 이끄는 상위권의 순위에도 부침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13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4년 1월 초 대비 2025년 1월 초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 변동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 주식종목은 우선주를 제외한 2749곳이고, 작년과 올해 각 1월 2일 시총 변동 금액과 순위 등을 비교해 살펴봤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작년 연초 기준 국내 시총 규모는 2503조원 수준이었다. 올해 연초에는 2254조원으로, 1년 새 시총 체격은 249조원 넘게 작아졌다. 시총 감소율은 9.9% 수준이다. 2700곳이 넘는 주식종목 중 69.3%에 해당하는 1904곳은 최근 1년 새 시총 하락세로 돌아섰다.

 

이 같은 성적은 재작년 대비 작년 초에 시총이 490조원 이상 커지고, 20%가 넘는 시총 증가율을 보였던 것과 비교하면 주식시장 분위가 확 달라진 양상이다. 재작년과 비교해보면 작년 한 해 주식시장을 찬바람을 거세게 맞은 셈이다.

 

 

시총 1조 클럽에 가입한 주식종목 숫자도 최근 1년 새 19곳 줄었다. 작년 초만 해도 시총 1조 클럽에는 259곳이나 이름을 올렸었는데, 올해 초에는 240곳으로 집계됐다. 이는 재작년 초 246곳이었던 것과 비교하더라도 더 적어진 숫자다.

 

이런 상황에서도 작년 초 대비 올해 초 기준으로 시총 증가액만 1조원 넘게 상승한 곳은 56곳으로 집계됐다. 이 중에서도 7곳은 시총 외형이 10조원 이상 불었다.

 

특히 단일 주식종목 중에서는 SK하이닉스가 21조원 가까이 가장 많이 높아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 종목의 작년 초 시총은 103조 6675억원 수준인데, 올해 초에는 124조6340억원으로 1년 새 20조9664억원 이상 우상향했다.

 

이외 ▲HD현대중공업(14조3812억원↑) ▲HD현대일렉트릭(11조7838억원↑) ▲알테오젠(11조2207억원↑) ▲KB금융(11조1920억원↑) ▲삼성바이오로직스(10조3202억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10조20억원↑) 종목도 최근 1년 새 시총 증가액이 10조원을 넘긴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HD현대 그룹 계열사인 HD현대중공업과 HD현대일렉트릭을 포함해 HD한국조선해양 종목의 시총도 1년 새 8조원 가까이 시총 체격이 좋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삼성전자는 작년 초 475조1946억원에서 올해 초에는 318조7863억원으로 최근 1년 새 시총 외형만 156조4083억원 이상 감소해 우울한 성적표를 받았다. 우리나라 주식시장을 주도하는 대장격인 삼성전자에서만 150조원이 넘는 시총이 사라지다 보니 작년 한 해 국내 주식시장도 내리막길을 걸었다.

 

삼성전자를 제외하고 최근 1년 새 시총이 1조원 넘게 내려앉은 곳은 50곳 더 있었다. 이들 종목 중에서도 ▲POSCO홀딩스(20조6146억원↓) ▲LG에너지솔루션(19조5390억원↓) ▲LG화학(17조7186억원↓) ▲에코프로비엠(17조4086억원↓) ▲포스코퓨처엠(16조5848억원↓) ▲삼성SDI(15조6439억원↓) 종목의 시총은 최근 1년 새 10조원 넘게 하락해 울상을 지었다.

 

 

◆ 올초 시총 TOP 100, 17곳 신규 진입…두산·효성중공업, 100계단 넘게 점프하며 시총 100위 진입

 

주식시장이 냉랭해지면서 최근 1년 새 시총 TOP 100 순위도 요동쳤다. 17개 주식 종목은 작년 1월 초만 해도 시총 100위 안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는데, 올해 초에는 상위 100곳 명단에 신규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두산은 지난해 연초 시총 순위가 186위였는데, 올해 초에는 79위로 1년 새 107계단이나 전진하며 시총 TOP 100에 입성했다. 같은 기간 효성중공업도 193위에서 91위로 102계단이나 점프했다.

 

이외 ▲삼양식품(163위→64위) ▲HD현대일렉트릭(114위→29위) ▲LS ELECTRIC(141위→67위) ▲리가켐바이오(161위→88위) ▲삼천당제약(159위→99위) ▲알테오젠(84위→26위) ▲LIG넥스원(116위→63위) ▲현대로템(112위→62위) 종목도 50계단이나 전진하며 올해 초 기준 TOP 100 명단에 새로 합류했다.

 

국내 주식시장을 선두에서 이끄는 시총 상위 TOP 20 순위도 부침이 컸다. 상위 20곳 중 ▲삼성전자(1위) ▲SK하이닉스(2위) ▲LG에너지솔루션(3위) ▲삼성바이오로직스(4위) ▲현대차(5위) 이렇게 5곳만 작년과 올해 초에 자리를 지켰고, 나머지는 모두 순위가 바꿔진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올해 초에 6곳이나 TOP 20에 새로 진입해 눈길을 끌었다. 이 중에서도 HD현대중공업은 작년 초 시총 순위가 36위였는데, 올해 초에는 10위를 기록하며 상위 10위권에 합류했다.

 

이외 ▲메리츠금융지주(작년 초 순위 33위→올해 초 15위) ▲고려아연(41위→16위) ▲삼성생명(24위→17위) ▲삼성화재(31위→19위) ▲SK이노베이션(22위→20위) 종목도 작년과 달리 올해 초에 시총 상위 20위에 새로 진입했다.

 

 

반대로 작년 연초까지만 해도 시총 20위 명단에 포함됐던 곳 중 6곳은 올해 초에 탈락하는 아픔을 맛봤다. 이들 종목군에는 에코프로 그룹 계열사 2곳도 포함됐다.

 

에코프로는 작년 초 시총 순위가 19위였는데, 올해 초에는 55위로 아예 50위권 밖으로 벗어났다. 에코프로비엠도 12위에서 42위로 30계단이나 뒤로 밀려났다. 이외 ▲포스코퓨처엠(13위→40위) ▲LG전자(20위→30위) ▲삼성SDI(11위→23위) ▲카카오(14위→21위) 4곳도 올해 초에 시총 TOP 20걸에서 제외된 것으로 파악됐다.

 

올해 초 기준 시총 1조 클럽에 가입한 곳 240개 주식종목 중 작년 초 대비 시총 증가율이 가장 크게 오른 곳은 ‘HD현대일렉트릭’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종목의 작년 초 대비 올 초 시총 상승률만 해도 408.1%로 1년 새 시총 규모가 400% 넘게 고공행진했다.

 

HD현대일렉트릭 종목을 포함해 시총 1조 클럽 중 작년 대비 올해 연초 시총 증가율이 100%를 넘긴 곳은 24곳으로 집계됐다. 24곳 중에서도 ▲실리콘투(333.8%↑) ▲일진전기(249%↑) ▲알테오젠(235%↑) ▲테크윙(227.6%↑) ▲삼양식품(215.1%↑) ▲펩트론(203.3%↑) 이렇게 6곳은 최근 1년 시총 상승률만 해도 200%를 상회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이번 조사와 관련해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미국을 비롯해 대만, 일본, 중국, 홍콩 등은 2024년 한해 주식시장에서 상승세를 보였지만, 우리나라는 주식종목 10곳 중 7곳꼴로 주가가 하락하면서 시총 외형이 감소하는 우울한 한 해를 보내야 했다”며 “국내 주식 종목 중에서도 조선·해운업을 비롯해 금융, 제약 업종의 일부 종목들은 주가 상승으로 시총이 증가했지만 2차 전지를 비롯해 건설, 철강, 화학 업종 등은 냉기류가 강해 업종 간 주식 온도 차이가 확연히 달랐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58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韓 우주항공방산 성장 위해 금융도 힘 보탠다…KB국민은행, KAI와 1조원 상생협력 '맞손'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KB국민은행(은행장 이환주)이 지난 11일 KAI(한국항공우주산업㈜, 대표이사 강구영)와 ‘상생협력 및 공동발전’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서울시 영등포구에 위치한 KB국민은행 신관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강구영 KAI 사장과 이환주 KB국민은행장을 비롯한 양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국가 주력사업인 항공우주 분야의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양 기관의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협약에 따라 KB국민은행이 KAI에 지원하는 금융지원 규모는 최대 1조원이다. ▲미래사업 투자지원 ▲수출금융 ▲수출입 및 시설투자 관련 운영자금 대출 등 KAI에서 진행하는 사업에 대한 금융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KAI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한 동반성장 금융지원를 통해 중소기업과의 상생금융도 실천할 계획이다. 강구영 KAI 사장은 “항공우주산업은 높은 기술력과 장기적인 투자가 필수적인 분야인 만큼, 안정적인 금융 지원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미래사업 투자와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한 기반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환주 KB국민은행장은 “대한민국의 항공우주 및

“애순(아이유)처럼 몸만 들어오세요”…‘가성비∙가심비’ 트렌드 확산에 ‘풀퍼니시드 시스템’ 인기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최근 경제 불확실성이 소비 심리를 위축시키면서 주택시장도 영향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가성비와 효율성을 중시하는 ‘불황형 소비’ 트렌드가 확산하며, 가구와 가전 등이 갖춰진 ‘풀퍼니시드(Full-furnished)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다. 입주자가 별도로 가구나 가전을 구입할 필요 없이 생활이 가능한 주거 형태로 초기 정착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풀퍼니시드 시스템이란 침대, 소파, 세탁기, 냉장고 등 필수 가구와 가전이 기본적으로 갖춰진 상태로 주택이 제공되는 방식이다. 이는 초기 정착 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이사 과정이 간편해 실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구 배치를 최적화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어 1~2인 가구 및 신혼부부에게 적합한 주거 옵션으로 자리 잡고 있다. 올해 1월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알투코리아부동산투자자문, 한국갤럽조사연구소가 발표한 ‘2025 부동산 트렌드’에 따르면, 올해 부동산 시장을 주도할 키워드 중 하나로 ‘지금, 잘 살 것’이 선정됐다. 이는 불확실한 경제 상황 속에서 실질적인 삶의 질과 편리함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가 반영된 결과다. 설문조사 결과에서

‘SK하이닉스’ 효과로 용인 부동산 '들썩'…"경기도는 떨어져도 용인은 오른다"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용인 지역 부동산이 ‘SK하이닉스’ 효과를 톡톡히 누리고 있다. 그동안 부동산 시장에서 집값을 끌어올리는 키워드로 부각되던 ‘삼성전자’ 효과에 이어, SK하이닉스의 대규모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첨단 산업 인프라 구축에 따른 고용 창출과 인구 유입, 교통 및 생활 인프라 확충 등이 맞물리며, 지역 부동산 시장에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용인에 조성중인 수백조원의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사업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리딩하고 있다. 먼저 치고 나간 곳은 SK하이닉스다. SK하이닉스는 122조를 투자할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 내 1기 팹이 올해 2월 착공에 돌입했고, 2027년 준공을 목표로 공사가 한창이다.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차세대 D램 생산기지로 거듭날 이 산업단지는 약 415만㎡(126만평) 부지에 팹(반도체 생산시설) 4기와 인프라, 업체 협력화 단지 등을 순차적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SK하이닉스의 용인 팹은 올해 한국에서 신규 착공하는 유일한 반도체 공장이라는 희소성도 갖췄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SK하이닉스는 최근 인텔 낸드 사업부

[공간파일] 금양·삼부토건 등 57곳, 상장폐지 위기…아이에치큐 등은 상폐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14곳과 코스닥 상장사 43곳이 상장폐지 위기를 맞았다. 한국거래소는 유가증권·코스닥 상장사의 ‘2024사업연도 12월 결산법인 결산 관련 시장 조치 현황’을 밝혔다. 이번 결산 결과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상장폐지 사유 발생 14사 ▲관리종목 신규 지정 4사, 지정 해제 3사 등이 시장 조치 됐다. 9일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2024사업연도 12월 결산법인 관련 자료에 따르면 코스피에서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한 기업은 14곳이다. 이들 중 ▲범양건영 ▲KC코트렐 ▲KC그린홀딩스 ▲금양 ▲삼부토건 ▲스타에스엠리츠 ▲이엔플러스 등 7곳은 지난해 처음으로 감사의견 거절을 받았다. 2년 연속 감사의견 거절을 받은 기업은 ▲국보 ▲웰바이오텍 ▲한창 ▲이아이디 등 4곳이고, 3년 연속 감사의견 거절을 받은 기업은 ▲아이에치큐 ▲KH필룩스 ▲세원이앤씨 등 3곳이다. 아이에치큐, KH필룩스, 세원이앤씨는 이미 상장공시위원회에서 상장폐지가 결정됐다. 최초로 감사의견 거절을 받은 상장사들은 상장폐지 통보일로부터 15일 이내에 이의신청을 할 수 있고, 이의신청 시 거래소에서 개선기간 부여 여부를 결정한다. 2년 연속 해당 사유가 발생한

[공간차트] 그룹 총수 주식재산, 누가 많이 벌었나?…TOP5, 김승연>이웅열>박찬구>이순형>방시혁 順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43개 주요 그룹 총수의 올해 1분기(1월 초 대비 3월 말) 주식평가액은 1800억원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재산 감소율로 보면 0.3%로 소폭 하락한 수준이다. 그룹 총수 중에서는 한화 김승연 회장은 올 1분기 주식가치 증가율이 45% 이상으로 가장 많이 올랐다. 방시혁 하이브 이사회 의장은 올 1분기에만 주식재산이 5000억원 넘게 불었으나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6000억원 이상 감소해 희비가 엇갈렸다. 또 방준혁 넷마블 이사회 의장은 20% 넘게 주식재산이 줄며 주식재산 1조 클럽에서 탈락했고, 그룹 총수 중에서는 올 3월 말 기준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이 유일하게 주식가치 10조 클럽에 이름을 올린 것으로 파악됐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9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5년 1분기(1월 초 대비 3월 말 기준) 주요 그룹 총수 주식평가액 변동 조사’ 도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공정거래위원회가 관리하는 대기업집단 중 올 3월 말 기준 주식평가액이 1000억원 넘는 그룹 총수(総帥) 43명이다. 주식재산은 총수가 상장사 지분을 직접 보유한 경우와 함께 비(非) 상장사를 통해서 우회적으

임대주택도 역세권이 대세 "역과의 거리에 따라 경쟁률 도 극과극"…주목할 임대주택 어디?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최근 역세권 지역에 들어서는 임대주택 수요가 급증하면서 청약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우수한 교통 환경을 시세 대비 합리적인 가격에 누릴 수 있어 직장인과 학생 등 젊은 세대 사이에서 높은 인기를 끄는 모습이다. 서울주택공사(SH)가 공급하는 청년안심주택은 이러한 흐름을 잘 보여준다. 청년안심주택은 역세권 및 주요 간선도로변에 조성되어 교통 환경이 편리하다. 지난해 12월 진행된 3차 청약의 경우 1,044가구 공급에 6만3,161명이 신청해 평균 60.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특히, 지하철 8호선 문정역 초역세권에 위치한 ‘문정역 마에스트로’는 무려 1,473대 1의 경쟁률을 보이며 역세권 임대주택의 높은 인기를 증명했다. 민간 임대주택 시장에서도 역세권 여부에 따른 청약 경쟁률 차이가 뚜렷하다. 지난해 12월 청약을 받은 ‘양평동 동문 디 이스트’는 지하철 2호선과 5호선이 환승하는 영등포구청역 역세권에 위치해 평균 432.74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같은 해 8월 청약이 진행된 ‘강동밀레니얼 중흥S-클래스’ 역시 지하철 5호선과 8호선 천호역 인근에 있어 평균 48.06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반면, 역세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