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2025년 7월, 서울 강남권 등 주요 아파트 보유자들은 ‘재산세 폭탄’이라는 표현이 실감날 정도로 세금 부담이 크게 늘었다.
7일 국토교통부와 각종 부동산 통계에 따르면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 전용 84㎡의 올해 공시가격은 34억3600만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에는 공시가격이 공개되지 않아 시가표준액 기준으로 과세됐으나, 올해는 처음으로 공시가가 적용되면서 재산세는 698만원에서 737만원으로 약 39만원(5.6%) 증가했다.
강남권 고가 아파트, 보유세 40% 가까이 급등
7월에 납부할 1기분은 368만5000원, 연말 보유세(재산세+종합부동산세)는 전년 대비 36% 오른 1820만원으로 분석된다.
압구정동 ‘신현대 9차’ 전용 111㎡ 역시 공시가격이 34억7600만원으로 책정되며 재산세가 39만원(5.6%) 증가했고, 연말 보유세는 1848만원으로 39%나 늘었다. 송파구 잠실 ‘엘스’ 전용 84㎡도 공시가격이 18억6500만원으로 오르며, 보유세가 21% 상승했다.
서울 평균 공시가격 7.86% 상승…강남3구 두 자릿수 급등
올해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전국 평균 3.65% 상승했고, 서울은 7.86%로 전국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특히 강남3구(강남·서초·송파)는 각각 11.19%, 11.63%, 10.04%의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였다. 이는 전국 평균의 두 배를 넘는 수치로, 고가 아파트 밀집 지역의 세 부담이 집중적으로 커진 원인으로 꼽힌다.
중상급지·강북권도 세금 인상…‘마용성’·노도강도 예외 없어
성동구 ‘서울숲 리버뷰 자이’ 전용 84㎡는 지난해보다 8만원 오른 131만원, 마포구 ‘래미안 푸르지오’ 전용 84㎡도 8만원가량 증가했다. 마포구 아현동 ‘마포래미안푸르지오’ 84㎡의 경우, 공시가격이 14.9% 상승하며 보유세도 17.5% 증가했다.
반면, ‘노도강’(노원·도봉·강북) 등 강북권 주요 단지는 세액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노원구 공릉동 ‘풍림아파트’ 전용 84㎡는 7월 재산세가 33만원으로 전년보다 1만5000원 증가, 도봉구 방학동 ‘대상타운 현대아파트’는 재산세와 보유세가 지난해와 동일한 62만원 수준을 유지했다.

공시가격 현실화율 동결…시세 변동만 반영
정부는 올해도 아파트 공시가격 현실화율(시세 대비 공시가격 비율)을 69%로 동결했다. 이에 따라 집값 변동폭만 세금에 반영됐으며, 지난해 서울 주요 상급지에서 집값이 급등한 것이 올해 세금 인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전문가 분석 및 국제 비교
국내 부동산 전문가들은 “강남3구 등 고가 아파트 밀집 지역의 세금 부담이 전국적으로 세부담 양극화 현상을 심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서울시내 85㎡ 공동주택 평균 보유세는 2020년 182만원에서 2025년 897만원, 2030년에는 4577만원까지 급증할 것으로 추계된다.
이는 정부의 공시가격 현실화 정책과 세율 구조 강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서울시민 대부분이 종합부동산세 납부 대상이 되는 ‘보편세’ 시대로 진입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해외 주요 도시와 비교하면, 서울의 부동산 보유세 부담은 아직 뉴욕·런던 등 글로벌 대도시에 비해 낮은 편이지만, 최근 몇 년간의 급격한 인상세는 매우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OECD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부동산 보유세 비중은 GDP 대비 0.9%로, OECD 평균(1.1%)에 근접하고 있다.
세금 양극화 심화, ‘보유세 쇼크’ 현실화
2025년 서울 아파트 재산세 및 보유세 인상은 강남3구를 중심으로 한 고가 아파트 소유자들에게 ‘세금 쇼크’로 다가왔다.
중상급지 및 강북권도 예외 없이 세금이 올랐으며, 정부의 공시가격 현실화율 동결에도 불구하고 집값 급등이 세금 인상의 핵심 원인으로 지목됐다. 부동산 세제의 공정성, 세금 부담의 사회적 파장, 그리고 앞으로의 정책 방향에 대한 논의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