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7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빅테크

[랭킹연구소] 미국서 학위 없는 男女, 직업 선호 순위 TOP5…Z세대, 몸 쓰는 직업에 몰린다

美 경제전문지 포천, 피우연구소 데이터 제시
등록금과 취업에 부담 느낀 Z세대, 육체노동 선호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Z세대와 학위가 없는 젊은 밀레니얼 세대 남녀들이 셰프(요리사), 웨이트리스, 간호사, 영업판매 현장 감독관과 같은 전통적인 직업인 이른바 '몸쓰는 직업'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미국 경제 전문지 포춘은 미국의 Z세대들이 더 이상 화이트칼라 직업을 꿈꾸지 않고 기술직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25세에서 34세 사이의 대학 학위가 없는 남성은 더 육체적이고 재택근무를 선호하는 반면 여성은 의사소통과 공감 능력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 추세다.

 

포춘은 "젊은 근로자들은 더 이상 사무직 일자리를 원하지 않는다"면서 "높은 대학 등록금과 부진한 취업 기회에 환멸을 느낀 Z세대는 더 많은 직업군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포춘은 2024년 해리스 폴(Harris Poll)이 진행한 인튜이트 크레딧 카르마(Intuit Credit Karma) 설문조사를 인용하며 "미국인의 젊은이들의 약 78%가 몸을 쓰는 기술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답했다.

 

즉 목수부터 전기 기술자까지 이러한 역할 중 상당수는 좋은 급여를 받으면서도 스스로 사업을 운영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특히 젊은 근로자는 학자금 대출에 대한 부담 없이 높은 연봉까지 받을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이다.

 

피우 연구소(Pew Research)에 따르면 학위가 없는 남자 근로자가 가장 선호하는 상위 5개 직업은 다음과 같다.

 

1위는 운전자·판매원 및 트럭 운전사, 2위는 건설 노동자, 3위는 화물 운동 노동자, 4위는 영업판매 직군의 현장 감독관, 5위는 요리사 및 조리사로 조사됐다.

 

Z세대와 학위가 없는 젊은 밀레니얼 세대 남녀는 매우 다른 직업의 길을 걷고 있다. 남성은 주방에서 요리사로 일하는 반면, 여성은 홀에서 웨이트리스로 일하고 있다. 이들은 각자의 길을 걷고 있으며, 의도치 않게 '성별에 따른 직업적 분리'를 만들고 있다.

 

피우 연구소(Pew Research)에 따르면 학위가 없는 여성 근로자가 가장 선호하는 상위 5개 직업 중 1위는 고객 서비스 직원, 2위는 간호 보조 및 정신 건강 및 홈 헬스 보조원, 3위는 판매 직군의 현장 감독관, 4위는 계산원, 5위는 웨이트리스이다.

 

학위가 없는 젊은 남성들은 육체 노동에 뿌리를 둔 일을 하고 있으며, 이는 남성들이 역사적으로 더 높은 비율로 차지해 온 일이다. 미국에서 트럭 운전사는 연간 6만2000달러(약 8600만원)에서 10만1000달러(1억4000만원)를 벌 수 있다. 건설 노동자는 최대 6만2000달러를 벌며, 현장 감독관은 5만6000~9만4000달러의 연봉을 받는다.

 

가장 흥미로운 직업은 요리사다. 전문 셰프는 연봉 최대 17만3000달러(2억4000만원)까지 벌 수 있으며, 학위도 필요 없다. 처음에는 레스토랑 주방에서 수습 요리사로 시작해 경력을 쌓아가며 연봉 약 4만7000달러를 받을 수 있다.

 

여성들이 선호하는 고객 서비스 직원은 연간 최대 5만6000달러를 벌 수 있으며, 계산원은 5만달러, 웨이트리스는 6만6000 달러를 벌 수 있다.

 

미국의 Z세대는 점점 늘어나는 대학 등록금과 학자금 대출 부채로 인해 대학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으로 변하고 있다.

 

미국 국립학생정보센터에 따르면 2023년 직업 교육 중심의 커뮤니티 칼리지 등록률이 16% 증가했을 정도로 이들은 직업전문학교로 눈을 돌리고 있다. 건설을 공부하는 사람들이 23%, 냉난방(HVAC) 프로그램도 7% 증가했다. 

 

특히 배관, 용접, 목공과 같은 업무는 젊은 근로자들에게 새로운 '잇(핫하고 선호하는)' 직업이 됐다. 2023년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한 직업은 풍력 터빈 기술자로, 연간 10만3000달러 이상을 받는다.

 

일자리에 대한 선호도 변화는 직장 내 AI의 부상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사무직 근로자들은 일자리의 안정성에 대해 많은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지만, 로봇이 인간의 육체 노동을 진정으로 대체하기 위해서는 아직 시간이 좀 더 필요하다는 점을 주목하고 있다.

 

즉 육체노동을 선호하는 Z세대의 직업 추세는 AI 기반 해고에 더 많은 면역력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이런 직업들은 사무직보다 더 나은 일과 사람의 균형도 약속한다. 근로자들은 자신의 직업과 취미, 가족 및 기타 만족스러운 직업 사이에서 올바른 균형을 맞추는 것을 원하고 있다.

 

딜로이트의 2024년 연구에 따르면, 일과 삶의 균형은 Z세대와 밀레니얼 세대가 직업을 선택하는 가장 중요한 특성이며 고용주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멀린다 게이츠, 트럼프 정부 해외원조 삭감에 “재앙적 파급” 직격탄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의 대표적 자선가 멀린다 프렌치 게이츠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해외원조 예산 대폭 삭감에 대해 “말도 안 되는 일”이라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녀는 이 조치가 여성과 아동 등 전 세계 취약계층에 미칠 파급 효과가 “재앙적일 것”이라고 경고했다. “여성 1680만명, 아동 100만명 생존권 위협” 프랑스 매체 마담피가로와의 최근 인터뷰에서 멀린다 게이츠는 트럼프 정부가 미국국제개발처(USAID) 예산을 대폭 줄인 점을 지적하며, “올해만 1680만명의 여성이 모성 건강 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100만명의 아동이 심각한 영양 결핍에 빠질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그녀는 “미국 같은 나라가 원조를 줄이면 프랑스, 영국, 독일 등 다른 선진국도 따라 할 수 있다는 점이 더 큰 문제”라며, “그 파급 효과는 재앙적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해외원조 삭감, 글로벌 연쇄효과…가장 취약한 곳부터 붕괴” 실제로 트럼프 행정부의 대규모 해외원조 삭감 이후 영국, 독일, 캐나다 등 서방국가들도 잇따라 관련 예산을 줄이고 있다. 국제개발원조 전문 싱크탱크 글로벌개발센터(CGD)는 “2026년엔 미국, 영국, 독일, 캐나다의 원조 삭감 폭이 가

“K팝과 미래차, 사이버트럭은 빅뱅”…머스크, 지드래곤 사이버트럭 영상 리트윗 ‘글로벌 화제’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가 K팝 스타 지드래곤(G-Dragon)이 테슬라 사이버트럭을 타고 등장하는 영상을 직접 리트윗하며 국내외에서 큰 화제를 모으고 있다. 지드래곤의 소속사 갤럭시코퍼레이션과 복수의 외신 보도에 따르면, 머스크는 6월 15일(현지시간) X(구 트위터)에서 ‘테슬라코노믹스(Teslaconomics)’ 계정이 올린 “K팝의 제왕 지드래곤이 사이버트럭을 타고 한국에 나타나면 어떤 일이 벌어질지 지켜보라”는 게시물을 별다른 코멘트 없이 리트윗했다. 이 영상은 서울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하이볼 출시 기념행사(6월 13일)에서, ‘피스마이너스원(PEACEMINUSONE)’ 로고로 래핑된 사이버트럭을 타고 등장하는 지드래곤의 모습을 담고 있다. 머스크의 리트윗 이후 해당 게시물은 하루 만에 100만뷰를 돌파했고, 1.37만회 이상의 조회수와 수천 건의 리트윗, 댓글이 이어지며 글로벌 K팝과 테슬라 팬덤을 동시에 달궜다. 특히 “사이버트럭이 ‘거대한 마케팅 머신’임을 입증한 사례”라는 평가와 함께, K팝 스타의 영향력이 테슬라 브랜드 확장에까지 미치고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흥미로운 점은 일론 머스크의 어머니이자 유명

"과학·여성에 진심" 로레알 그룹, '유네스코 세계여성과학자상’ 수상자 5명 발표…"세상은 과학을, 과학은 여성을 필요로 한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로레알 그룹과 유네스코가 ‘제27회 로레알-유네스코 세계여성과학자상’ 수상자를 발표하고, 6월 12일(프랑스 현지시간)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시상식을 진행했다. 올해로 27주년을 맞은 ‘로레알-유네스코 세계여성과학자상’은 여성과학계의 대표적인 권위 있는 상으로 매년 5개 대륙을 대표하는 우수한 여성 과학자 5명을 선정해 수여하고 있다. 올해 수상자들은 물리학, 수학 및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선도적인 공헌을 인정받아 수상의 영예를 안게 됐다. 아시아 및 태평양 지역에서는 안전한 데이터 통신과 저장에 필수적인 암호화 및 암호 수학에 크게 기여를 한 샤오윈 왕(Xiaoyun Wang) 칭화대학교 교수가 선정됐다. 샤오윈 왕 교수는 일반 통신 프로토콜에 사용되는 해시 함수의 근본적인 결함을 발견하고 새로운 해시 함수 표준을 제시했으며, 이는 오늘날 은행 카드, 컴퓨터 비밀번호, 전자상거래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 외에도 ▲아프리카 및 아랍 지역에서는 환경 오염물질을 감지하는 고감도 전기화학 마이크로센서를 개발한 프리실라 베이커(Priscilla Baker) 웨스턴 케이프 대학교 교수 ▲유럽에서는 ‘위상 양자화학(topological q

[빅테크칼럼] 이스라엘, 이란 공습작전에 팔란티어 개입說의 진실…AI기반 디지털체인, 전쟁의 판도를 바꾸다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2025년 6월 13일(현지시간) 이스라엘은 이란의 핵시설과 군사시설을 대규모로 공습했다. 이번 이스라엘의 공격으로 호세인 살라미 이슬람혁명수비대(IRGC) 총사령관, 혁명수비대 대공방어부대 하탐알안비야의 골람알리 라시드 사령관 등 이란 고위 지휘관 20명 이상이 숨졌다. 이란의 핵 과학자도 최소 6명 숨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작전명 'Operation Rising Lion'은 구약성서 민수기 23장 24절을 차용한 것이다. 이는 공습 작전에 종교적인 정당성을 부여하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이란 혁명수비대 수뇌부와 핵과학자 등이 사망하는 등 국제적 파장을 일으켰다. 특히 이과정에서 이스라엘군(IDF)은 이란 군수뇌부와 핵시설 관련 핵심 과학자들의 거주지 및 자택을 정밀타격한 것으로 알려져 충격을 줬다. 어떻게 이처럼 엄청나고 정밀한 공격이 가능했을까? 팔란티어(Palantir)는 2024년 이스라엘 국방부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공식 체결하고, AI 및 데이터 분석 플랫폼(Gotham 등)을 군사·정보 임무에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팔란티어 경영진은 "이스라엘 국방부와 상호 합의 하에 전쟁 관련 임무에 첨단 기술을 지원한다"고 공개적으로

‘옵티머스 로봇 손’ 기술 유출한 테슬라 前 직원 '고소'…테슬라, ‘기술 왕관의 보석’ 도둑질 방어에 '고심'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테슬라에서 일하던 저 직원, 기술 훔쳐간 도둑이에요.” 테슬라가 자사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 개발에 참여했던 전직 엔지니어를 상대로 기밀 유출 및 기술 도용 소송을 제기했다. 테슬라는 이 엔지니어가 퇴사 직전 옵티머스 로봇의 핵심 기술 자료를 빼돌려 경쟁 스타트업을 설립하고, 불과 5개월 만에 테슬라와 유사한 로봇 손을 공개했다고 주장했다. “수년·수백명·수십억 달러 투입한 기술, 몇 달 만에 복제” 테슬라가 6월 12일(현지시각) 캘리포니아 북부 연방법원에 제출한 소장에 따르면, 피고는 2022년 8월부터 2024년 9월까지 테슬라 옵티머스 팀에서 ‘고급 로봇 손 센서’ 개발을 담당했던 엔지니어 제이(중지에) 리(Jay Li)다. 테슬라는 리가 퇴사 직전 수주간 옵티머스 관련 기밀 파일을 두 대의 개인 스마트폰에 다운로드하고, 퇴사 6일 만에 ‘프로셉션(Proception)’이라는 스타트업을 설립했다고 밝혔다. 테슬라는 “리의 기술 유출로 프로셉션은 테슬라가 수년간 수백 명의 인력과 수십억 달러를 투입해 개발한 고급 로봇 손을 단 몇 달 만에 복제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프로셉션은 설립 5개월 만에 테슬라가 개발한 것과

오픈AI, 챗GPT 장애에 유료 사용자에 보상 방침…세계 2위 규모 韓, 월 구독료 5% 내외 크레딧 지급 '예상'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오픈AI가 6월 10~11일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챗GPT 서비스 장애에 대해 국내 유료 사용자에게 공식 사과와 함께 보상을 제공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장애는 시스템 업데이트 과정에서 서버 연결이 끊기며 처리 용량이 부족해진 것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오픈AI는 13일 국내 유료 이용자들에게 이메일을 통해 “서비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보상 방침과 함께 구체적 내용은 7월 초까지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14시간 이어진 장애…챗GPT·소라·API 등 전반적 영향 장애는 6월 10일 오후 3시 30분부터 11일 오전 7시까지 약 14시간 동안 지속됐다. 이 기간 동안 챗GPT 유료·무료 서비스는 물론, AI 영상 생성 모델 ‘소라(SORA)’, API 등 오픈AI의 핵심 서비스 전반에 걸쳐 오류가 발생했다. 유료 사용자들은 ‘메시지 스트림에 오류 발생’, ‘동시 요청이 너무 많다’ 등 안내 메시지와 함께 서비스 이용에 큰 불편을 겪었다. 무료 사용자 역시 답변 대기 시간이 길어지거나 답변 자체를 받지 못하는 사례가 잇따랐다. 장애 원인은 “시스템 업데이트 중 서버 연결 문제” 오픈AI는 장애의 원인이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