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6 (일)

  • 맑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1.7℃
  • 맑음서울 17.8℃
  • 맑음대전 18.1℃
  • 구름많음대구 15.0℃
  • 구름조금울산 20.1℃
  • 구름많음광주 17.1℃
  • 구름조금부산 21.0℃
  • 구름많음고창 17.9℃
  • 맑음제주 20.8℃
  • 맑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6.1℃
  • 구름조금금산 18.9℃
  • 맑음강진군 19.9℃
  • 구름많음경주시 19.0℃
  • 맑음거제 17.8℃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랭킹연구소] 대기업 재계 순위, 삼성·SK·현대차·LG·롯데 順…LIG·대광·사조·빗썸·유코카캐리어스 '신규지정'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2025년 5월 기준 대한민국 대기업 재계 그룹들의 순위를 알아본 결과, 역시 삼성그룹이 변함없이 재계 1위를 지켰다. 2위는 SK그룹, 3위 현대자동차, 4위 LG그룹 역시 기존 순위를 유지했다.

 

1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2025년 공시대상기업집단’ 지정 결과에 따르면, 자산총액 기준 국내 대기업 재계 순위에 의미 있는 변화가 나타났다. 올해는 자산 5조원 이상인 92개 기업집단이 대기업집단(공시대상기업집단)으로 지정됐으며, 이는 지난해(88개)보다 4개 늘어난 수치다.

 

5위는 롯데가 차지했다. 롯데는 지난해 6위에서 올해 5위로 올라서며 포스코를 제쳤다. 롯데의 자산총액은 1년 새 13조원 이상 증가해 143조3200억원에 달했다. 다만, 이는 경영성과보다는 토지자산 재평가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다.

 

6위 포스코는 철강 업황 악화로 자산 증가폭이 제한되며 한 계단 내려앉았다.

 

7위 한화, 8위 HD현대, 9위 농협, 10위 GS가 뒤를 이었다. 농협과 GS는 각각 9위와 10위로 순위가 맞바뀌었다.

 

올해 대기업집단으로 신규 지정된 곳은 69위 엘아이지(LIG), 74위 대광, 88위 사조, 90위 빗썸, 유코카캐리어스 등 5개 집단이다.

 

특히 빗썸(가상자산 거래소)은 처음으로 대기업 집단에 이름을 올렸다. 이는 미국발 비트코인 ETF 승인, 트럼프 대통령의 친(親)가상자산 정책 등으로 가상자산 시장이 급성장한 영향이다.

 

한화그룹 계열사, 한국항공우주산업, LIG, HMM, 장금상선 등 방위산업과 해운업 계열사도 지정학적 리스크와 글로벌 군비 경쟁 심화로 자산이 크게 증가하며 순위가 상승했다.

 

포스코, GS그룹 등 철강·석유화학 업계는 업황 부진으로 순위가 하락했다.

 

2025년 5월 1일 기준, 대한민국 대기업 재계 순위 11위부터 50위까지는 다음과 같다.

 

11위~15위는 신세계, 한진, 케이티(KT), 씨제이(CJ), 엘에스(LS), 16위~20위는 카카오, HMM, 두산, DL, 중흥건설 순이었다.

21위~25위는 셀트리온, 네이버, 에스-오일(S-OIL), 미래에셋, 쿠팡, 26위~30위는 현대백화점, 한국앤컴퍼니그룹, 부영, 영풍, 하림 순이었다.

 

31위~40위는 효성, 장금상선, SM, HDC, 호반건설, 두나무, 케이티앤지(KT&G), 코오롱, 케이씨씨(KCC), DB로 나타났다.

 

41위~50위는 넥슨, 오씨아이(OCI), 엘엑스(LX), 세아, 넷마블, 이랜드, 교보생명보험, 한국지엠, 다우키움, 금호석유화학 순이었다.

 

51위~60위는 대방건설, 태영, 삼천리, KG, 에코프로, HL, 동원, 아모레퍼시픽, 태광, 크래프톤이었다.

 

61위~70위는 글로벌세아, 한국항공우주산업, 엠디엠, 소노인터내셔널, 애경, 동국제강, BS(구 보성), 삼양, LIG, 중앙이었다.

 

71위~80위는 유진, 고려에이치씨, BGF, 대광, 반도홀딩스, 대신, 오케이금융그룹, 하이트진로, 농심, DN이었다.

 

81위~90위는 현대해상화재보험, 신영, 파라다이스, 아이에스지주, 하이브, 한솔, 삼표, 사조, 원익, 빗썸으로 나타났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이재용 8년 비상경영 끝내고 ‘뉴삼성’ M&A 속도전...글로벌 전장·AI·반도체 시장 주도권 공략 '잰걸음'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8년간 이어온 비상경영 체제를 마무리하고, 대형 인수합병(M&A)을 재가동하며 ‘뉴삼성’ 재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17년 하만 인수 이후 7년간 멈춰 있었던 대규모 M&A 활동을 올해부터 다시 적극 추진하는 모습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11월 7일 임시 조직이던 사업지원TF를 상설 조직인 ‘사업지원실’로 격상했으며, 13일에는 전사적 M&A 전담팀을 신설하면서 중장기적인 투자와 사업 재편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사업지원실은 전략팀, 경영진단팀, 피플팀 등 3개 팀 체제에서 M&A팀이 추가되어 총 4개 팀 체제로 운영된다. M&A팀장은 2017년 약 80억 달러 규모 하만 인수를 이끌었던 안중현 사장이 맡아 신사업 개척과 글로벌 빅딜 추진을 총괄한다. 사업지원실장에는 재무·전략 전문가인 박학규 사장이 임명됐다. 그는 삼성전자 경영지원실장과 DS부문(반도체·디스플레이) 경영지원실장을 거친 기획과 운영 전문가로, 안정적인 비상경영 체제에서 공격적 변환과 확장을 설계하는 ‘뉴삼성’의 중심이 될 것으로 평가받는다. 반면 이 회장의 최측근으로 꼽히던 정현호 부회장은 회장 보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