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4 (금)

  • 맑음동두천 14.1℃
  • 맑음강릉 15.4℃
  • 맑음서울 14.8℃
  • 맑음대전 15.3℃
  • 맑음대구 17.2℃
  • 맑음울산 17.9℃
  • 구름조금광주 15.5℃
  • 맑음부산 19.4℃
  • 맑음고창 14.7℃
  • 맑음제주 17.9℃
  • 맑음강화 12.7℃
  • 맑음보은 14.2℃
  • 맑음금산 14.9℃
  • 맑음강진군 17.0℃
  • 맑음경주시 17.7℃
  • 맑음거제 16.6℃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랭킹연구소] 38개 공익법인 중 15곳, 오너일가 '장악'…특수관계 주식비중, SM>삼성>카카오>한진>DL>CJ 順

30대그룹 소속 공익법인 계열사, 보유주식은 늘이고 기부액은 줄여
보유주식 기업 2017년 76개→지난해 234개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30대그룹 소속 공익재단들이 계열사 보유지분을 늘리며 자산총액에서 계열사 주식 비중을 키우는 반면, 계열사 기부금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이후 경영권 승계가 가속화되면서 소속 공익재단들이 보유하는 계열사가 늘어난 가운데, 특히 상장회사와 해당 기업집단의 대표계열사 보유지분이 증가했다.

 

총수일가가 세제혜택을 받고 설립한 뒤 이사장 등의 직책에서 지배력을 행사하며, 보유 주식이 총수 2세 출자 회사 등 기업집단에 대한 지배력과 관련된 회사에 집중되고 있었다. 실제로 공익법인 38개 중 15개에서 오너일가가 이사장 혹은 이사를 맡고 있다. 이에 비해 계열사 주식이 공익법인의 수익원으로써 기여하는 역할은 미미했다.

 

13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30대그룹 소속 공익법인들이 국세청에 제출한 결산서류를 전수 조사한 결과  2017년 35개에서 지난해 38개로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해당 기간 동안 SK그룹의 최종현학술원, GS그룹의 허지영장학재단, 카카오의 브라이언임팩트 등 3개 공익법인이 새로 설립됐다. 

 

38개 공익법인이 보유한 주식 기업 수는 2017년 76개에서 234개로 6년 만에 3배 이상 증가했다. 2017년 76개에서 234개로 6년 만에 3배 이상 증가했다. 이들 공익법인의 자산 구성에서 주식자산 비중은 38.1%로 국내 공익법인 전체 주식자산 평균의 5배에 이를만큼 높았다. 공익법인 보유 주식기업 중 계열사는 106개로 전체의 45.3%를 차지하고 있었지만, 이들의 주식자산은 전체 주식자산의 93.1%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식자산 비중은 높아졌지만 계열사들의 기부금은 2017년 2392억원에서 지난해 1688억원으로 29.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기부금에서 계열사들이 출연한 기부금 비중도 낮아졌다. 2017년 공익법인 전체 기부금(2518억원)의 95.0%인 2392억원이 계열사에서 나왔으나, 지난해에는 전체 기부금 2263억원 중 계열사 비중이 74.6%(1688억원)로 낮아졌다. 반면 해당 기업을 통한 공익법인의 지난해 배당수익은 1937억원으로 2017년 608억원 대비 218.6%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30대그룹 소속 공익법인 중 총자산에서 특수관계에 있는 계열사 주식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SM그룹의 삼라희망재단으로 총자산의 93.5%를 계열사 주식형태로 보유하고 있었다. 삼라희망재단은 SM그룹 지배구조의 핵심 계열사인 삼라의 지분 18.87%와 동아건설산업 지분 8.71%, 에스엠스틸 지분 3.91%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사장은 우오현 SM그룹 회장의 맏딸인 우연아 삼라농원 대표다. 

 

다음으로는 삼성그룹의 삼성복지재단이 90.4%로 계열사 주식 비중이 높았다. 삼성복지재단은 고(故)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토지와 삼성SDI 지분 0.25%, 삼성물산 지분 0.04%의 주식을 출연해 있었으나 이후 삼성전자 지분 0.08%, 삼성화재 지분 0.36%를 유상취득함으로써 전체 자산 5397억원 중 4876억원이 계열사 지분에 대한 장부가액으로 자산총액의 90.4%를 차지했다. 삼성복지재단의 이사장은 이서현 삼성물산 사장이 2019년부터 맡고 있다. 

 

세 번째는 2021년 김범수 카카오 경영쇄신위원장이 설립한 카카오그룹의 브라이언임팩트로, 총자산 180억원 중 계열사 주식자산이 143억원으로 79.6%를 차지하고 있었다. 특히 브라이언임팩트가 보유하고 있는 카카오 주식은 지난 1년 새 52만8200주가 무상수증으로 늘어나고 40만600주는 매각하면서 변동이 심했다. 그 사이 이사장은 올 4월부터 박승기 전 카카오브래인 대표가 맡고 있다. 

 

네 번째로 계열사 주식비중이 높은 곳은 한진그룹의 정석물류학술재단으로 자산총액 662억원 중 79.5%인 526억원이 계열사 보유주식자산이었다. 정석물류재단은 정석기업 10.0%, 한진칼 0.95%, 대한항공 0.11%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사장은 김재훈 법무법인 광장 대표변호사다. 

 

다음으로는 DL그룹의 대림문화재단이 자산총액 74.3%를 계열사 지분으로 보유하고 있었다. 대림문화재단은 DL그룹의 지배구조 정점에 있는 대림의 지분 6.2%와 계열사인 삼인씨엔에스의 지분 1.41%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해욱 DL그룹 회장이 상임이사를 맡고 있다. 

 

CJ그룹의 CJ나눔재단도 자산총액에서 계열사 주식자산이 70.9%로 높았다. CJ나눔재단은 그룹 지배구조의 정점에 있는 CJ 지분을 2017년 0.56%에서 0.58%를 늘리며 지난해 기준 1.14%를 보유 중이다. 또 CJ제일제당의 지분 0.2%도 보유하고 있으며 이재현 CJ그룹 회장이 이사장으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이 외에도 금호문화재단(69.0%), LG연암학원(66.7%), 삼성문화재단(65.3%), 포항공과대학교(60.3%), 두산연강재단(56.3%), LG연암문화재단(56.1%) 등이 자산총액의 50% 이상을 계열사 보유주식으로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말도 탈도 많은 교촌치킨, 이재명 대통령 '꼼수 인상' 저격…APEC·슈링크플레이션·배달료 '또 교촌했다'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11일 국무회의에서 슈링크플레이션, 즉 가격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품 용량을 줄이는 이른바 ‘꼼수 인상’ 문제를 강력히 지적하며 치킨업계가 크게 긴장하고 있다. 특히 교촌치킨이 대표적 사례로 거론되면서, 국내 외식업계에 파장이 커지고 있다.​ 교촌치킨은 올해 9월 일부 순살 메뉴의 중량을 700g에서 500g으로 대폭 줄이면서도 가격은 변동하지 않아 소비자 기만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닭다리살만 사용하던 주재료에 안심살을 섞은 것도 가격 인상 논란에 불을 지폈다. 이 같은 ‘슈링크플레이션’ 행위는 국감에서 여야 의원들에게 질타를 받았고, 대통령실과 공정거래위원회,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정부 부처가 대책 마련에 나서게 된 배경이다.​ 소비자들은 교촌의 부도덕한 가격 인상 행태에 “교촌이 또 교촌했다”며 강한 불만과 배신감을 표출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불매운동 움직임과 소비자 신뢰 저하로 이어져 교촌 브랜드의 시장 리더십이 흔들리고 있다.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에프앤비는 10월 23일 결국 순살 메뉴 중량과 주재료 구성을 원상복구시키는 결정을 내렸으나, 이 과정에서 국민 신뢰와 브랜드 이미지에 적지 않은 타격을 입었다.

‘필코노미’ 트렌드 확산에 CJ온스타일 라방 채팅 수 18만건 '역대 최대'∙∙∙3Q 모바일 라방 거래액 63%↑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CJ온스타일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이하 라방)가 ‘기분이 소비를 이끈다’는 ‘필코노미(Feelconomy)’ 트렌드 속에서 역대 최대 수준의 고객 참여를 이끌어냈다. CJ온스타일은 10월 모바일 라방 채팅 수가 18만 건에 육박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8월 초대형 모바일 라이브쇼 론칭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이번 성과는 라부부 등 팝마트와의 협업과 셀럽·인플루언서 100인이 추천하는 상품을 큐레이션한 하반기 최대 쇼핑 축제 ‘컴온스타일’ 흥행이 고객 공감과 활발한 라방 채팅 참여를 이끌어냈다. 특히 지난 17일 진행된 팝마트 라부부∙크라이베이비 라방에는 2만 건의 채팅이 쏟아지기도 했다. 또한 기은세∙박세리 등 셀럽 MC를 중심으로 ‘토크 예능형 라방’을 확대해 시청자가 콘텐츠에 공감하고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 점도 성과를 견인했다. 채팅 참여가 활발해지면서 앱 체류시간과 구매 전환율도 동반 상승, CJ온스타일의 3분기 모바일 라방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62.8% 증가했다. 라방 채팅창이 서로의 감정을 나누는 교감의 장으로 발전한 사례도 있다. 평일 오전 10시에 방송되는 대표 유아동

LG에너지솔루션-美 South8 테크놀로지스, 항공우주용 배터리 셀 개발 나선다…"영하 60도 초저온 극한 환경에서도 작동"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항공우주용 배터리 시장으로 고객 및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한다. 12일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사우스8 테크놀로지스(South8 Technologies, 이하 사우스8)와 ‘항공우주용 배터리 셀 연구 및 개발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사우스8은 전 세계 최초로 리튬이온 배터리용 액화 기체 전해질을 개발한 미국 스타트업이다. 지난해 미국 타임(TIME)지 선정 ‘2024년 200대 발명품’ 중 하나로 꼽힐 만큼 혁신성을 인정받은 기술이기도 하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이번 계약을 통해 항공우주용 배터리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고 밝혔다. ‘액화 기체 전해질’로 극저온 항공우주용 배터리 공동 개발… 사우스8과 협력 강화 사우스8의 ‘액화 기체 전해질’은 영하 20도 부근에서 정상적인 작동이 어려운 기존 액체 전해질과 비교해 어는점이 훨씬 낮아 우주와 같은 영하 60도 이하 극한의 저온 환경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발현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 물리적 충격을 받거나 급격한 온도 변화 상황에서 배터리의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도 있다. 만약의 경우 전지 내부의 액체 용매가 급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