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수출 통제는 실패했다. 중국 기업들은 매우 유능하고 동기부여가 강하다. 미국이 막으면 현지 기업이 그 자리를 대신할 뿐이다.”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가 미국의 대(對)중국 AI 반도체 수출 통제 정책을 정면으로 비판했다. 그는 “미국의 수출 통제는 실패했다”며, "오히려 중국 기술기업의 자립과 혁신을 촉진해 미국 반도체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만 약화시켰다"고 지적했다.
"수출통제는 실패…中 기술력만 키웠다"
황 CEO는 21일(현지시간)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글로벌 미디어 Q&A에서 “전반적으로 볼 때 수출 통제는 실패(failure)했다. 팩트들이 그것을 말해주고 있다”고 단언했다. 그는 “미국의 AI 칩 수출 제한으로 엔비디아의 중국 내 시장 점유율은 4년 전 95%에서 현재 50%로 급감했고, 그 사이 화웨이 등 중국 기업들이 AI 하드웨어 개발에 속도를 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엔비디아는 중국 시장에서 H20 등 저사양 칩만 판매할 수 있었지만, 최근 트럼프 행정부가 이마저도 제한하면서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재고를 손실 처리해야 했다. 황 CEO는 “1분기에만 약 55억 달러(약 7조6000억원)의 손실을 봤다”며 “이는 일부 반도체 회사의 연간 매출에 맞먹는 규모”라고 말했다.
"中, 기술 독립 가속…美 기업만 피해"
황 CEO는 “수출 통제로 인해 중국은 자체 AI 칩 개발에 더 많은 자원과 정부 지원을 쏟아붓게 됐다”며 “현지 기업들은 매우 유능하고 동기부여가 강하다. 이젠 미국만이 AI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는 생각은 설득력을 잃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화웨이 등 중국 기업들은 엔비디아의 빈자리를 빠르게 메우고 있으며, 중국 정부도 자국산 칩 사용을 강력히 독려하고 있다.
황 CEO는 “중국 AI 시장 규모가 내년 500억 달러(약 70조원)에 이를 것”이라며, “이 기회를 미국이 놓친다면 전략적 실책”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수출을 막을 게 아니라 기술 확산을 통해 경쟁에서 앞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 낮은 사양 칩은 의미 없다…中 시장 전략적 가치 여전"
일각에서 제기된 ‘H20보다 더 낮은 사양의 칩 개발 가능성’에 대해 황 CEO는 “더 이상 성능을 낮출 방법이 없다. 그렇게 되면 시장에서 쓸모가 없어질 것”이라며 일축했다. 엔비디아는 여전히 중국 시장의 전략적 중요성을 강조하며, 규제 완화 시 즉시 재진입할 의지를 내비쳤다.
"TSMC 외 대안 없다…삼성전자 협력 가능성은 낮아"
한편, 황 CEO는 고급 패키징 기술을 가진 TSMC 외에 다른 팹(공장) 활용 가능성에 대해 “사실상 대안이 없다”며 선을 그었다. 삼성전자 등과의 협력 가능성에 대해선 “현재로선 고려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실제로 지난해 4분기 파운드리 시장에서 삼성의 점유율은 8.1%로 TSMC(67%)와 격차가 크다.
"美, 기술패권 유지하려면 확산 전략 필요"
황 CEO는 “미국이 AI 기술 패권을 유지하려면 차단이 아니라 확산 전략이 필요하다”며 “중국 시장에서 퇴출당하면 그 자리는 현지 경쟁자가 차지하고, 미국 기업만 피해를 본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중국은 세계 최대 컴퓨터 시장이자 AI 연구 인력의 절반이 있는 곳”이라며, “미국 정부가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