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2 (수)

  • 맑음동두천 9.1℃
  • 맑음강릉 12.3℃
  • 맑음서울 11.3℃
  • 구름많음대전 9.7℃
  • 흐림대구 10.1℃
  • 흐림울산 12.3℃
  • 흐림광주 10.8℃
  • 흐림부산 14.0℃
  • 흐림고창 8.4℃
  • 흐림제주 15.3℃
  • 맑음강화 8.0℃
  • 구름많음보은 6.9℃
  • 흐림금산 7.7℃
  • 흐림강진군 10.2℃
  • 흐림경주시 9.1℃
  • 흐림거제 11.6℃
기상청 제공

빅테크

[랭킹연구소] 미국서 학위 없는 男女, 직업 선호 순위 TOP5…Z세대, 몸 쓰는 직업에 몰린다

美 경제전문지 포천, 피우연구소 데이터 제시
등록금과 취업에 부담 느낀 Z세대, 육체노동 선호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Z세대와 학위가 없는 젊은 밀레니얼 세대 남녀들이 셰프(요리사), 웨이트리스, 간호사, 영업판매 현장 감독관과 같은 전통적인 직업인 이른바 '몸쓰는 직업'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미국 경제 전문지 포춘은 미국의 Z세대들이 더 이상 화이트칼라 직업을 꿈꾸지 않고 기술직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25세에서 34세 사이의 대학 학위가 없는 남성은 더 육체적이고 재택근무를 선호하는 반면 여성은 의사소통과 공감 능력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 추세다.

 

포춘은 "젊은 근로자들은 더 이상 사무직 일자리를 원하지 않는다"면서 "높은 대학 등록금과 부진한 취업 기회에 환멸을 느낀 Z세대는 더 많은 직업군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포춘은 2024년 해리스 폴(Harris Poll)이 진행한 인튜이트 크레딧 카르마(Intuit Credit Karma) 설문조사를 인용하며 "미국인의 젊은이들의 약 78%가 몸을 쓰는 기술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답했다.

 

즉 목수부터 전기 기술자까지 이러한 역할 중 상당수는 좋은 급여를 받으면서도 스스로 사업을 운영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특히 젊은 근로자는 학자금 대출에 대한 부담 없이 높은 연봉까지 받을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이다.

 

피우 연구소(Pew Research)에 따르면 학위가 없는 남자 근로자가 가장 선호하는 상위 5개 직업은 다음과 같다.

 

1위는 운전자·판매원 및 트럭 운전사, 2위는 건설 노동자, 3위는 화물 운동 노동자, 4위는 영업판매 직군의 현장 감독관, 5위는 요리사 및 조리사로 조사됐다.

 

Z세대와 학위가 없는 젊은 밀레니얼 세대 남녀는 매우 다른 직업의 길을 걷고 있다. 남성은 주방에서 요리사로 일하는 반면, 여성은 홀에서 웨이트리스로 일하고 있다. 이들은 각자의 길을 걷고 있으며, 의도치 않게 '성별에 따른 직업적 분리'를 만들고 있다.

 

피우 연구소(Pew Research)에 따르면 학위가 없는 여성 근로자가 가장 선호하는 상위 5개 직업 중 1위는 고객 서비스 직원, 2위는 간호 보조 및 정신 건강 및 홈 헬스 보조원, 3위는 판매 직군의 현장 감독관, 4위는 계산원, 5위는 웨이트리스이다.

 

학위가 없는 젊은 남성들은 육체 노동에 뿌리를 둔 일을 하고 있으며, 이는 남성들이 역사적으로 더 높은 비율로 차지해 온 일이다. 미국에서 트럭 운전사는 연간 6만2000달러(약 8600만원)에서 10만1000달러(1억4000만원)를 벌 수 있다. 건설 노동자는 최대 6만2000달러를 벌며, 현장 감독관은 5만6000~9만4000달러의 연봉을 받는다.

 

가장 흥미로운 직업은 요리사다. 전문 셰프는 연봉 최대 17만3000달러(2억4000만원)까지 벌 수 있으며, 학위도 필요 없다. 처음에는 레스토랑 주방에서 수습 요리사로 시작해 경력을 쌓아가며 연봉 약 4만7000달러를 받을 수 있다.

 

여성들이 선호하는 고객 서비스 직원은 연간 최대 5만6000달러를 벌 수 있으며, 계산원은 5만달러, 웨이트리스는 6만6000 달러를 벌 수 있다.

 

미국의 Z세대는 점점 늘어나는 대학 등록금과 학자금 대출 부채로 인해 대학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으로 변하고 있다.

 

미국 국립학생정보센터에 따르면 2023년 직업 교육 중심의 커뮤니티 칼리지 등록률이 16% 증가했을 정도로 이들은 직업전문학교로 눈을 돌리고 있다. 건설을 공부하는 사람들이 23%, 냉난방(HVAC) 프로그램도 7% 증가했다. 

 

특히 배관, 용접, 목공과 같은 업무는 젊은 근로자들에게 새로운 '잇(핫하고 선호하는)' 직업이 됐다. 2023년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한 직업은 풍력 터빈 기술자로, 연간 10만3000달러 이상을 받는다.

 

일자리에 대한 선호도 변화는 직장 내 AI의 부상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사무직 근로자들은 일자리의 안정성에 대해 많은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지만, 로봇이 인간의 육체 노동을 진정으로 대체하기 위해서는 아직 시간이 좀 더 필요하다는 점을 주목하고 있다.

 

즉 육체노동을 선호하는 Z세대의 직업 추세는 AI 기반 해고에 더 많은 면역력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이런 직업들은 사무직보다 더 나은 일과 사람의 균형도 약속한다. 근로자들은 자신의 직업과 취미, 가족 및 기타 만족스러운 직업 사이에서 올바른 균형을 맞추는 것을 원하고 있다.

 

딜로이트의 2024년 연구에 따르면, 일과 삶의 균형은 Z세대와 밀레니얼 세대가 직업을 선택하는 가장 중요한 특성이며 고용주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AI 투자 열풍에 빅테크, 사상 최대 930억 달러 채권 발행…"인프라 붐과 시장 불안 동반"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올해 아마존, 알파벳,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등 다섯 대형 빅테크 기업이 총 930억 달러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해, 지난 3년간 채권 발행액을 단숨에 뛰어넘는 기록을 세웠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 무디스, JP모건,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는 인공지능(AI) 및 데이터 센터 인프라 구축에 대한 투자 확대에 따른 것으로, 자본 조달을 위한 채권 발행이 채권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메타가 10월 말 300억 달러의 회사채를 발행하며 올해 미국에서 가장 큰 고등급 회사채 발행 기록을 세웠고, 알파벳은 11월 초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 총 250억 달러를 조달했다. 오라클 역시 9월에 180억 달러 규모의 채권을 발행해 AI 인프라 구축과 데이터 센터 프로젝트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했다. 이러한 대규모 채권 발행은 무디스 수석 신용 담당자인 에밀 엘 넴스가 언급한 바와 같이 "AI 컴퓨팅 수요 증가에 따른 용량 제약에 대응하기 위한 명확한 추세"로 분석된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 데이터에 따르면 9월과 10월 두 달 간에만 750억 달러의 AI 관련 부채가 새로 발행됐으며, 이는 과거 10년간 연평균 발행액의 두 배 이

[빅테크칼럼] 오픈AI, 헬스케어 시장에 출사표…"챗GPT 週 8억명 건강비서 도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글로벌 AI 혁신을 선도하는 오픈AI가 헬스케어 분야에 본격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개인 건강 비서와 건강 데이터 통합 서비스 등 소비자용 헬스케어 도구 개발을 내부적으로 논의 중이며, 이를 위해 의료 및 건강 관련 핵심 인재 영입과 업계 협력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로이터, 비즈니스 인사이더, 아크리브에 따르면, 오픈AI는 2025년 6월 미국 최대 의료 분야 네트워크 플랫폼 '독시미티' 공동 창업자이자 의사인 네이트 그로스를 헬스케어 전략 책임자로 영입한 데 이어, 8월에는 메타(페이스북)의 인스타그램에서 제품 총괄 경력을 가진 애슐리 알렉산더를 건강 제품 담당 부사장으로 데려왔다. 이들 리더십 하에 오픈AI는 의료 진단 보조부터 신약 개발 AI 도구 협력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챗GPT 이용자 규모는 주간 8억명에 육박하며, 상당수가 의료 관련 질문을 하고 있다. 샘 올트먼 CEO도 “건강 관리 분야에서 GPT 기술이 이용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헬스케어 시장 진출은 단순한 AI 인프라 공급을 넘어, 의료 현장과 소비자에 직접 다가가는 전략으로 평가된다. 최근 오픈AI는 케냐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