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6 (일)

  • 맑음동두천 15.1℃
  • 맑음강릉 20.3℃
  • 맑음서울 16.6℃
  • 맑음대전 18.9℃
  • 맑음대구 19.5℃
  • 구름조금울산 18.6℃
  • 맑음광주 19.1℃
  • 구름조금부산 18.8℃
  • 맑음고창 18.3℃
  • 구름많음제주 20.3℃
  • 구름많음강화 14.8℃
  • 맑음보은 17.9℃
  • 맑음금산 18.6℃
  • 구름조금강진군 19.3℃
  • 맑음경주시 20.6℃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이슈&논란] 4년만에 반쪽짜리 전락한 'ESG경영'…대기업 절반만 위원회·회의는 분기 1회도 안열려 '찻잔 속 태풍'

361개 기업 조사 결과, 위원회 운영 기업 3년째 50%대로 증가세 둔화
ESG 관련 직접 안건 15% 불과, 60%는 단순보고…위원장 없거나 미공시 절반 이상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20년부터 본격화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4년이 지난 현재, 국내 대기업들의 ESG위원회 설치율이 절반 수준에 머물며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 운영 실태를 살펴봐도 회의는 분기 평균 1회도 안 열렸고, 회의당 안건 수도 2.3개에 그쳤으며, 그 중 60% 이상이 단순 보고에 그쳤다.

 

수년간 재계를 강타했던 ESG 열풍이 찻잔 속 태풍으로 끝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는 대목이다.

 

18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반기보고서를 제출하는 361개사를 대상으로 ESG위원회 및 유사한 지속가능경영위원회 운영 여부를 조사한 결과, 53.7%인 194개 기업만이 관련 위원회를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준 조사에서 48.5%(175개 기업)였던 것과 비교하면 1년 동안 19개 기업 증가에 그친 수치다.

 

ESG위원회를 운영하는 194개 기업에서 지난해 열린 회의는 총 595회로, 위원회당 연평균 3.8회에 불과했다. 분기당 1회도 개최되지 않은 것이다.

 

회의에 상정된 안건은 총 1361건으로, 회의당 평균 2.3건이 처리됐다. 그러나 이 중 64%에 해당하는 875건이 단순 보고였으며, 가결을 필요로 하는 안건은 35.7%(486건)에 불과했다.

 

ESG위원회에서 의결을 요하는 486건의 안건을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 분야로 분류해 본 결과, 직접 관련된 내용은 79건으로 전체의 16.3%에 그쳤다. 나머지는 ESG 관련성보다는 기업 전략이나 주주환원 등의 기타 안건이 대부분이었다.

 

직접 안건을 세부적으로 보면, 환경(E) 관련이 39건(8.0%)으로 가장 많았고 지배구조(G) 개선 23건(4.7%), 사회(S) 관련 17건(3.0%) 순이었다.

 

업종별 ESG위원회 설치율을 보면 4대 금융지주를 포함한 지주사들과 이동통신 3사는 100% 운영 중이었다. 이어 500대 기업에 포함된 공기업 10곳 중 9곳(90%)이 ESG위원회를 두고 있으며, 조선·기계·설비업 70%, 증권업 70.0%, 상사업종과 생활용품 66.7%, 서비스업 65.2%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철강업(21.4%)과 제약업(25.0%)에서는 ESG위원회를 운영하는 기업이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했다. 철강업의 경우 14개 기업 중 3곳이, 제약업은 8개 기업 중 2곳만이 ESG위원회를 두고 있었다.

 

ESG위원회를 운영하는 194개 기업에서 활동하는 위원은 총 624명이었으며, 이 중 78.4% 489명이 사외이사였다. 사내이사는 21.8%(136명)에 그쳤다.

 

위원장이 지정된 ESG위원회는 96곳에 불과했으며, 그보다 더 많은 98곳은 위원장이 없거나 공시되지 않았다. 또한 위원장이 있는 96곳 중 사내이사가 위원장을 맡은 경우는 단 5곳뿐이었다. 오뚜기 황성만 대표이사 사장, 롯데렌탈 최진환 대표이사 사장, 농심 이병학 대표이사 사장, F&F 김창수 대표이사 사장, 에쓰오일(S-oil)의 모타즈 알 마슈크(Motaz Al Mashouk) 기타비상무 이사가 그들이다.

 

나머지 91곳은 사외이사가 위원장직을 수행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 사내이사가 ESG위원장을 맡은 비율(7.7%, 12명)보다 크게 감소한 것으로, ESG 경영에 대한 기업의 관심도가 점차 낮아지고 있음을 방증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The Numbers] DSR·LTV도 대감집 머슴에게 '딴세상'…사내대출, ‘부동산 규제 우회 통로’로 급부상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최근 국내 대기업과 공공기관들이 운영하는 사내대출 제도가 ‘부동산 규제 우회 통로’로 급부상하고 있다. 시중은행 가계대출 규제가 한층 강화되면서, 삼성, 현대차, 네이버, 카카오, SK하이닉스, 두나무 등 유수의 기업들은 직원 복지 수단으로 사내대출 한도와 금리를 대폭 상향·인하하는 추세를 보인다. 특히 두나무는 최근 집값 안정 대책에도 불구, 사내대출 한도를 기존 3억원에서 5억원으로 늘리고 금리 역시 무이자에 가깝게 운용해 ‘역대급 복지’ 논란의 중심에 섰다.​​ DSR·LTV 적용 없는 사내대출, 실제 규모 5년 새 63% 급증 사내대출이 ‘근로복지기금’으로 취급된다는 사실은 돈줄이 막힌 실수요자들에게 큰 매력이다. 회사가 직접 대출을 시행할 경우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나 LTV(주택담보인정비율) 등 금융권 규제와 관계없이 한도 산정이 자유롭고, 신용점수에도 영향이 없다. 실제 2020년 연간 대출액은 2조원대에서 2023년 3조392억원까지 63%나 늘었고, 공공기관을 포함한 상위 7개 기관의 사내대출 잔액도 최근 5년간 500억원 이상 증가했다.​ 국내 대표적인 사내복지가 우수한 회사별 사내대출 한도와 금리는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