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6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랭킹연구소] 일자리(고용) 가장 많은 기업 순위 TOP10…삼성電·쿠팡풀필먼트·현대車·기아·LG電·SK하닉·이마트·LGD·스벅·삼성D 順

92개 그룹 고용 3만3000명↑…삼성·현대차 늘고, SK·LG 줄어
CXO연구소, 공정위 지정 92개 대기업 집단 2023년 대비 2024년 고용 변동 분석
92개 그룹 작년 고용 일자리 187만명 수준…쿠팡·한진그룹, 각각 1만명 넘게 고용 증가
고용 1위 삼성, 7년 연속 고용 증가세…현대차, 고용 20만명대 첫 진입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국내서 10만명 이상 고용을 책임지고 있는 그룹 중 삼성과 현대차는 최근 1년 새 일자리가 늘었지만 SK와 LG는 감소해 고용 성적 희비가 엇갈렸다.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가 올해 지정한 92개 그룹의 2023년 대비 2024년 전체 직원 수는 3만3000명 이상 증가했는데, 쿠팡 그룹 계열사인 ‘쿠팡풀필먼트서비스’에서만 1만4000명 이상 고용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삼성전자는 작년 고용 인원만 해도 12만명대로 단일 기업 중 고용 규모가 가장 컸고, 현대차 그룹의 국내 계열사 직원수는 지난해 처음으로 20만명대에 진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92개 그룹 대상 2023년~2024년 고용 변동 분석’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공정위가 올해 지정한 자산 5조원이 넘는 92개 대기업 집단이다. 그룹별 고용 현황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기재된 ‘공정위 공시’ 자료를 참고했다. 고용 인원은 국내 계열사 및 12월 말 기준이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올해 공정위가 지정한 92개 대기업 집단 내 국내 계열사는 3301곳이다. 이들 3300곳이 넘는 기업의 재작년(2023년) 기준 전체 직원 수는 183만9299명인데, 작년(2024년)에는 187만2346명으로 1년 새 3만3047명 수준으로 고용 일자리가 늘었다.

 

고용 증가율은 1.8% 수준이다. 이는 2022년 대비 2023년 기준 88개 그룹에서 3.1%(5만5919명↑) 수준으로 고용 증가율을 보인 것과 비교하면 1년 새 고용 증가 속도는 다소 느려진 셈이다.

 

지난해 말 기준 187만명이 넘는 92개 그룹 전체 고용 규모는 같은 기간 고용보험에 가입한 1536만4809명의 12.2% 비중이었다. 이를 뒤집어 해석하면 여전히 국내 고용 인원의 88% 정도는 공정위가 지정한 대기업집단군에 속하지 않는 중소·중견기업과 소상공인 업체 등에서 일자리를 다수 책임지고 있다는 얘기다.

 

조사 대상 92개 그룹 중 최근 1년 새 직원 수가 증가한 곳은 46곳이었고, 41곳은 감소세를 보였다. 5곳은 올해 대기업 집단으로 신규 편입됐거나 직원 수에 변동이 없었다.

 

 

직원 일자리가 늘어난 46곳 중에서 고용 인원이 가장 많이 증가한 그룹은 재작년에 이어 작년에도 ‘쿠팡’인 것으로 확인됐다. 쿠팡 그룹은 재작년 8만 4702명 수준에서 작년에는 9만 9881명으로 1년 새 직원 수가 1만 5179명 많아졌다.

 

쿠팡 다음으로 최근 1년 새 1만명 넘게 고용이 증가한 그룹에는 ‘한진’도 포함됐다. 앞서 그룹은 같은 기간 2만8378명에서 4만1470명으로, 1년 새 1만3092명이나 직원 책상이 많아졌다. 여기에는 아시아나항공(7774명)과 에어부산(1462명) 등을 한진그룹에서 품은 영향이 주효했다.

 

쿠팡과 한진을 제외하고 2023년 대비 2024년에 그룹 고용 증가 인원이 1000명 넘는 대기업 집단은 8곳 더 있었다. 여기에는 ▲삼성(6477명↑) ▲현대차(6188명↑)▲HD현대(2834명↑) ▲CJ(2780명↑) ▲한화(2378명↑) ▲한국앤컴퍼니(2343명↑) ▲이랜드(2191명↑) ▲동국제강(1827명↑) 그룹이 속했다.

 

이와 달리 SK그룹은 최근 1년 새 고용 일자리가 6000곳 이상 가장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작년 11만4950명이던 직원 수는 작년에는 10만8301명으로 1년 새 6649명이나 SK그룹 국내 계열사 고용 인원이 줄었다. 고용 감소율만 해도 5.8% 수준으로 나타났다.

 

 

특히 SK그룹 국내 계열사 고용 인원은 지난 2022년 12만4499명을 정점으로 2023년에는 11만4950명으로 9500명 넘게 줄더니 작년에는 이전해보다 6600명 이상 감소하며 10만명대로 주저앉았다. 2년 새 줄어든 고용 규모만 해도 1만6000명을 상회했다. 여기에는 SK그룹이 리밸런싱 차원에서 일부 계열사를 다른 회사로 매각하거나 통합하면서 전체적으로 직원 수가 줄고 있는 모양새다.

 

LG그룹도 재작년 15만4941명이던 직원수가 작년에는 14만9459명으로 5482명(3.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계열사 중에서는 대표적으로 LG이노텍(2609명↓)과 LG디플레이(2225명↓)에서만 1년 새 각각 2000명 넘는 직원 책상이 줄었다. LG그룹 역시 지난 2022년 15만 6775명이던 것에서 2년 연속 고용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LG의 경우 저조한 실적이 고용 하락의 원인 중 하나로 꼽혔다.

 

3300곳이 넘는 92개 그룹의 개별 기업별 고용 현황을 규모별로 살펴보면 작년 기준 직원 수가 1만명이 넘는 ‘고용 만명 클럽’에는 30곳이 가입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중에서도 작년 기준 삼성전자의 직원수는 12만3411명으로 단일 기업 중 유일하게 10만명을 넘어서며 고용 왕좌 자리를 지켰다.

 

이어 ▲2위 쿠팡풀필먼트서비스(7만8159명) ▲3위 현대자동차(7만5409명) ▲4위 기아(3만6338명) ▲5위 LG전자(3만6005명)가 대기업집단 계열사 중 고용 톱5에 포함됐다.

 

 

특히 재작년 고용 3위였던 쿠팡풀필먼트서비스는 작년에는 2위로 한 계단 상승했지만, 현대차는 같은 기간 2위에서 3위로 1년 새 순위가 바꿔졌다.

 

쿠팡풀필먼트서비스인 경우 재작년 6만4109명었는데 1년 새 1만4050명(20.9%↑)이나 증가했다. 그룹별 계열사 중에서는 재작년 대비 작년 고용 인원이 가장 많이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이외 고용 TOP10에는 ▲6위 SK하이닉스(3만1980명) ▲7위 이마트(2만6861명) ▲8위 LG디스플레이(2만5943명) ▲9위 SCK컴퍼니(2만2419명) ▲10위 삼성디스플레이(2만1242명) 순으로 작년 기준 고용 규모가 큰 상위 10개 대기업군에 꼽혔다. 롯데쇼핑은 상위 10곳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2만87명으로 2만명대 고용 수준을 보였다.

 

그룹별 2023년 대비 2024년 기준 고용 증가율로 보면 한진과 동국제강 그룹이 46.1%로 40%대로 상승했다. 이외 ▲쿠팡(17.9%) ▲셀트리온(15.5%) ▲이랜드(14.5%) ▲두나무(13.7%) ▲크래프톤(13.1%) ▲엠디엠(12.4%) ▲하이브(11.6%) 그룹 순으로 최근 1년 새 그룹 고용 인원이 10% 이상 상승했다.

 

 

그룹 전체 고용 규모별 순위는 삼성이 28만4761명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삼성은 지난 2017년 24만2006명이었는데 이후 작년까지 7년 연속으로 고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삼성에 이어 ▲현대차(20만3915명) ▲LG(14만9459명) ▲SK(10만8301명)는 지난해 고용 10만명 클럽에 가입했다. 다음으로 ▲쿠팡(9만9881명) ▲롯데(8만6045명) ▲신세계(6만9815명) ▲CJ(6만4681명) ▲한화(5만7387명) ▲KT(5만4686명) 그룹이 고용 규모 순으로 TOP 10에 속했다.

 

이중 현대차 그룹은 작년에 처음으로 삼성과 함께 고용 20만명 시대에 진입해 주목을 끌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2020년 16만6925명 수준이던 고용 규모가 2021년(17만4952명)→2022년(18만8891명)→2023년(19만7727명)으로 지속적으로 늘었고, 작년에는 20만명대 고용을 책임지는 그룹으로 성장했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국내 대기업 집단이 우리나라 경제에서 차지하는 영향력은 상당하지만 고용은 10% 초반대 수준밖에 책임지고 있지 않다”며 “국내 고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려면 대기업 위주의 고용 정책보다는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등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다양한 금융과 정책 등을 적기에 발굴하고 신속히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신세계백화점 본점 폭탄 협박, 대도심 소동…경찰특공대 대응, 수백명 대피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8월 5일 서울 중구 신세계백화점 본점에 폭발물 설치를 알리는 글이 인터넷 커뮤니티에 올라와, 영업 중인 백화점 내부 이용객과 직원 등 수백명이 긴급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다. 국내 대표적 도심 상권의 핵심이자 하루 이용객 평균 8만~10만명 수준인 신세계백화점 본점에서 벌어진 사건에 대한 경찰과 시민사회의 긴장감이 높아졌다. “폭약 설치”…글 한 줄에 도심 상권 셧다운 서울경찰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 43분경 “신세계백화점 본점 1층에 폭약을 설치했다”는 내용의 게시글이 한 인터넷 커뮤니티에 나타나자, 신고 접수와 동시에 경찰과 소방당국이 출동했다. 백화점 방문객 및 임직원 등 모든 인원을 신속히 대피시키는 한편, 회현사거리~서울역사거리 방면 도로 일부까지 통제됐다. 경찰특공대(EOD)는 건물 내외부에 대한 정밀 수색을 벌이고 있으며, 경찰 관계자는 “현재 인원 대피는 거의 완료됐고, 실제 폭약 유무는 확인 중”이라고 설명했다. 오후 3시 현재 신세계백화점 본점은 영업을 전면 중단한 상태다. 강남·명동 등 유사 사건 연쇄…최근 3년간 ‘폭발물 협박’ 142건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전국적으로 ‘폭발물 설치 협박’

한컴, 한컴인스페이스 최대주주 등극…"신성장동력 ‘AI·데이터’ 분야 투자 확대"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한글과컴퓨터(이하 한컴)가 그룹 계열사 한컴인스페이스의 지분을 확대하며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이번 지분 확대는 한컴이 중장기 신성장동력으로 선정한 ‘AI·데이터’ 분야에 대한 전략적 투자 강화와 사업 주도권 확보가 목적이다. 한컴은 최근 보유하고 있던 콜옵션을 행사해 한컴인스페이스 지분을 기존 20.7%에서 31.4%로 확대했다. 한컴인스페이스는 2020년 한컴그룹에 편입된 AI 기반 데이터 분석 전문 기업이다. 이번 지분 확대로 한컴은 경영권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향후 사업 추진에 더욱 속도를 낼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김연수 한컴 대표는 ‘클라우드·AI·데이터’를 그룹의 미래 성장 전략으로 설정하고 그룹 전반의 체질 개선을 추진 중이다. 한컴인스페이스는 김 대표가 주도하는 그룹의 중장기 신사업 비전의 핵심축을 담당하고 있다. 한컴인스페이스는 AI 기반 다매체·다채널 데이터 융합·분석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했다. 2022년 국내 민간기업 최초로 지구관측용 위성 ‘세종1호’ 발사에 성공한 데 이어, 올해 6월에는 ‘세종2호’까지 궤도에 안착시키며 독자적인 위성 데이터 수집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위성뿐만 아니

[핫픽] “국보 반가사유상, 전국민 소유 시대"…스타벅스, 국립중앙박물관 ‘사유의 방’ 굿즈 7종 선보인다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스타벅스 코리아(대표이사 손정현)가 8월 7일 국립박물관문화재단 ‘뮷즈 MU:DS’와 협업해 국립중앙박물관의 대표 전시 공간인 ‘사유의 방’에서 영감을 받은 굿즈를 출시한다. 2021년 11월 개관한 ‘사유의 방’은 삼국시대 국보 금동 반가사유상 두 점(국보 제78호, 제83호)이 별빛처럼 쏟아지는 조명 아래 나란히 전시된 공간이다. 반가사유상을 오롯이 느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올해 7월 말 기준 누적 341만명에 달하는 관람객이 국립중앙박물관을 찾을 만큼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이에 스타벅스는 우리 문화유산의 아름다움을 널리 알리고, 유물이 지닌 감동을 일상에서도 느낄 수 있도록 국립박물관문화재단과 함께 ‘별과 함께하는 사유의 시간’을 주제로 한 협업을 기획했다. 새롭게 선보이는 굿즈는 총 7종으로 스타벅스와 사유의 방의 공통 키워드인 ‘별’과 반가사유상을 활용해 협업의 의미를 더했다. 또한 기프트 패키지를 별도로 구성해 소장 가치를 더했다. 대표 굿즈로는 스타벅스의 대표 캐릭터인 베어리스타를 반가사유상으로 재해석해 담은 워터글로브와 데미 머그가 세트로 구성된 ‘사유의 방 베어리스타 데미 머그 89ml’가 있다. ‘사유의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