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4 (월)

  • 맑음동두천 10.9℃
  • 맑음강릉 12.3℃
  • 맑음서울 12.2℃
  • 맑음대전 12.7℃
  • 구름많음대구 12.5℃
  • 맑음울산 14.8℃
  • 구름많음광주 14.4℃
  • 맑음부산 14.9℃
  • 맑음고창 12.6℃
  • 구름많음제주 16.4℃
  • 맑음강화 9.3℃
  • 맑음보은 11.7℃
  • 맑음금산 12.8℃
  • 구름많음강진군 13.9℃
  • 맑음경주시 10.4℃
  • 구름조금거제 15.0℃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랭킹연구소] 그룹 총수 주식재산, 누가 많이 벌었나?…TOP5, 김승연>이웅열>박찬구>이순형>방시혁 順

43개 주요 그룹 총수, 1분기 1810억원↓…하이브 방시혁 5000억원 늘어
CXO연구소, 43개 그룹 총수 올 1분기(1월 초 대비 3월 말) 주식평가액 변동 조사
그룹 총수 43명 중 27명 주식평가액 증가…김승연 한화 회장, 주식가치 45%↑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6000억원 넘게 감소…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주식재산 1위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43개 주요 그룹 총수의 올해 1분기(1월 초 대비 3월 말) 주식평가액은 1800억원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재산 감소율로 보면 0.3%로 소폭 하락한 수준이다.

 

그룹 총수 중에서는 한화 김승연 회장은 올 1분기 주식가치 증가율이 45% 이상으로 가장 많이 올랐다. 방시혁 하이브 이사회 의장은 올 1분기에만 주식재산이 5000억원 넘게 불었으나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6000억원 이상 감소해 희비가 엇갈렸다. 또 방준혁 넷마블 이사회 의장은 20% 넘게 주식재산이 줄며 주식재산 1조 클럽에서 탈락했고, 그룹 총수 중에서는 올 3월 말 기준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이 유일하게 주식가치 10조 클럽에 이름을 올린 것으로 파악됐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9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5년 1분기(1월 초 대비 3월 말 기준) 주요 그룹 총수 주식평가액 변동 조사’ 도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공정거래위원회가 관리하는 대기업집단 중 올 3월 말 기준 주식평가액이 1000억원 넘는 그룹 총수(総帥) 43명이다.

 

주식재산은 총수가 상장사 지분을 직접 보유한 경우와 함께 비(非) 상장사를 통해서 우회적으로 해당 그룹 상장 계열사 보유한 주식 현황도 포함했다. 비상장사의 경우 해당 회사 지분을 50% 이상 보유한 경우로 제한해 조사가 이뤄졌다. 우선주도 이번 조사 범위에 포함됐다. 주식평가액은 지난 1월 2일(1월 초)과 3월 31일(3월 말) 종가 기준으로 평가했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43개 그룹 총수의 올해 1월 초 주식평가액은 57조9212억원이었는데, 지난 3월 말에는 57조7401억원으로 달라졌다. 올 1분기 기준 43개 그룹 총수의 주식재산이 1810억원 넘게 쪼그라졌다. 하락률로 보면 0.3% 수준이다. 조사 대상 43개 그룹 총수 중 27명은 주식평가액이 상승해 미소를 지었으나, 16명의 주식재산은 감소해 표정이 어두워졌다.

 

 

◆ 한화 김승연 회장, 45% 넘게 상승…이웅열(코오롱)·박찬구(금호석유)·이순형(세아) 회장 30%대 증가

 

올해 초 대비 3월 말 기준 국내 43개 그룹 총수 중 주식평가액 증가율 1위는 ‘한화 김승연’ 회장인 것으로 조사됐다. 김 회장의 지난 1월 초 주식평가액은 5175억원 수준이던 것이 지난 3월 말에는 7552억원으로 껑충 뛰었다. 올 1분기 주식재산 증가액만 2376억원을 훌쩍 넘겼다. 주식재산 증가율만 해도 45.9% 정도다.

 

김승연 회장은 3월 말 기준 한화 보통주(1697만 7949주)와 한화 우선주(147만 주)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중 한화 보통주의 경우 올해 1월 2일 주가는 2만 7050원이었는데 3월 31일에는 4만 950원으로 최근 3개월 새 51.4%나 크게 오르며 김 회장의 주식평가액도 두둑해졌다.

 

하지만 김승연 회장의 주식가치는 향후 절반 정도 줄어들 전망이다. 김승연 회장이 보유한 한화 보통주 주식 중 848만 8970주를 세 명의 자녀에게 증여하기 때문이다. 김 회장은 지난 3월 31일에 자신이 보유한 주식을 세 자녀에게 증여할 계획이라고 공시한 바 있는데, 실제 거래 개시가 이뤄지는 시점은 올해 4월 30일이다.

 

올 1분기에 30%대로 주식재산이 늘어난 총수는 3명 있었다. 여기에는 ▲이웅열 코오롱 명예회장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회장 ▲이순형 세아 회장이 포함됐다. 이중 이웅열 명예회장의 주식재산은 올 1분기에 39.3% 정도 증가해 눈길을 끌었다. 이 명예회장의 올해 초 주식평가액은 1474억원 수준이었는데, 지난 3월 말에는 2054억원을 넘긴 것으로 파악됐다. 3개월 새 늘어난 주식가치만 579억원 이상됐다.

 

이 회장은 ㈜코오롱을 비롯해 코오롱생명과학, 코오롱인더스트리, 코오롱글로벌 4개 주식종목에서 지분을 쥐고 있다. 이 중에서도 ㈜코오롱의 주가가 올해 초 1만 4060원에서 3월 말 기준 2만 1550원으로 3개월 새 53.3% 가까이 오른 것이 이웅열 명예회장의 주식재산이 늘어나는 결정적 역할을 했다.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회장의 주식재산도 올 1분기에만 35.6% 수준으로 늘었다. 박 회장의 올해 초 대비 3월 말 기준 주식재산은 1815억원에서 2461억원으로 3개월 새 646억원 이상 많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박찬구 회장은 3월 말 기준 금호석유화학 주식 203만 9629주를 보유 중이다. 앞서 주식의 올해 초 대비 3월 말 기준 보통주 1주당 주식가치가 8만9000원에서 12만700원으로 증가하면서 박 회장의 주식평가액도 비례적으로 커졌다.

 

이순형 세아 회장도 33.9%나 상승하며 주식평가액이 30%대로 증가했다. 이순형 회장은 1357억원에서 1816억원으로 올 1분기에만 459억원 넘게 주식가치가 두둑해졌다. 이 회장은 세아제강지주를 비롯해 세아베스틸지주, 세아홀딩스, 세아제강 4개 종목에서 주식을 쥐고 있는데, 이중 세아제강지주의 주식가치가 17만7100원에서 23만8500원으로 34.7% 오른 것이 이순형 회장의 주식평가액 상승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43개 그룹 중 올 1분기 기준 주식재산 증가액이 가장 컸던 총수는 방시혁 하이브 의장인 것으로 조사됐다. 방시혁 의장의 주식재산은 올해 초 2조5816억원 수준에서 3월 말에는 3조971억원으로 최근 3개월 새 5155억원(20.0%) 넘게 불었다.

 

다음으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같은 기간 11조9099억원에서 12조2312억원으로 3213억원(2.7%) 이상 주식가치가 상승한 것으로 평가됐다.

 

 

◆ 방준혁 넷마블, 주식가치 하락률 20% 넘어…서정진 셀트리온, 6000억원 넘게 주식재산 감소

 

43개 그룹 총수 중 올 1분기 주식가치 하락률이 가장 큰 그룹 총수는 방준혁 넷마블 의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방 의장은 올해 초 1조489억원이던 주식평가액이 3월 말에는 8115억원으로 내려앉았다. 3개월 새 주식재산이 22.6%나 떨어지며, 주식재산 1조 클럽에서도 탈락한 것으로 확인됐다. 방준혁 의장은 넷마블 주식 지분을 2072만9472주를 갖고 있는데, 앞서 종목의 1주당 주가는 올해 1월 2일 5만600원에서 3월 31일에는 3만9150원으로 낮아지며 방 의장의 주식가치도 동시에 하락했다.

 

이외 올 1분기에 10%대로 주식평가액이 줄어든 총수는 5명으로 집계됐다. 여기에는 ▲장형진 영풍 고문 18.6%↓(1월 초 7023억원→3월 말 5713억원) ▲정몽준(HD현대) 아산재단 이사장 15.3%↓(1조7985억원→1조5233억원) ▲정몽윤 현대해상 회장 12.6%↓(4917억원→4297억원) ▲정의선 현대차 회장 11.5%↓(4조2912억원→3조7982억원) ▲구광모 LG 회장 10.5%↓(1조8119억원→1조6212억원) 순으로 떨어졌다.

 

특히 이번 조사 대상 43개 그룹 중 올 1분기 주식재산 금액이 가장 많이 떨어진 총수는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인 것으로 파악됐다. 서 회장의 주식재산은 올해 초 10조4309억원이던 것이 3월 말에는 9조7770억원으로 3개월 새 6537억원(6.3%↓) 넘게 가장 많이 감소했다. 3개월 새 6000억원 이상 주식재산이 줄어들면서 그룹 총수 중 지난 3월 말 기준 주식재산 10조 클럽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이어 ▲정의선 현대차 회장(4930억원↓) ▲정몽준(HD현대) 아산재단 이사장(2752억원↓) ▲방준혁 넷마블 의장(2373억원↓)도 올 1분기에만 주식재산이 2000억원 이상 증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정의선 현대차 회장은 현대차와 현대글로비스 주가가 올 1분기에만 각각 6.8%, 16% 수준으로 떨어진 것이 주식가치 하락의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 올 3월 말 주식재산 1조 클럽 가입 총수 15명…김범수(카카오)·정의선(현대차), 3~4위 순위 달라져

 

지난 3월 말 기준 조사 대상 43개 그룹 총수 중 주식재산 1조 클럽에는 15명이 이름을 올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올해 초 때보다 1명 줄어든 숫자다. 3월 말 기준 주식재산 1위는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12조2312억원)이 차지했다. 올해 초 11조9099억원이던 것을 감안하면 최근 3개월 새 2.7% 수준으로 주식재산이 증가했다.

 

그렇다고 미소를 짓지는 못했다. 1년 전(前)인 작년 3월 말 기록했던 16조5864억원과 비교하면 4조원 이상 여전히 차이나기 때문이다. 특히 올해 3월 6일에는 조정호 메리츠금융지주 회장에게 주식부자 1위 자리까지 내주기도 해 체면을 구긴 바 있다.

 

 

TOP 3에는 각각 2위 셀트리온 서정진 회장(9조7770억원), 3위 카카오 김범수 창업자(4조1249억원) 순으로 주식재산이 높았다. 이중 서정진 회장은 올해 초만 해도 주식재산이 10조4308억원으로 주식재산 10조 클럽에 이름을 올렸지만, 3개월이 흐른 지난 3월 말에는 9조원대로 10조 클럽에서 탈락한 것으로 확인됐다. 여기에는 셀트리온 보통주 주식가치가 올해 초 18만300원에서 지난 3월 말에는 16만9000원까지 떨어진 것이 결정적이었다.

 

김범수 창업자는 올해 1월 초 주식평가액 순위는 4위를 기록했는데, 지난 3월 말에는 다시 3위로 복귀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 창업자의 경우 올해 초 3조9527억원에서 지난 3월 말에는 4조1249억원으로, 올 1분기에 4.4% 상승하며 3조원대에서 4조원대 주식재산 규모를 보였다.

 

5~6위권에는 각각 ▲4위 정의선 현대차 회장(3조7982억원) ▲5위 방시혁 하이브 의장(3조971억원) ▲6위 장병규 크래프톤 이사회 의장(2조6334억원) 순으로 2조원을 상회했다. 이중 정의선 현대차 회장은 올해 초 4조2912억원으로 그룹 총수 재산 순위 3위였는데, 지난 3월 말에는 4위로 한 계단 내려앉았다.

 

이외 ▲7위 최태원 SK 회장(1조6851억원) ▲8위 구광모 LG 회장(1조6212억원) ▲9위 정몽준(HD현대) 아산재단 이사장(1조5233억원) ▲10위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1조5190억원) ▲11위 이재현 CJ 회장(1조4691억원) ▲12위 김남정 동원 회장(1조4269억원) ▲13위 조현준 효성 회장(1조2805억원)▲14위 이동채 에코프로 창업자(1조2449억원) ▲15위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1조1707억원)도 올 1분기에 주식재산 1조 클럽에 합류한 것으로 파악됐다.

 

공정위가 지정하는 대기업집단의 그룹 총수가 아니어서 이번 조사에서는 공식적으로 제외됐지만, 조정호 메리츠금융지주 회장은 지난 3월 말 기준 주식평가액이 11조9152억원으로 국내에서 이재용 회장 다음으로 두 번째로 주식재산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 초만 해도 조정호 회장의 주식재산은 10조1852억원 수준이었는데, 지난 2월 4일에는 11조452억원으로 11조원을 넘어섰다. 그러다 2월 20일에는 12조228억원으로 12조원대로 진입하더니, 지난 3월 6일에는 12조4334억원으로 국내 주식부자 1위 자리까지 올라서는 뒷심까지 발휘했다.

 

같은 날 이재용 회장의 주식평가액은 12조1666억원이었다. 공식적으로 조정호 회장이 이재용 회장의 주식재산을 앞지른 것은 단 하루밖에 되지 않았지만, 3월 말 기준 이재용 회장과 조정호 회장의 주식재산 격차는 100대 97.5 수준으로 여전히 5% 이내에서 접전을 보이고 있다. 조정호 회장으로서는 국내 주식부자 2위를 굳히면서 1위까지 위협하며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는 모양새다.

 

이외 올 3월 말 기준 주식재산이 5조원이 넘는 주요 주주 중에서는 홍라희 리움 명예관장(5조8847억원)도 포함됐다. 이와 달리 같은 삼성가인 이부진 사장(4조9439억원)과 이서현 사장(4조3900억원)은 4조원대 주식재산 수준을 기록했다. 정몽구 현대자동차 명예회장(4조4072억원) 역시 주식재산이 5조원 이하인 것으로 계산됐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지난해 국내 시장이 전반적으로 좋지 않았던 상황에서 그룹 총수들 40여개 주식종목 중 올해 1분기에 주가가 오른 곳이 내린 곳보다 다소 많았다”며 “문제는 올 2분기부터 트럼프 대통령이 단행한 높은 관세 정책으로 인한 피해 여파와 함께 미중갈등이 심화될 경우 국내 주식시장도 침체기로 접어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규제에도 27만명 몰렸다” 연내 서울 3600가구 분양…역삼센트럴자이·오티에르 반포·더샵 르프리베·아크로 드 서초·아크로 리버스카이 '눈길'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잇따른 부동산 규제에도 서울 분양시장은 여전히 뜨거운 청약 열기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서울에서 진행된 1순위 청약에는 총 22만여명이 몰리며 견조한 분위기를 재확인했다. 분양·입주권 거래량도 크게 늘어나면서 연내 공급될 신규 단지들에 대한 관심이 한층 높아지는 모습이다. 20일 기준 부동산R114 자료를 보면 올해 서울에서 분양한 아파트는 15곳으로 1순위 청약에 총 27만5,766명이 몰렸다. 이는 동기간 전국 1순위 청약자(62만856명)의 약 44.42%에 달하는 수치다. 특히 이번 정부의 첫 부동산 대책인 6.27대책이 발표된 6월 이후에도 청약자가 20만명 가까이 몰리는 등 청약 열기가 식지 않고 있다. 개별 단지의 경쟁률도 치열하다. 서초구 반포동 일원에 들어서는 ‘반포 래미안 트리니원’은 11월 진행된 1순위 청약에 무려 5만4,631명이 몰리면서 237.5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난 9월 분양한 송파구 신천동 ‘잠실 르엘’은 1순위 청약자 6만9,467명, 평균 경쟁률 631.6대 1을 기록했다. 청약 시장 활기로 분양·입주권 거래도 증가세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올해(1월~10월)

삼표시멘트, 업계 최초 3년 연속 ESG 전 부문 ‘A등급’ 달성…지속가능경영 최고 수준 입증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삼표시멘트가 국내 최고 권위의 ESG 평가기관인 한국ESG기준원(KCGS)이 발표한 2025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에서 시멘트 업계 최초로 3년 연속 전 부문 A등급 이상을 달성하며 ‘통합 A등급’을 획득했다. 건설기초소재 전문기업 삼표그룹(회장 정도원)의 핵심 계열사인 삼표시멘트(대표이사 배동환•이원진)는 한국ESG기준원(KCGS)이 주관한 2025년 ESG 평가에서 ‘통합 A등급’을 받았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평가는 ▲안전 최우선 현장 운영 체계 확립 ▲친환경 특수 시멘트 ‘블루멘트’ 확대 등 생산 공정 환경영향 최소화 ▲투명한 의사결정과 준법•윤리 경영 정착 ▲지역사회 맞춤형 사회공헌 활동 확대 등 ESG 전 영역에서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경영 활동을 지속해 온 결과다. KCGS는 국내 대표 ESG 평가기관으로 매년 국내 상장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수준을 평가한다. 평가 등급인 통합 A는 환경(E)•사회(S)•지배구조(G) 전 부문에서 높은 수준의 ESG 경영을 펼치고 있는 기업에게 부여된다. 삼표시멘트는 시멘트 업계 최초로 3년 연속 전 부문 A등급 이상을 기록했다. 특히 사회(S) 부문에서는 지난해에 이어 최고

한미글로벌, 테크 포럼 개최..."스마트 건설기술, 인프라 건설에도 적용을"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1위 건설사업관리(PM) 전문기업 한미글로벌(회장 김종훈)이 '스마트 인프라 건설'을 주제로 올해 하반기 'HG 테크 포럼'을 오는 12월 2일 오후 1시 서울 강남구 코엑스 컨퍼런스룸 317호에서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포럼의 주제는 '스마트 인프라 건설'이다. 특히 국내 양수발전소 프로젝트에서 스마트 건설기술 적용 과제와 전략을 다룰 예정이다. 최근 건설 기술의 디지털화와 자동화가 가속화되며 해외 인프라 공사에서는 성공적인 적용 사례가 늘고 있지만, 국내 토목 인프라 분야에서는 디지털 기술 적용이 더딘 상황이다. 한미글로벌은 이번 포럼을 통해 미래 스마트 인프라 시장의 변화를 분석하고, 국내 현장에 최적화된 스마트 건설 솔루션 도입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발주자 및 건설 관련 기업들과 공유할 예정이다. 기조강연은 한국도로공사 스마트건설사업 단장을 역임한 조성민 연구처장이 ‘인프라 건설의 미래와 스마트 기술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한다. 이어 첫 번째 주제 발표 세션에서는 인프라 사업에 참여했던 건설기업들의 스마트 건설 기술을 적용하여 생산성 향상과 성과를 창출한 사례를 다룬다. DL E&C에서 ‘드론을 활용

[공간사회학] “전세도 스펙 경쟁" 임대인·임차인 모두 검증받는 시대…임차인 면접·6개월 인턴·변호사 세입자 사양 등 ‘뉴 노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아파트 전세 품귀와 전세의 월세화 흐름 속에서 ‘임차인 면접제’가 한국 임대차 시장의 신(新)풍속도로 부상하고 있다. 전세사기·역전세 사태 이후 임대인에 대한 정보공개가 제도화된 데 이어, 이번에는 임대인이 임차인의 신용·범죄 이력과 ‘생활 태도’까지 검증하겠다는 역(逆)요구가 맞붙으면서 전월세 계약을 둘러싼 힘의 균형이 근본적으로 재편되는 양상이다.​ 국회로 올라간 ‘임차인 면접제’…서류–면접–6개월 인턴까지 국회 국민동의청원 게시판에는 11월 12일 ‘악성 임차인으로 인한 피해 방지를 위한 임차인 면접제 도입’ 청원이 올라와 동의 절차를 밟고 있다. 이 청원은 요건 심사 통과 뒤 공개 하루 만에 100명의 사전 동의를 채웠고, 이후 동의자가 1000명을 넘기며 임대인 불만과 불안 심리가 적지 않음을 보여줬다. 국회법상 30일 안에 5만명 이상 동의를 확보하면 소관 상임위원회가 150일 이내에 공식 심사에 착수해야 한다.​ 청원인이 요구하는 ‘임차인 면접제’는 사실상 채용 절차에 준하는 3단계를 상정한다. 1차 서류전형에서는 ▲신용정보조회서(대출 연체 여부) ▲범죄기록회보서 ▲소득금액증명원(월세 납부 능력) ▲세금완납증명서(국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