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1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랭킹연구소] 韓 중견기업 1Q 영업이익 17% '쑥'…에스디바이오센서‧삼양식품‧롯데관광개발 ‘톱3’

CEO스코어, 국내 500대 중견기업 2024년 1분기 실적 조사
중견기업 1Q 영업이익 16.6% '쑥'…'식음료' 웃고, '의료기기‧철강' 울다
올해 1분기 영업익 2조9487억원…전년比 16.6%↑
불닭 효과로 식음료 영업익 129.2%↑…반도체 업황개선으로 IT전기전자도 67.5%↑
코로나 엔데믹으로 의료기기는 영업익 66.7%↓… 철강도 시황 악화로 27.3%↓
에스디바이오센서‧삼양식품‧롯데관광개발, 영업익 증가 ‘톱3’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올해 1분기 국내 500대 중견기업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7% 소폭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16.6%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침체 장기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허리띠를 졸라매는 긴축 경영을 통해 불황 속 수익성 개선에 성공했다는 평가다.

 

업종별로는 불닭볶음면의 선풍적인 인기를 앞세운 삼양식품 덕분에 식음료 부문의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고, 반도체 업황 개선으로 IT전기전자의 업종도 영업이익이 확대됐다. 반면, 의료기기 업종과 철강 업종은 각각 코로나19 엔더믹과 시황 악화 등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축소되며 부진했다.

 

19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김경준)가 국내 매출 기준 500대 중견기업 중 이달 16일까지 분기보고서를 제출한 496개사를 대상으로 올 1분기 실적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1분기 매출액은 57조50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인 55조5596억원과 비교해 2.7%(1조4907억원) 증가한 수치다.

 

매출에 이어 영업이익도 전년 대비 증가세를 보였다. 1분기 500대 중견기업의 영업이익은 2조9487억원으로 전년 동기 2조5281억원 대비 16.6% 늘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전체 13개 업종 중 9개 업종의 영업이익이 증가했다. 특히 반도체 업황개선으로 IT전기전자 업종의 영업이익 전년 대비 2264억원 늘어나며, 전체 업종 가운데 증가폭이 가장 컸다.

 

IT전기전자 부문은 지난해 3352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으나, 올 1분기 5617억원으로 증가하며 중견기업 전체 성장세를 견인했다. 이는 지난해 반도체 한파로 큰 어려움을 겪었던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이 반도체 수출 급증으로 올해 본격적인 상승 국면에 접어들면서 증견기업 실적에도 고스란히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식음료 부문의 실적도 크게 개선됐다. 지난해 1분기 741억원에 그쳤던 영업이익은 올 1분기 1699억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이는 삼양식품이 ‘불닭볶음면 신드롬’에 힘입어 영업이익을 200% 이상 끌어올린 덕분이다.

 

서비스 부문도 성장세를 이어갔다. 서비스 부문의 올 1분기 영업이익은 3960억원으로 전년 동기 3021억원 대비 31.1%(938억원) 증가했다. 이외에도 △건설‧건자재(42.2%↑) △석유화학 (13.3%↑) △생활용품(17.1%↑) △조선‧기계‧설비(16.5%↑) 등의 영업이익이 늘어났다.

 

반면, 의료기기, 철강 등은 부진했다. 의료기기의 경우, 올 1분기 영업이익이 259억원에 그치며 전년 동기 778억원 대비 무려 66.7%(-519억원)나 감소했다. 이는 코로나 먹구름이 드리우면서 코로나19 진단 키트 개발업체들의 수익성이 줄어든 영향으로 보인다.

 

건설경기 악화, 완성차 수요 위축, 중국과 일본의 저가 공세 등으로 직격탄을 맞은 철강‧금속‧비금속 부문도 지난해 1분기 영업이익 3236억원에서 올 1분기 2353억원으로 27.3% 가량 줄었다. 이어 △제약‧바이오(-13.0%↓) △운송(-19.6%↓) 등의 영업이익도 감소했다.

 

기업별로는 에스디바이오센서의 적자가 큰 폭으로 축소됐다. 에스디바이오센서는 올 1분기 영업손실 106억원으로 전년 동기 -1238억원 대비 1132억원 가량 적자가 줄었다.

 

삼양식품의 영업이익도 크게 늘었다. 삼양식품은 지난해 1분기 239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으나 올 1분기 80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5.8% 증가했다. 해외 매출이 전년 동기보다 83% 상승한 2889억원을 기록하며 1분기 실적을 견인했다.

 

롯데관광개발도 역대 최대 규모의 흑자를 냈다. 롯데관광개발은 외국인 전용 카지노 사업 호조로 올 1분기 영업이익 88억원으로 전년 동기 -334억원 대비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이어 △대유에이텍 377억원(흑자전환) △톱텍 372억원(흑자전환) △서진시스템 346억원(396.3%↑) △자화전자 317억원(흑자전환) △제이앤티씨 295억원(1326.0%↑) △파라다이스 294억원(154.5%↑) 순으로 영업이익이 늘었다.

 

반면, 영업이익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기업은 오상헬스케어로 나타났다. 오상헬스케어는 1분기 영업손실 51억원으로 전년 동기 1556억원 대비 적자 전환됐다. 이어 △휴스틸 -501억원(73.2%↓) △와이지엔터테인먼트 -435억원(적자전환) △차바이오텍 -246억원(적자전환) △삼부토건 -221억원(적자전환) △TYM -217억원(66.9%↓) 순으로 영업이익이 축소됐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골드만삭스, 서울지점 주식부문 새 수장에 박지은…한국 주식시장 ‘글로벌 허브’ 부상 신호탄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박지은 본부장을 서울지점 주식부문 대표로 공식 선임했다. 이번 인사는 한국 주식 및 파생상품 시장의 위상이 아시아·태평양(아태) 지역에서 더욱 강화되고 있음을 방증하는 동시에, 글로벌 IB(투자은행) 업계의 ‘한국 키맨’ 교체로 주목받고 있다. 박지은 대표, “기관·연기금 파생상품 혁신 주도” 박지은 신임 대표는 국내 주식과 주식 기반 파생상품 사업을 총괄하며, 아태지역 주식 비즈니스 리더십 팀과 긴밀히 협력할 예정이다. 박 대표는 2018년 골드만삭스 홍콩 아태지역 본사에 부문장으로 합류한 뒤, 같은 해 서울지점으로 자리를 옮겼고 2021년 본부장으로 승진했다. 이번 인사 전에는 국내 기관투자자, 국부펀드, 연기금을 대상으로 주식 기반 파생상품을 제공하는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경제학·수학 학사(2010), 뉴욕대학교 금융수학 석사(2011)를 마친후 홍콩 소재 글로벌 IB에서 파생상품 분야 전문성을 축적하고, 2018년 골드만삭스에 합류한 금융분야 전문가이다. 골드만삭스 서울지점, ‘글로벌 자금’ 한국시장에 47억 달러 이상 투자 골드만삭스는 1992년

[이슈&논란] 강호동 농협중앙회장 1억원 수수 '의혹'에 경찰 내사 '착수'…핵심인물과 유찬형 부회장의 접촉 정황 드러나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이종화 기자]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이 1억원의 현금을 수수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경찰이 내사에 착수한 사실이 확인됐다. 이 사건은 단순한 금전 수수 의혹을 넘어 농협 조직 내 권력구도, 인사 갈등 등 다양한 파장을 예고하고 있어 더욱 세간의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경기신문 단독 취재에 따르면, 경찰은 “강 회장이 A씨로부터 현금 5000만원을 두 차례에 걸쳐 전달받았다”는 구체적 첩보를 입수하고 내사에 돌입했다. 해당 첩보를 뒷받침하는 참고인 조사가 이미 일부 진행된 것으로 파악됐다. 1억원을 건넨 것으로 지목된 용역업체 대표가 강 회장에게 협박성 문자를 보냈고, 이로 인해 농협유통의 입찰 공고가 무산됐다는 정황도 언론을 통해 드러났다. 특히 이번 사건의 핵심 인물인 A씨와 강 회장 최측근으로 분류되는 유찬형 전 농협중앙회 부회장이 최근 별도로 접촉한 사실도 드러나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복수의 농협 관계자에 따르면, 유 전 부회장은 사건 무마 또는 진술 회유 목적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다. 유 전 부회장은 처음에는 “A씨를 만난 적 없다”고 부인했으나, 이후 “개인적으로 안부를 나눈 자리였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랭킹연구소] 2분기 시총증가율 상위 TOP10…두산에너빌리티·HD현대중·삼성電·SK스퀘어·HD한국조선해양·한화에어로 順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2025년 3월말 대비 6월말 기준 2분기 국내 상장사 시가총액(시총)은 상승 바람을 탄 곳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장사 전체 시총 외형은 1분기 대비 2분기에만 530조원 넘게 늘었고, 개별 주식종목으로 살펴보더라도 10곳 중 7곳 이상이 상승세를 보인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SK하이닉스는 올 2분기에만 시총 외형만 70조원 이상으로 가장 많이 불었고, 두산에너빌리티는 시총 순위 톱5에 이름을 올린 것으로 조사됐다. 올 2분기에 시총 1조 클럽에 가입한 종목은 284곳으로 1분기 때보다 40곳 이상 많아졌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7일 ‘2025년 3월말 대비 6월말 2분기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 변동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 주식종목(코스피+코스닥+코넥스)은 우선주를 제외한 2758곳이고, 올해 3월말(3월 31일)와 6월말(6월 30일) 시총 변동 금액과 순위 등을 비교해 살펴봤다. 시총은 한국거래소 자료를 참고했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올해 6월말 기준 국내 시총 규모는 2856조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지난 3월말에는 2324조원 정도였는데, 올 2분기(3월말 대비 6월말) 시총 체격은 532조

"중국인 집주인에게 월세 내야 하나요?"…한국 부동산, 외국인 투기 '역차별' 논란에 외국인 투기 차단법 '입법' 시동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최근 한국 부동산 시장에서 중국인 투자자들의 투기적 매수가 심각한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정부가 내국인에 대한 고강도 대출 규제를 시행한 반면, 외국인에겐 사실상 규제 사각지대가 열려 있다는 점이 문제의 핵심이다. 이에 따라 국회에서는 외국인 부동산 투기를 차단하기 위한 법안이 발의되는 등 대책 마련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중국인, 한국 부동산 '쇼핑'…투기성 매수 집중 최근 5년간 한국에서 부동산을 매입한 외국인 중 중국인의 비중은 60~70%에 달해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2024년 한 해 동안만도 중국인 1만1346명이 국내 부동산을 사들여 전체 외국인 매수의 64.9%를 차지했다. 특히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매수세가 집중되는 현상이 뚜렷하다. 이들은 대부분 본국(중국)에서 자금을 조달하거나, 현금으로 고가 주택을 일시에 매수하는 방식으로 규제를 피해가고 있다. 실제로 120억원 상당의 단독주택을 30대 중국인이 전액 현금으로 매입한 사례, 8살 중국 어린이 명의의 아파트 매수 등 비상식적인 거래도 적발됐다. 또, 다주택자로 임대사업을 하며 세금 탈루까지 시도하는 등 투기성 행위가 빈번하다. 내국인 역

28억 아파트 반값에 ‘줍줍’…올림픽파크포레온 무순위 청약, 서울 무주택자 30만명 몰릴까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서울 강동구 둔촌동의 대단지 아파트 ‘올림픽파크포레온’(구 둔촌주공)이 2025년 7월 10일부터 11일까지 단 4가구에 대해 무순위 청약을 실시한다. 이번 무순위 청약은 기존 분양가(최대 12억9330만원)로 공급되며, 최근 실거래가(최대 28억5000만원)와 비교해 15억~16억원에 달하는 시세차익이 기대돼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청약 대상은 2025년 7월 4일 모집공고일 기준 서울특별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무주택 세대구성원으로 한정된다. 과거 무순위 청약이 전국구였던 것과 달리, 2025년 6월부터 주택 공급 규칙이 개정되면서 자격이 대폭 강화됐다. 이에 따라 실수요자 중심의 청약 기회 제공이라는 정부 정책 방향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청약의 신청 자격은 서울 거주 무주택 세대구성원으로, 세대 전원이 무주택이어야 한다. 청약 접수는 7월 10일부터 11일까지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서 온라인으로 이뤄진다. 청약통장 가입 여부와 무관하게 신청이 가능하며, 주민등록법상 세대원만 신청할 수 있어 외국인은 제외된다. 공급 물량은 총 4가구로, 전용 39㎡ 1가구(6억9440만원), 59㎡ 1가구(10억5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