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7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랭킹연구소] 주식부자 순위, 이재용·서정진·정의선·김범수·방시혁 順…주식재산 1조클럽 16명

그룹 총수 44명 1년 새 주식재산 6.6조↓…총수 60% 주식가치 하락
CXO연구소, 44개 그룹 총수 최근 1년 주식평가액 변동 현황 조사
두산 박정원, 1년 새 주식가치 180% 넘게 상승…에코프로 이동채, 50% 이상 감소
이재용, 3조 가까이 줄었지만 주식재산 1위 유지…서정진·조정호, 10조 클럽 유지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2024년 한 해 국내 주요 그룹 총수의 주식성적표는 어떻게 나왔을까. 살펴보니 조사 대상자 중 60% 정도가 주식가치 하락으로 우울한 표정을 지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국내 주요 44개 그룹 총수의 작년 대비 올해 연초 기준 전체 주식평가액은 6조6000억원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 총수 중에서는 박정원 두산 회장의 최근 1년 새 주식가치는 180% 넘게 상승했지만, 이동채 전(前) 에코프로 회장은 50% 넘게 감소해 희비가 교차했다. 주식평가액만 놓고 보면 장병규 크래프톤 이사회 의장이 9000억원 이상 불어날 때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3조원 가까이 쪼그라져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주식평가액이 국내 그룹 총수 중 올해 연초 기준 주식재산 1~2위는 이재용 회장과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이 각각 차지했다. 공정위가 지정한 대기업집단의 총수는 아니지만, 조정호 메리츠금융지주 회장도 주식가치 10조 클럽에 가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6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4년 대비 2025년 연초 기준 주요 그룹 총수 주식평가액 변동 조사’ 도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가 지난해 상반기에 지정한 88개 대기업집단 중 올해(2025년) 연초 기준 주식평가액이 1000억원 넘는 그룹 총수(総帥) 44명이다.

 

주식재산은 총수가 상장사 지분을 직접 보유한 경우와 함께 비(非) 상장사 등을 통해서 우회적으로 해당 그룹 상장 계열사 보유한 주식 현황도 포함했다. 다만, 비상장사 등에서는 회사 지분을 50% 이상 보유한 경우로 제한해 조사가 이뤄졌다. 우선주도 이번 조사 범위에 포함됐다. 주식평가액은 작년과 올해 1월 2일 종가(終價)를 기준으로 평가했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올해 연초 기준으로 44개 그룹 총수의 주식재산이 1000억원 이상 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작년 연초 때 조사 때 46명인 것과 비교하면 2명 줄어든 숫자다. 이번 조사 대상에 포함된 44개 그룹 총수의 올해 초 전체 주식평가액은 58조1584억원 수준으로 파악됐다. 작년 연초 때 64조7728억원과 비교하면 최근 1년 새 6조6144억원 감소했다. 주식평가액 감소율로 보면 10.2% 수준이다.

 

 

그룹 총수별 희비도 크게 엇갈렸다. 44명의 그룹 총수 중 28명(63.6%)은 주식가치가 하락했고, 16명(36.4%)은 상승했다. 주식가치가 오른 16개 그룹 총수의 최근 1년 주식평가액은 4조591억원 많아졌다. 이와 달리 28개 그룹 총수의 주식가치는 최근 1년 새 10조6735억원 넘게 줄었다.

 

참고로 44개 그룹 총수의 전체 주식가치는 작년(2024년) 1분기 때인 3월 말(68조2883억원)까지만 해도 같은 해 연초 때보다 5.4% 정도 높아졌다. 이후 2분기인 6월 말(65조5185억원)에는 전분기 대비 4.1% 하락하더니, 3분기 때인 9월 말(63조3656억원)에는 이전 분기 때보다 3.3% 더 낮아졌다.

 

그러다 작년 9월 말 대비 올해 연초에는 5조 원 넘게 주식평가액이 줄었다. 마지막 4분기에만 8.2% 수준으로 떨어졌다. 작년 4분기 그룹 총수의 주식가치는 지난해 2·3분기 때보다 하락 폭이 더 컸다는 의미다.

 

 

◆ 두산 박정원, 1년 새 주식재산 180% 넘게 퀀텀점프…영풍 장형진, 80% 이상 껑충

 

최근 1년 새(작년과 올해 연초 기준) 국내 44개 그룹 총수 중 주식평가액 증가율 1위는 박정원 두산 회장인 것으로 조사됐다. 박정원 회장의 작년 연초 당시 주식평가액은 1212억원 수준이었는데, 올해 연초에는 3456억원으로 주식재산이 불어났다.

 

지난해 연초 대비 올해 동기간 기준 주식재산 증가액만 2244억원 넘게 많아졌다. 1년 새 주식재산 증가율만 해도 185.1%로 눈에 띄게 상승해 주목을 끌었다. 박정원 회장은 ㈜두산과 두산에너빌리티 종목 등에서 주식을 보유 중이다. 이중 ㈜두산의 주가가 186.2%(24년 1월 2일 9만 2600원→25년 1월 2일 26만 5000원)나 뛰면서 박 회장의 주식가치도 덩달아 상승했다. 

 

경영권 분쟁을 겪고 있는 장형진 영풍 고문의 주식평가액은 최근 1년 새 82.8%나 고공행진 한 것으로 파악됐다. 장형진 고문의 작년 연초 당시 주식가치는 3843억원 정도였다. 그러던 것이 올해 연초에는 7023억원으로 껑충 뛰었다. 장 고문 핵심 주식은 고려아연인데, 주가가 경영권 분쟁 이슈로 96.9%(24년 1월 2일 48만 6000원→25년 1월 2일 95만 7000원)나 크게 오르면서 장형진 고문의 주식재산도 1년 새 3000억원 넘게 우상향했다.

 

장형진 고문과 경영권 분쟁으로 대립각을 보이고 있는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의 주식재산도 작년 초 2038억원 수준에서 올해 초에는 3725억원으로 80% 이상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몽규 HDC 회장의 주식재산은 1년 새 66.5% 정도 증가해 방긋 웃었다. 정몽규 회장의 작년 연초 때 주식가치는 2020억원 수준이었는데, 올해 초에는 3364억원으로 높아진 것. 정몽규 회장은 HDC와 HDC랩스 주식을 보유 중인데, 이중 지주회사인 HDC의 주가가 최근 1년 새 78.3%나 오른 것이 주식재산 상승의 견인차 역할을 했다.

 

장병규 크래프톤 이사회 의장 역시 작년 초 대비 올해 동기간 기준 주식가치가 61.6%나 높아졌다. 작년 초 1조5415억원에서 올해 초 2조4917억원으로 달라지며 주식평가액이 1조원대에서 2조원대로 달라졌다.

 

이번 조사 대상 그룹 총수 중 올 3분기 기준 주식평가액 상승률 TOP5에는 조현준 효성 회장도 이름을 올렸다. 조 회장은 같은 기간 8426억원에서 1조2649억원으로 주식평가액이 50.1%로 상승하며 올해 초 기준 주식재산 1조 클럽에 합류했다. 이런 배경에는 조현준 회장이 보유한 주식종목에 대한 주가 상승보다는 작년에 부친인 고(故) 조석래 명예회장의 지분을 상속받은 영향이 컸다.

 

 

◆ 에코프로 이동채, 주식평가액 50% 넘게 하락…LX 구본준·원익 이용한, 40% 넘게 감소

 

44개 그룹 총수 중 최근 1년 새 주식재산 감소율 폭이 가장 큰 그룹 총수는 이동채 전(前) 에코프로 회장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 전(前) 회장은 작년 초 3조1995억원이던 것이 올해 초에는 1조3841억원으로 최근 1년 새 주식재산이 56.7%나 크게 낮아졌다. 에코프로 주식가치 추락으로 직격탄을 맞았다.

 

이용한 원익 회장도 작년 초 대비 올해 초 기준으로 주식평가액이 2390억원에서 1297억원으로 45.7%(1092억원↓) 정도 내려앉았다. 이 회장이 갖고 있던 주식 중 원익QNC 주가가 45% 넘게 내려앉은 영향이 주식가치 하락으로 이어졌다.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겸 CA협의체 공동의장(35.4%↓)과 김홍국 하림 회장(31.7%↓)도 이번 조사 대상 그룹 총수 중 최근 1년 간 주식평가액 하락률이 30%를 넘어섰다. 김범수 창업자는 작년 초 6조1186억원이던 평가액이 올해 초에는 3조9527억원 수준으로 주식재산이 6조원대에서 3조원대로 쪼그라졌다.

 

김홍국 회장도 같은 기간 1938억원에서 1323억원으로 30% 이상 감소한 것으로 계산됐다. 

 

 

◆ 2025년 1월초 주식재산 1조 클럽 총수 16명…이재용 회장 1위이지만 2위와 격차 크게 좁혀져 

 

조사 대상 44개 그룹 총수 중 올해 초 기준 주식재산 1조 클럽에는 16명이 이름을 올린 것으로 확인됐다. 작년 초 15명이던 것과 비교하면 한 명 더 늘었다. 

 

올해 1월 2일 기준 주식재산 1위는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11조9099억원)이 차지했다. 이재용 회장의 주식재산은 작년 초만 해도 14조8673억원에서 출발했다. 같은 해 3월 말에는 16조5864억원까지 높아지며 상승 곡선을 그렸다. 그러다 이후 6월 말에는 15조7541억원으로 감소하더니 9월 말에는 13조7956 원으로 점점 하락했다.

 

올해 초에는 11조원대로 주식평가액 하락 국면을 피하지 못했다. 여기에는 국내 상장사 시총 1위 삼성전자의 작년 초 주가가 7만9600원이던 것이 올해 초에는 5만3400원으로 32.9%나 하락한 영향이 컸다.

 

이재용 회장에 이어 그룹 총수 중 주식재산 넘버2는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이 자리를 지켰다. 서정진 회장은 작년 초 9조9475억원으로 10조원을 밑돌았는데, 올해 초에는 10조4308억원으로 주식재산 10조 클럽에 합류했다. 서 회장의 경우 작년 9월 말에는 11조3044억원을 기록하기도 했었다.

 

특히 작년 초만 해도 이재용 회장과 서정진 회장의 주식재산은 100대 66.9 수준으로 30% 넘는 격차를 보였지만, 올해 초에는 100대 87.6으로 더 좁혀진 양상이다. 

 

여기에 공정위가 공식 지정한 대기업집단의 동일인은 아니어서 이번 조사 순위에는 빠졌지만, 조정호 메리츠금융지주 회장도 올해 초 기준 주식재산 10조 클럽에 합류했다. 조 회장의 경우 작년 연초만 해도 주식평가액은 5조7475억원으로 5조원대 수준이었다. 1년이 흐른 올해 초에는 10조1852억원으로 주식가치가 70% 넘게 수직상승했다.

 

올해 초 기준만 놓고 보면 서정진 회장과 조정호 회장의 주식가치는 불과 2%대 차이밖에 나지 않을 정도로 거의 대등한 수준까지 근접했다. 특히 2025년 올해는 삼성전자, 셀트리온, 메리츠금융지주 세 종목의 주가가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따라 국내 주식부자 TOP3 판도도 달라질 수 있는 상황이다.

 

국내 그룹 총수 중 올해 초 기준 주식평가액 TOP3에는 현대차 정의선 회장이 차지했다. 정의선 회장은 작년 초에는 3조7377억원으로 그룹 총수 중 4위였는데, 올해 초에는 4조2912억원으로 3위로 한 계단 상승했다. 이와 달리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는 작년 초 그룹 총수 주식재산 3위에서 올해 초에는 4위로 한 계단 주저앉았다. 김범수 창업자의 올해 초 주식평가액은 3조9527억원이다. 

 

 

5~10위권에는 각각 ▲5위 방시혁 하이브 이사회 의장(2조5816억원) ▲6위 장병규 크래프톤 이사회 의장(2조4917억원) ▲7위 구광모 LG 회장(1조8119억원) ▲8위 정몽준 HD현대 아산재단 이사장(1조7985억원) ▲9위 최태원 SK 회장(1조7163억원) ▲10위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1조5642억원) 순으로 이름을 올렸다.

 

이중 장병규 의장은 작년 초만 해도 그룹 총수 중 주식평가액 10위였는데, 올해 초에는 6위로 앞순위로 전진했다. 정몽준 이사장도 작년 초 13위에서 올해 초에는 8위로 TOP 10에 진입했다. 작년에 처음 대기업집단에 편입된 하이브 그룹의 총수인 방시혁 의장이 그룹 총수 주식재산 TOP 5에 든 것도 주목을 끌었다. 

 

이외 ▲11위 김남정 동원 회장(1조5347억원) ▲12위 이동채 전(前) 에코프로 회장(1조3841억원) ▲13위 조현준 효성 회장(1조2649억원) ▲14위 이재현 CJ 회장(1조2370억원) ▲15위 이해진 네이버 GIO(1조1879억원) ▲16위 방준혁 넷마블 이사회 의장(1조489억원)도 올해 초 기준 주식재산 1조 클럽 명단에 포함됐다. 이중 이동채 전 회장은 작년 초만 해도 그룹 총수 중 주식평가액 5위였는데, 올해 초에는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그룹 총수는 아니지만 올해 초 기준 주식재산이 5조원이 넘는 주요 주주 중에서는 홍라희 전(前) 리움미술관장(5조4466억원)이 속했다. 작년 초에 주식평가액이 5조원 이상됐던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과 이서현 삼성물산 사장은 4조원대 수준으로 떨어졌다. 앞서 세 명의 작년 초 기준 평가액은 ▲홍라희 전 리움미술 관장 8조2298억원 ▲이부진 사장 6조8698억원 ▲이서현 삼성물산 사장 6조1619억원 수준이었다.

 

이번 조사 대상 44개 그룹 총수 중 작년 초 대비 올해 초 기준 1년 새 주식평가액이 가장 많이 증가한 주인공은 장병규 크래프톤 의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 의장의 주식재산은 최근 1년 새 9502억원 이상으로 1조원 가까이 늘었다.

 

반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2조9574억원 넘게 가장 많이 줄었고, 김범수 창업자 역시 2조1659억원 이상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동채 전(前) 에코프로 회장도 1조 8153억원 이상으로 2조 원 가까이 주식가치 하락을 피하지 못했다. 

 

한편 이번 조사와 관련해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2024년 국내 주식시장은 1분기 시점까지는 맑음을 보였지만, 2~4분기에 연속 흐린 날씨를 보였다”며 “특히 작년 4분기에 국내 주식시장의 하락폭이 더 커지면서 그룹 총수의 주식평가액도 상승보다 하락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어 “44개 그룹 총수가 보유한 주식종목은 140곳 정도 되는데, 이중 70% 정도가 최근 1년 새 주식가치가 하락하면서 그룹 총수의 주식재산도 전반적으로 감소세를 피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랭킹연구소] 500대 기업 기간제 근로자 비중 순위…메리츠증권·자이에스앤디·다올투자증권·서희건설·하나증권 順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500대 기업의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최근 4년 새 1.4%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가장 크게 늘어난 기업은 삼양식품, 가장 많이 감소한 기업은 대동이었다. 올해 6월 말 기준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높은 기업은  메리츠증권·자이에스앤디·다올투자증권·서희건설·하나증권 순이었다. 이 중 메리츠증권·자이에스앤디·다올투자증권 3개사는 정규직보다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더 높았다. 8월 27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매출 기준 500대 기업 중 2021년부터 2025년까지 분기(6월) 보고서를 공시한 334개사를 대상으로 정규직(무기계약직 포함) 및 기간제 근로자의 인원수를 조사한 결과 최근 4년간 이들 기업의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1.4%포인트 증가했다. 올 6월 기준 조사 대상 기업 334곳의 전체 근로자 수는 132만4494명, 기간제 근로자는 10만3259명으로 집계됐다. 4년 전인 2021년 6월에 비해 전체 임직원이 4만7482명(3.7%) 늘어난 가운데 기간제 근로자는 2만1095명(25.7%) 증가했다. 조사 대상 500대기업의 연도별 기간제 근로자 비중은 ▲2021년 6월

"강남 도곡동 단 10세대 한정·청약통장 필요없다"…금호건설 ‘도곡 아테라’ 8월 29일 접수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금호건설(대표이사 조완석)은 강남구 도곡동에 선보이는 ‘도곡 아테라’의 청약을 8월 29일 진행한다. 이번 공급은 가로주택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신규 단지로, 강남의 핵심 입지에서 내 집 마련을 노려볼 수 있는 귀한 기회로 평가받고 있다. ‘도곡 아테라’는 강남구 도곡동 547-1 일원에 지하 2층~지상 7층, 총 82세대 규모로 조성된다. 전용면적은 44㎡~76㎡로 소형부터 중소형까지 실수요자의 선호도가 높은 타입으로 구성됐다. 이번 분양은 청약 통장 없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어 실수요자는 물론 투자 수요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공급 물량은 10세대로 희소성까지 더해지며 높은 경쟁률이 예상된다. 청약은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을 통해 29일(금) 접수를 시작해 9월 3일(수) 당첨자 발표, 9월 10일(수)~11일(목) 계약 순으로 진행된다. 단지는 교통, 교육, 생활 인프라를 모두 갖춘 입지 경쟁력이 강점이다. 지하철 강남역(2호선·신분당선), 매봉역(3호선), 양재역(3호선·신분당선) 등 주요 환승역이 모두 도보권에 위치한 ‘트리플 역세권’을 갖췄다. 여기에 양재IC와 남부순환로, 분당·수서 간 도시고속화도로 등 주요

삼성물산·현대건설 빅2, 국내 정비사업 40% 수주 '웃고'…포스코이앤씨·현대엔지니어링 '울고'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정비사업(재개발·재건축 등 도시 정비사업) 시장에서 삼성물산과 현대엔지니어링이 전체 수주고의 약 40%를 차지하며 대형사 양극화가 뚜렷해지고 있다. 올해 상반기 10대 건설사들이 확보한 정비사업 수주 총액은 약 31조6833원 규모로 집계됐다. 특히 부동의 1위 삼성물산은 ‘래미안’ 파워를 앞세워 주택사업 수주액 7조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초’ 기록을 갈아치웠다. 삼성물산은 지난 24일 개포우성7차와 삼호가든5차 재건축 시공권을 획득하며 올해 누적 수주액 7조828억원으로 집계됐다. 삼성물산은 올해 초 용산구 한남4구역 재개발 수주를 시작으로 송파 대림가락, 신반포4차, 장위8구역 공공재개발 등에서 승전보를 울리며 정비사업 수주액 1위를 지켜왔다. 현대건설 역시 5조5357억원을 기록하며 1위 삼성물산을 바짝 추격중이다. 현대건설은 올해 3월 부산 연산5구역(공사비 7657억원), 수원 구운1구역 재건축(3123억원), 장위9구역 공공재개발(3502억원) 개포주공6·7단지 재건축(1조 5138억원) 등 총 7개의 사업을 수주했다. 게다가 압구정2구역 재건축(2조7488억원)과 성북구 장위15구역 재개발(1조4663억원) 등

우미에스테이트, 솔닥과 시니어 디지털 헬스케어 MOU…"주거와 건강관리 융합한 차세대 시니어라이프 모델"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우미에스테이트가 8월 25일 린스퀘어에서 김병권 우미에스테이트 대표와 김민승, 이호익 솔닥 공동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공동 성장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우미에스테이트는 우미건설의 자산관리 전문 계열사로, 임대주택, 코리빙, 오피스, 상업시설 등을 관리·운영한다. 솔닥은 비대면 진료 솔류션 스타트업으로 AI 기반 헬스케어 플랫폼과 의료 연계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이다. 주요 협력 범위는 ▲시니어 전용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 설계 ▲데이터 기반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구축 ▲고령친화 복합단지 내 건강·문화·커뮤니티 프로그램 개발 ▲공동 마케팅 및 신규 사업 발굴 등이다. 특히 우미에스테이트의 주거 운영·개발 노하우와 솔닥의 첨단 의료 기술을 결합해 디지털 기반의 건강관리 인프라를 주거공간에 접목하는 것에 집중할 계획이다. 양사는 이미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인 ‘충북혁신도시 우미린 스테이’에 ‘헬스케어 존’을 설치하고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다. ‘헬스케어 존’은 입주민의 건강 데이터를 측정하고, 이를 활용해 건강관리, 비대면 진료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우미에스테이트 관계자는 “사회가 고령화될

[이슈&논란] 우리은행, 두 달 만에 또 '금융사고'…24억원 ‘담보 무단 매각’ 사고로 신뢰 '흔들' "올해만 1000억원"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올해 8월 22일 우리은행에서 24억2280만원 규모의 금융사고가 또다시 발생했다. 이번 사고는 기업시설대출을 받은 외부인이 담보로 설정된 기계 및 기구를 임의 매각하면서 은행의 담보권이 훼손된 사건으로, 사고 기간은 2023년 3월부터 2025년 5월까지로 공시됐으나, 최근에는 ‘발생 시점 미상’으로 정정됐다. 은행 측은 수사 의뢰를 통해 정확한 시점 규명에 나섰으며, 올해 4월경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이번 금융사고는 지난 6월 인도네시아 현지법인(우리소다라은행)에서 무려 1078억원 규모의 대형 금융사고가 적발된 지 불과 두 달 만에 재차 발생한 것이다. 이로써 우리은행은 단기간 내 두 건의 대형 금융사고에 연달아 휘말리는 불명예를 안게 됐다. 은행 측은 “해당 외부인을 수사기관에 고소하고, 매각 가능한 담보물을 처리해 손실 금액을 회수할 예정”이라며 "은행 직원이 연루된 정황은 없었다"고 밝혔다. 올 들어 1000억원 육박…잇따르는 시중은행 금융사고 ‘적신호’ 우리은행뿐 아니라 국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10억원 이상 대규모 금융사고는 올해 16건, 누적 피해액은 952억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