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6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젠슨 황, 미중 AI칩 전쟁 작심 비판…"美 수출통제는 실패, 中 기술만 키웠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 미국의 대중 AI칩 수출통제 “실패” 작심 비판
“엔비디아 중국 점유율 95%→50% 급락, 수십억 달러 손실”
“수출통제가 오히려 화웨이 등 中기술 독립 가속”
“더 낮은 사양 칩 개발 불가…中 시장 전략적 가치 여전”
“TSMC 외 대안 없어…삼성전자 협력 가능성은 낮아”
“美, 기술패권 유지하려면 차단 아닌 확산 전략 필요”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수출 통제는 실패했다. 중국 기업들은 매우 유능하고 동기부여가 강하다. 미국이 막으면 현지 기업이 그 자리를 대신할 뿐이다.”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가 미국의 대(對)중국 AI 반도체 수출 통제 정책을 정면으로 비판했다. 그는 “미국의 수출 통제는 실패했다”며, "오히려 중국 기술기업의 자립과 혁신을 촉진해 미국 반도체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만 약화시켰다"고 지적했다.

 

"수출통제는 실패…中 기술력만 키웠다"

 

황 CEO는 21일(현지시간)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글로벌 미디어 Q&A에서 “전반적으로 볼 때 수출 통제는 실패(failure)했다. 팩트들이 그것을 말해주고 있다”고 단언했다. 그는 “미국의 AI 칩 수출 제한으로 엔비디아의 중국 내 시장 점유율은 4년 전 95%에서 현재 50%로 급감했고, 그 사이 화웨이 등 중국 기업들이 AI 하드웨어 개발에 속도를 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엔비디아는 중국 시장에서 H20 등 저사양 칩만 판매할 수 있었지만, 최근 트럼프 행정부가 이마저도 제한하면서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재고를 손실 처리해야 했다. 황 CEO는 “1분기에만 약 55억 달러(약 7조6000억원)의 손실을 봤다”며 “이는 일부 반도체 회사의 연간 매출에 맞먹는 규모”라고 말했다.

 

"中, 기술 독립 가속…美 기업만 피해"

 

황 CEO는 “수출 통제로 인해 중국은 자체 AI 칩 개발에 더 많은 자원과 정부 지원을 쏟아붓게 됐다”며 “현지 기업들은 매우 유능하고 동기부여가 강하다. 이젠 미국만이 AI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는 생각은 설득력을 잃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화웨이 등 중국 기업들은 엔비디아의 빈자리를 빠르게 메우고 있으며, 중국 정부도 자국산 칩 사용을 강력히 독려하고 있다.

 

황 CEO는 “중국 AI 시장 규모가 내년 500억 달러(약 70조원)에 이를 것”이라며, “이 기회를 미국이 놓친다면 전략적 실책”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수출을 막을 게 아니라 기술 확산을 통해 경쟁에서 앞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 낮은 사양 칩은 의미 없다…中 시장 전략적 가치 여전"

 

일각에서 제기된 ‘H20보다 더 낮은 사양의 칩 개발 가능성’에 대해 황 CEO는 “더 이상 성능을 낮출 방법이 없다. 그렇게 되면 시장에서 쓸모가 없어질 것”이라며 일축했다. 엔비디아는 여전히 중국 시장의 전략적 중요성을 강조하며, 규제 완화 시 즉시 재진입할 의지를 내비쳤다.

 

"TSMC 외 대안 없다…삼성전자 협력 가능성은 낮아"

 

한편, 황 CEO는 고급 패키징 기술을 가진 TSMC 외에 다른 팹(공장) 활용 가능성에 대해 “사실상 대안이 없다”며 선을 그었다. 삼성전자 등과의 협력 가능성에 대해선 “현재로선 고려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실제로 지난해 4분기 파운드리 시장에서 삼성의 점유율은 8.1%로 TSMC(67%)와 격차가 크다.

 

"美, 기술패권 유지하려면 확산 전략 필요"

 

황 CEO는 “미국이 AI 기술 패권을 유지하려면 차단이 아니라 확산 전략이 필요하다”며 “중국 시장에서 퇴출당하면 그 자리는 현지 경쟁자가 차지하고, 미국 기업만 피해를 본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중국은 세계 최대 컴퓨터 시장이자 AI 연구 인력의 절반이 있는 곳”이라며, “미국 정부가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트랜스젠더 워크’ 논란에 머스크 “넷플릭스 구독 취소하라”…주가 4% 하락, 약 150억 달러 시총 증발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세계 최대 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 넷플릭스가 2025년 10월 초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워크(woke)’ 콘텐츠 비판과 이에 따른 구독 취소 독려로 인해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 CNBC, 포브스, 야후 파이낸스, 유로뉴스, 데드라인, 비즈니스 인사이더, CBS 크로니클에 따르면, 머스크는 애니메이션 시리즈 ‘데드 엔드: 패러노멀 파크(Dead End: Paranormal Park)’에서 트랜스젠더 주인공이 등장해 어린이들에게 친(親)트랜스젠더 사상을 심어준다고 주장하며 구독 취소 캠페인을 강하게 펼쳤다. 이에 따라 넷플릭스 주가는 1주당 4% 이상 하락했고, 시가총액은 150억 달러가량 증발하는 등 금융시장에서 큰 충격을 받은 상태다. 머스크의 구독 취소 독려와 ‘데드 엔드: 패러노멀 파크’ 논란 머스크는 2025년 9월 30일부터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X(옛 트위터)를 통해 최소 26회 이상 넷플릭스 구독 취소를 촉구하는 글을 올렸다. 특히 ‘데드 엔드: 패러노멀 파크’라는 7세 이상 시청 가능 등급의 아동용 애니메이션에서 주인공 바니가 스스로 트랜스젠더임을 밝히는 장면을 문제 삼았다. 머스크는 이

[빅테크칼럼] 베이조스 "10년 이내에 기가와트급 우주 데이터 센터 등장"…AI 에너지 대란, 우주 데이터센터 앞당기다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전 세계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으로 데이터 센터의 에너지 소비가 급증하는 가운데, 아마존 창립자 제프 베이조스가 10년 이내에 지구를 벗어나 우주에 기가와트급 데이터 센터가 건설될 것이라는 대담한 미래 예측을 내놓았다. 이 같은 전망은 급증하는 데이터 센터의 전력 수요 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 가능한 컴퓨팅 인프라 개발 필요성, 그리고 우주 기술의 혁신적 활용 가능성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촉발하고 있다. Reuters, CNBC, Goldman Sachs Research, Investing.com에 따르면, 베이조스는 2025년 10월,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열린 이탈리안 테크 위크에서 페라리와 스텔란티스 회장 존 엘칸과의 대화 중, “기가와트급 AI 훈련 클러스터는 지상보다는 우주에 세워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우주에서는 24시간 내내 태양광을 안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구름이나 비, 날씨의 제약 없이 항시 청정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베이조스는 “우주 데이터 센터는 결국 지상 데이터 센터보다 뛰어난 성능과 비용 효율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글로벌 데이터 센터의 전력 소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