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랭킹연구소] 삼성그룹, 2024년 매출 400조 내외·10조클럽 '7곳'…삼성전자·삼성생명·삼성D·삼성물산·삼성화재·삼성SDI·삼성증권 順

CXO연구소, 주요 삼성 계열사 21곳 2024년 기준 매출(별도 기준) 현황 조사
60곳 넘는 삼성계열사 작년 전체 매출 397~402조 예상…삼성전자, 1년 새 38조↑
삼성전자 작년 매출 역대 2위 기록…지난해 영업이익률은 2022년 대비 절반 그쳐
1년 새 삼성電·삼성重 매출 20%↑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지난해 삼성 그룹 국내 계열사 전체 매출은 400조원 내외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지난 2022년 418조원으로 가장 높을 때와 비교하면 두 번째로 높은 그룹 매출 규모다.

 

삼성 계열사 중에서는 삼성전자와 삼성생명을 포함해 7곳이 작년에 매출 10조 클럽에 가입했는데, 이중 삼성전자 매출이 최근 1년 새 20% 넘게 오를 때 삼성SDI는 15% 넘게 떨어져 희비가 엇갈렸다.

 

매출 1조 클럽 중에서는 삼성중공업이 재작년 대비 작년 기준 24% 이상 매출 덩치가 가장 많이 성장해 눈길을 끌었다. 특히 삼성전자의 작년 영업이익률은 매출 외형이 비슷한 지난 2022년 대비 절반 수준에 그쳐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20일 삼성 그룹 창립 87주년을 맞이해 ‘주요 삼성 계열사 2024년 매출 현황 조사’에서 이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삼성 그룹의 공식 창립기념일은 매년 3월 22일이다.

 

 

조사 대상 기업은 지난해 5월 공정거래위원회에 보고된 60곳이 넘는 삼성 계열사 중 이달 19일까지 감사보고서와 사업보고서 등을 통해 매출 확인이 가능한 21곳이다. 이번에 조사된 21곳은 삼성 그룹 전체 매출의 95% 이상 차지할 정도로 핵심 기업들이 다수 포함됐다. 매출은 별도(개별) 재무제표 기준이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삼성전자 등 이달 19일까지 파악 가능한 주요 삼성 계열사 21곳의 작년 한 해 매출 규모는 388조원이었다. 아직 공시되지 않은 40여 곳 계열사까지 합치면 그룹 전체 매출 규모는 397조~402조원 사이가 될 것으로 연구소 측은 예상했다. 이는 지난 2022년 삼성 국내 계열사 전체 매출이 418조원으로 최고치를 찍었을 때와 견주면 역대 두 번째로 높은 매출 체격이다.

 

특히 핵심 기업인 삼성전자는 별도 재무제표 기준 작년 매출은 209조원으로, 2022년 기록한 211조원에 거의 근접하며 200조원대 매출을 회복했다.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도 300조8709억원으로, 2022년 302조2313억원 다음으로 높았다. 지난해 삼성전자의 별도와 연결 기준 매출 모두 역대 최고를 기록했던 2022년 수준과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높아진 것. 매출 성적만 보면 실적 자신감을 회복한 셈이다.

 

삼성전자를 포함해 삼성 그룹 내 지난해 기준 매출 10조 클럽에는 7곳으로, 2023년과 기업 숫자가 같았다. 작년 기준 삼성 그룹 내 매출 10조 클럽에는 삼성전자를 제외하고 ▲삼성생명보험 27조174억원(23년 25조3098억원) ▲삼성디스플레이 25조4014억원(27조833억원) ▲삼성물산 22조9132억원(24조4736억원) ▲삼성화재 21조9664억원(20조3289억원) ▲삼성SDI 16조978억원(19조7990억원) ▲삼성증권 12조9366억원(12조7852억원) 순으로 파악됐다.

 

 

한 가지 눈에 띄는 점은 재작년 대비 작년 매출을 비교해보면 삼성 그룹 내 매출 넘버2가 1년 새 바뀌었다는 점이다. 재작년에 삼성 계열사 중 매출 2위였던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해는 3위로 한 단계 내려앉은 대신, 삼성생명은 같은 기간 3위에서 2위로 상승했다.

 

작년 매출이 1조 클럽에 가입한 주요 삼성 계열사 중 2023년 대비 2024년 기준 매출이 10% 이상 뛴 곳은 7곳으로 조사됐다.

 

이 중에서도 삼성중공업 매출이 7조9072억원에서 9조8674억원으로 24.8%나 괄목할 정도로 증가했다. 연결 기준 매출로 살펴보더라도 8조94억원에서 9조9030억원으로 23.6%나 상승했다. 삼성전자 역시 별도 기준 매출이 170조3740억원에서 209조522억원으로 22.7% 상승하며 20%대 매출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삼성전자는 재작년 대비 작년 별도 기준 매출액 증가액이 38조6781억원 이상 불어나 삼성 계열사 중에서는 가장 높았다. 연결 기준 삼성전자의 매출 증가율은 8.1%(258조9354억원→300조8709억원) 수준을 기록했다.

 

 

다음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 19%(23년 2조9387억원→24년 3조4971억원) ▲호텔신라 18.1%(2조1527억원→2조5428억원) ▲삼성웰스토리 11.9%(2조5936억원→2조9027억원) ▲삼성전기 11.8%(6조7958억원→7조5985억원) ▲제일기획 11.6%(1조2440억원→1조3879억원) 순으로 최근 1년 새 매출 외형이 10% 넘게 증가했다.

 

이외 ▲삼성화재(8.1%) ▲삼성E&A(7.7%) ▲에스원(7.5%) ▲삼성생명(6.7%) ▲삼성SDS(5.4%) ▲삼성전자판매(5.1%) 등은 최근 1년 새 매출이 5% 이상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삼성SDI는 재작년 19조1063억원이던 별도 기준 매출은 작년에는 16조978억원으로 매출 덩치가 15.7%나 쪼그라들었다. 이 회사의 연결 기준 매출은 더 하락했다. 2023년만 해도 21조4367억원이던 것이 2024년에는 16조5922억원으로 22.6%나 뚝 떨어졌다.

 

이외 최근 1년 새 매출이 5% 넘게 떨어진 기업에는 ▲삼성물산 6.4%↓(23년 24조4736억원→24년 22조9132억원) ▲삼성디스플레이 6.2%↓(27조833억원→25조4014억원) 등으로 파악됐다.

 

 

매출과 별도로 삼성 그룹의 핵심 기업인 삼성전자의 최근 1년 영업손익도 재작년 11조원 넘게 적자를 보던 것에서 작년에는 12조3610억원 이상 흑자로 돌아섰다. 하지만 지난 2015년부터 2024년 사이 10년 중 2023년 영업손익률이 6.8%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때를 제외하면, 작년에 가장 낮은 영업이익률을 보인 것으로 확인됐다.

 

별도 기준 삼성전자의 매출 대비 영업이익 비중을 의미하는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기준 5.9% 수준이었다. 이는 작년과 비슷한 매출 외형을 기록했던 2022년 12% 수준과 비교하면 절반 정도에 그쳤다. 지난 2022년 당시 매출은 211조8674억원인데 영업이익은 25조3193억원이었다.

 

연결 기준 영업이익률도 2023년에 일시적으로 2.5%로 크게 낮아졌던 때를 제외하면, 지난해 영업이익률은 10.9%로 최근 10년 중 최하위를 보였다. 2022년과 2024년 매출 규모는 비슷했지만, 별도와 연결 기준 영업내실은 큰 차이를 보인 셈이다.

 

참고로 지난 2018년에 별도와 연결 기준 영업이익률은 각각 25.6%(별도 매출 170조3818억원·영업이익 43조6991억원), 24.2%(연결 매출 243조7714억원·영업이익 58조8866억원)로 25% 내외 수준을 보였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삼성 매출이 500조원 시대를 열려면 현재의 사업구조로는 향후 5년 내 달성은 한계가 있어 괄목할만한 신사업 육성이 절실하다”며 “삼성으로서는 매출 외형 성장과 함께 고부가가치의 영업내실을 탄탄히 다져나가는 것도 각 계열사 CEO에게 중요한 과제로 남겨졌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The Numbers] 종근당홀딩스, 디지털데일리 200억 인수로 ‘디지털·AI 역량강화’…"제약바이오와 미디어융합 혁신사례"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종근당홀딩스가 온라인 IT 매체 ‘디지털데일리’를 9번째 자회사로 공식 편입하며 디지털 및 인공지능(AI) 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적 행보에 나섰다. 종근당홀딩스는 2025년 7월 29일 열린 이사회에서 디지털데일리 지분 87.7%를 약 200억원에 인수하기로 결정하고, 같은 날 해당 주식 1만7546주를 확보하며 경영권을 확보했다고 8월 29일 금융감독원 공시를 통해 밝혔다. 이번 인수 금액은 종근당홀딩스의 전체 자산(약 4200억 원) 대비 약 4.8%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디지털데일리는 2005년 창간한 온라인 뉴스업체로,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 정보제공 서비스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 2024년 말 기준 자산 총액은 약 105억4600만원, 부채 10억8400만원, 자본 총계 약 94억6200만원 규모의 중소형 미디어 기업이다. 네이버 ‘콘텐츠 제휴(CP)’ 매체로서 IT와 산업 전반에 대한 깊이 있는 뉴스를 제공하며 산업계 관계자 사이에서 신뢰받는 매체로 평가받고 있다. 종근당홀딩스 관계자는 “제약·바이오 산업의 미래는 디지털과 AI 융합이 핵심 동력이 될 것”이라며 “디지털데일리 인수를 통해 관련 업계 동향과 정보를 빠르게

[이슈&논란] '롯데 신유열 야심작' 베트남 ‘에코 스마트시티’ 8년만에 중단…초대형 복합단지 꿈 '좌절'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롯데그룹이 베트남 호치민시 투티엠 지역에서 약 1조2000억원(9억 달러) 규모로 추진해 온 ‘에코 스마트시티’ 초대형 복합단지 개발 프로젝트를 8년 간 이어진 인허가 지연과 사업비 폭등 등으로 결국 전격 중단했다. 사업 초기 1조원으로 예상됐던 총사업비는 인허가 절차 지연과 토지법 개정, 건축비 급등 등 복합적 요인으로 3조5000억원까지 3배 이상 급증했다. 총 연면적 약 68만㎡로 서울 코엑스 면적(약 45만㎡)의 1.5배 규모인 이 복합단지는 지하 5층, 지상 60층의 쇼핑몰과 호텔, 레지던스, 아파트 등의 시설을 포함한 매머드급 개발 사업이었다. 2012년 첫 투자 제안부터 2017년 현지와 시행계약 체결, 2022년 9월 착공식까지 진행됐으나 베트남 중앙정부의 연이은 인허가 지연과 코로나19에 따른 행정 절차 중단, 법 개정 등의 악재가 겹치면서 장기 표류했다. 특히 토지사용료 문제가 사업 발목을 잡았다. 초기 예상 1000억원대였던 토지 사용료가 베트남 토지법 개정과 평가 지연으로 1조원에 육박하며 10배 이상 증가했다. 이로 인해 롯데는 호치민시 측에 ▲토지사용료 완화 ▲외부투자자 허용 ▲계열사 지분 조정 ▲납부 시

[랭킹연구소] 과일들의 혈당지수 순위, 체리>귤>배>사과…녹색 바나나 30, 노란 바나나 58 '큰 차이'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과일 섭취 시 혈당 관리가 중요한 이들에게 혈당지수(GI, Glycemic Index)는 필수 확인 지표로 자리 잡았다. 다수의 건강 플랫폼과 연구 데이터를 통해 산출된 대표 과일 혈당지수(GI) 순위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체리 22, 귤 33, 배 35, 사과 36는 상대적으로 혈당이 낮은 과일로 분류된다. 혈당을 천천히 올려 당뇨병 환자나 체중 관리에 유리한 과일들이 상위권에 포진했음을 보여준다. 반면 포도 39, 딸기 40, 샤인머스캣 46, 골드키위 48, 노란 바나나 58 등은 상대적으로 혈당지수가 높은 과일들이다. 특히 국내외 최신 연구와 통계를 종합한 결과, 바나나는 익는 정도에 따라 혈당지수가 크게 달라지는 과일이라 주의가 요구된다. 덜 익은 녹색 바나나는 GI가 30 수준으로 매우 낮은 반면, 노란색 바나나는 GI 58로 상대적으로 높아 혈당 급상승 위험을 높인다. 이는 바나나가 익으면서 체내 저항성 전분이 당분으로 전환되기 때문이며, 저항성 전분은 혈당을 천천히 올려 건강에 유리하다는 점이 입증됐다. 녹색 바나나처럼 덜 익은 상태에서 당지수가 가장 낮은 이유는 저항성 전분 함량이 녹색 바나나에서 노란 바나나보다

[공간혁신] 전통도시 '경주'에 한국적 공간 또 생겼다…군산 ‘맥심골목’ 이어 경주 ‘맥심가옥’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동서식품(대표 김광수)이 9월 26일까지 약 한 달간 경북 경주에서 맥심(Maxim) 브랜드 체험공간 ‘맥심가옥’을 운영한다고 8월 29일 밝혔다. ‘환대’를 테마로 진행되는 맥심가옥은 고즈넉한 한옥에 전통과 현대적 감각이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것이 특징이다. 방문객들은 맥심 브랜드만의 특색 있는 공간에서 커피 시음과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적인 환대를 즐길 수 있다. 먼저 입구인 ‘환대문’을 지나면 안내소 역할을 하는 ‘어서오소’에서 맥심가옥을 소개하는 책자와 시음할 때 사용할 컵이 제공된다. 시음 공간인 ‘맛있당’에서는 맥심 커피믹스와 인스턴트 커피, 원두커피를 활용한 다양한 커피 메뉴를 취향에 따라 맛볼 수 있다. ‘모카골드 시나몬 라떼’, ‘화이트골드 쑥 라떼’, ‘호박달당’, ‘맥심오릉’, ‘색동저고리’ 등 맥심 커피믹스로 만든 스페셜 메뉴와 ‘화롯불 브루잉 커피’ 같은 이색 메뉴를 선보인다. 여기에 맥심 제품을 맞히는 가배 기미상궁 이벤트, 미니 맷돌 그라인딩 체험 등도 진행된다. 체험 공간인 ‘행복하당’에서는 행복 머그컵 키링과 민화부채, 나만의 책갈피를 직접 만들어 볼 수 있다. 또한 셀프 생활한복 스냅 촬영

[이슈&논란] 8월 29일 경술국치인데...국내 온라인 쇼핑몰 '일제 잔재' 상품 즐비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8월 29일 '경술국치'를 맞아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국내 대형 온라인 쇼핑몰에서 아직까지 '일제 잔재' 상품들을 판매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술국치'란 '경술년에 일어난 치욕스러운 일'이라는 뜻으로 일제에게 우리나라가 주권을 완전히 빼앗긴 사건을 말한다. 서 교수는 "욱일기 문양 보드,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 모자 등 다양한 '일제 잔재' 상품들을 국내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하고 있어 논란이다"며 "아무리 온라인 쇼핑몰에서 '해외 직구'에 관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하더라도 제대로 된 검증없이 '일제 잔재' 상품들을 버젓이 판매하는 건 분명히 잘못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이러한 상황은 일본의 욱일기 사용에 대한 빌미만 제공하는 꼴이기에 우리 스스로가 먼저 조심해야만 한다"고 덧붙였다. 과거 국내 한 기업에서는 대형 온라인 쇼핑몰에 자사의 상품을 홍보하는 광고를 올리면서 욱일기 문양을 사용해 큰 논란이 되기도 했다. 서경덕 교수는 "기업이 많은 돈을 벌기 위해 노력하는 건 당연한 일"이라며 "하지만 기초적인 역사와 기본적인 국민 정서를 파악하는 건 너무나 중요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또 "국내 대형 온라인 쇼핑몰의

LG에너지솔루션, ‘최신 46시리즈’ 배터리로 베트남 전기버스 시장 정조준…킴롱모터스와 연 1GWh 공급 협약 체결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베트남의 대표 운수기업 푸타(FUTA) 그룹 계열 킴롱모터스에 전기버스용 원통형 배터리 셀을 대규모 공급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며 아시아 신흥 전기차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2025년 8월 28일, 후에시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양사 임원이 대거 참석했으며, 킴롱모터스는 연간 버스 생산능력 1만대, 새로 지어지는 승용차 공장까지 포함하면 연 5만대 이상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LG엔솔, ‘46시리즈’로 베트남 전기차 시장 공략 이번에 공급될 배터리는 LG에너지솔루션의 차세대 ‘46시리즈’(지름 46mm) 원통형 배터리로, 기존 2170(지름 21mm) 원통형 대비 에너지 용량과 출력이 5배 이상 높은 고성능 제품이다. 이 배터리는 셀 하나에 약 300Wh 이상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고, 기존 2170 셀(약 90Wh)보다 월등히 높아 전기버스 1대에 들어가는 셀 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회사 관계자에 따르면 킴롱모터스 공급 규모는 연 1GWh에 달하며, 내년 1분기 본격 양산되는 승용차에도 공급 확대가 기대된다. 전기차 배터리의 게임체인저, ‘46시리즈’ LG에너지솔루션 46시리즈 배터리는 에너지

[이슈&논란] '페놀 폐수 불법 배출' HD현대오일뱅크에 과징금 1761억 '철퇴'…환경부 '역대 최고' 과징금으로 심각성 '경종'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환경부가 국내 환경 범죄 사상 최대 규모인 1761억원의 과징금을 HD현대오일뱅크에 부과했다. 이 회사는 1급 발암물질인 페놀이 함유된 폐수를 허위 신고를 통해 방지시설 설치 의무를 회피하고, 2019년 10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기준치를 초과하는 페놀 폐수를 자회사에 불법 배출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조치는 2021년 영풍 석포제련소에 부과된 281억원 과징금을 훨씬 상회하는 규모로, 국내 환경 관련 과징금 부과의 역사를 새로 썼다. 환경부 특별사법경찰관 수사 결과, HD현대오일뱅크는 충청남도에 제출한 페놀 농도 측정 자료를 허위로 조작해 방지시설 설치를 면제받았다. 페놀 배출허용기준 1.0mg/L을 넘는 폐수를 적절한 처리 없이 자회사인 HD현대OCI에 무단 배출했으며, 또 다른 자회사인 HD현대케미칼에 대해서도 적절치 않은 공업용수를 공급하는 등 450억원에 달하는 폐수처리장 증설 비용을 회피했다. 이런 불법 행위는 2017년 6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계속된 것으로 파악됐다. 법원은 지난 2월 서울중앙지법에서 HD현대오일뱅크 전 대표이사에게 징역 1년 6개월, 전·현직 임원 4명에게는 각각 9개월에서 1년 2개월

[이슈&논란] 배달의민족, BBQ치킨 쿠폰 ‘무한 반복’ 악용 논란…‘7000원에 치킨 10번’ 꼼수에 ‘발칵’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최근 배달앱 ‘배달의민족(배민)’에서 신규 가입자에게 지급한 치킨 프랜차이즈 1만5000원 할인 쿠폰이 ‘탈퇴 후 재가입’ 반복을 통한 무제한 발급으로 악용되면서 사회적 논란이 일고 있다. 이 꼼수를 이용해 한 이용자가 7000원에 치킨을 10번이나 시켜 먹었다는 인증 사례가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를 중심으로 퍼지며, 배민이 몸살을 앓고 있다. 배민은 BBQ와 처갓집양념치킨 등 치킨 브랜드의 최소 주문 금액 1만6000원 이상 주문 시 1만5000원 할인 쿠폰을 신규 회원에게 발급했다. 이 할인 쿠폰을 악용하면 실제로 1000원에 치킨과 콜라 등을 배달받을 수 있는 상황이 벌어진 셈이다. 이용자들은 복수의 계정을 만들거나 탈퇴 후 다시 가입하는 방식으로 쿠폰을 반복 발급받아 다량 주문하는데, 일부는 콜라만 연이어 주문하며 법망을 교묘히 회피하기도 했다. 한 배달 기사는 현관문을 넘어 복도까지 쌓인 콜라 봉지를 목격하고 사진을 공유해 이 ‘무제한 쿠폰’ 사태가 불거졌다. 해당 글은 ‘배달세상’ 등 배달기사 커뮤니티는 물론 SNS로 확산됐고, 실제 주문 대란으로 이어진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대해 배민 측은 쿠폰 발급 시스템에 어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