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2 (토)

  • 구름많음동두천 6.5℃
  • 구름조금강릉 12.6℃
  • 맑음서울 9.6℃
  • 구름조금대전 8.3℃
  • 맑음대구 8.0℃
  • 맑음울산 8.9℃
  • 맑음광주 9.3℃
  • 맑음부산 11.2℃
  • 맑음고창 7.1℃
  • 맑음제주 10.8℃
  • 맑음강화 5.0℃
  • 구름많음보은 5.2℃
  • 구름많음금산 5.8℃
  • 맑음강진군 6.4℃
  • 맑음경주시 5.9℃
  • 맑음거제 7.8℃
기상청 제공

빅테크

젠슨 황, 미중 AI칩 전쟁 작심 비판…"美 수출통제는 실패, 中 기술만 키웠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 미국의 대중 AI칩 수출통제 “실패” 작심 비판
“엔비디아 중국 점유율 95%→50% 급락, 수십억 달러 손실”
“수출통제가 오히려 화웨이 등 中기술 독립 가속”
“더 낮은 사양 칩 개발 불가…中 시장 전략적 가치 여전”
“TSMC 외 대안 없어…삼성전자 협력 가능성은 낮아”
“美, 기술패권 유지하려면 차단 아닌 확산 전략 필요”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수출 통제는 실패했다. 중국 기업들은 매우 유능하고 동기부여가 강하다. 미국이 막으면 현지 기업이 그 자리를 대신할 뿐이다.”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가 미국의 대(對)중국 AI 반도체 수출 통제 정책을 정면으로 비판했다. 그는 “미국의 수출 통제는 실패했다”며, "오히려 중국 기술기업의 자립과 혁신을 촉진해 미국 반도체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만 약화시켰다"고 지적했다.

 

"수출통제는 실패…中 기술력만 키웠다"

 

황 CEO는 21일(현지시간)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글로벌 미디어 Q&A에서 “전반적으로 볼 때 수출 통제는 실패(failure)했다. 팩트들이 그것을 말해주고 있다”고 단언했다. 그는 “미국의 AI 칩 수출 제한으로 엔비디아의 중국 내 시장 점유율은 4년 전 95%에서 현재 50%로 급감했고, 그 사이 화웨이 등 중국 기업들이 AI 하드웨어 개발에 속도를 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엔비디아는 중국 시장에서 H20 등 저사양 칩만 판매할 수 있었지만, 최근 트럼프 행정부가 이마저도 제한하면서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재고를 손실 처리해야 했다. 황 CEO는 “1분기에만 약 55억 달러(약 7조6000억원)의 손실을 봤다”며 “이는 일부 반도체 회사의 연간 매출에 맞먹는 규모”라고 말했다.

 

"中, 기술 독립 가속…美 기업만 피해"

 

황 CEO는 “수출 통제로 인해 중국은 자체 AI 칩 개발에 더 많은 자원과 정부 지원을 쏟아붓게 됐다”며 “현지 기업들은 매우 유능하고 동기부여가 강하다. 이젠 미국만이 AI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는 생각은 설득력을 잃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화웨이 등 중국 기업들은 엔비디아의 빈자리를 빠르게 메우고 있으며, 중국 정부도 자국산 칩 사용을 강력히 독려하고 있다.

 

황 CEO는 “중국 AI 시장 규모가 내년 500억 달러(약 70조원)에 이를 것”이라며, “이 기회를 미국이 놓친다면 전략적 실책”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수출을 막을 게 아니라 기술 확산을 통해 경쟁에서 앞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 낮은 사양 칩은 의미 없다…中 시장 전략적 가치 여전"

 

일각에서 제기된 ‘H20보다 더 낮은 사양의 칩 개발 가능성’에 대해 황 CEO는 “더 이상 성능을 낮출 방법이 없다. 그렇게 되면 시장에서 쓸모가 없어질 것”이라며 일축했다. 엔비디아는 여전히 중국 시장의 전략적 중요성을 강조하며, 규제 완화 시 즉시 재진입할 의지를 내비쳤다.

 

"TSMC 외 대안 없다…삼성전자 협력 가능성은 낮아"

 

한편, 황 CEO는 고급 패키징 기술을 가진 TSMC 외에 다른 팹(공장) 활용 가능성에 대해 “사실상 대안이 없다”며 선을 그었다. 삼성전자 등과의 협력 가능성에 대해선 “현재로선 고려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실제로 지난해 4분기 파운드리 시장에서 삼성의 점유율은 8.1%로 TSMC(67%)와 격차가 크다.

 

"美, 기술패권 유지하려면 확산 전략 필요"

 

황 CEO는 “미국이 AI 기술 패권을 유지하려면 차단이 아니라 확산 전략이 필요하다”며 “중국 시장에서 퇴출당하면 그 자리는 현지 경쟁자가 차지하고, 미국 기업만 피해를 본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중국은 세계 최대 컴퓨터 시장이자 AI 연구 인력의 절반이 있는 곳”이라며, “미국 정부가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내궁내정] "온수 수돗물은 중금속 덩어리, 요리는 반드시 냉수로"…WHO와 EPA 경고 "온수 수돗물, 끓여도 중금속 제거 안돼"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온수 수돗물로 요리하거나 음용하는 행위에 대해 강력히 경고하고 있다. 온수는 보일러나 온수기 내부 배관을 거치면서 배관 내에 고인 오래된 물과 혼합되는데, 이 과정에서 배관에서 녹아 나온 납, 구리, 니켈, 철, 아연 등 중금속이 용출될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 반면, 냉수는 정수장에서 처리된 깨끗한 물이 가정으로 직접 공급되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온수 수돗물이 중금속을 함유하는 이유는 온도의 상승과 관련이 깊다. 화학적으로 온수가 냉수보다 중금속을 더 빠르게 용해시켜 물 속 중금속 농도를 높인다. 특히 오래된 배관일수록, 금속 용출 위험은 더 커진다. 유해한 중금속은 주

[빅테크칼럼] AI 거품론 확산 속 올트먼 "일시적 역풍 올 수도" 발언…구글 제미나이3 성능 우위로 '난관 봉착'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AI 산업 내 거품 가능성에 대해 공개적으로 우려를 표명하며, 구글의 차세대 AI 모델 제미나이3 출시 이후 일시적인 경제적 역풍이 오픈AI에 불어닥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올트먼 CEO는 내부 직원들에게 보낸 메시지에서 "현재 분위기가 쉽지 않으며, 단기적 경쟁 압박 속에서도 집중력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오픈AI가 최고의 연구소이자 AI 인프라, 플랫폼, 제품 기업으로서 그 어려움을 극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구글은 지난 18일 공개한 제미나이3가 글로벌 AI 모델 중 성능 1위를 달성하며, 특히 고급 과학 문제 해결 능력과 추상적 시각 추론 분야에서 GPT-5.1을 크게 앞서는 점수를 기록했다. Gemini 3 Pro는 코딩 수행 완벽 점수와 도구 없이도 높은 수학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추는 등 기술적 우위를 확보했다. 이에 대해 올트먼은 구글이 최근 훌륭한 성과를 거둔 점을 인정하면서도, "오픈AI가 장기적으로 선두 자리를 유지하길 원한다"고 밝혔다.​ 한편, AI 투자 거품론이 미국 증시 특히 나스닥을 중심으로 확산하며, 빅테크 대형주들의 주가 변동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