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6 (일)

  • 구름조금동두천 0.8℃
  • 구름많음강릉 13.4℃
  • 맑음서울 5.7℃
  • 구름많음대전 4.9℃
  • 구름조금대구 5.0℃
  • 맑음울산 6.8℃
  • 구름조금광주 7.0℃
  • 맑음부산 12.8℃
  • 구름많음고창 5.1℃
  • 구름조금제주 12.0℃
  • 구름조금강화 5.5℃
  • 구름많음보은 1.6℃
  • 흐림금산 3.4℃
  • 구름조금강진군 4.5℃
  • 구름조금경주시 3.9℃
  • 맑음거제 8.3℃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랭킹연구소] 30년전 3억원 반포주공1단지, 73억으로 '껑충'…94년 vs 24년 강남권 주요아파트 비교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지금 73억원에 달하는 반포주공1단지 32평이 30년 전에는 얼마였을까?

 

아파트랩이 네이버뉴스 라이브러리와 매일경제신문(1994년 7월 16일자)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현재 73억원 수준인 반포주공1단지 32평은 1994년 당시 3억원 수준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30년새 무려 2333% 급등한 70억원의 시세차익을 기록했다.

 

반포주공1단지 중 124주구는 현재 현대건설이 시공을 맡아 재건축중이며, 5002세대 반포디에이치클래스트로 2027년 준공예정이다. 현대건설의 제안서에 따르면 국내 최초 오페라하우스, 국내 최초 아이스링크장, 국내 최초 사계절 워터파크, 국내 최초 키즈 레고랜드가 커뮤니티 시설로 들어설 정도로 국내 최고급 아파트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강남권 부유층에서도 모두 눈독을 들이고 있는 곳이다.

 

남아있는 강남권 재건축 대어인 '잠실주공5단지'의 경우 1994년 34평의 경우 1억8000만원, 36평의 경우 2억1000만원 수준이었다. 현재 각각 28억7000만원, 33억2500만원에 시세가 형성돼 있다.

 

1994년엔 명일동 삼익그린 아파트 30평은 1억8000만원, 38평은 2억4000만원 수준이었다. 하지만 30년이 지난 2024년 현재 16억5500만원, 19억원 수준으로 뛰었다.

 

잠실우성 32평도 2억3000만원에서 24억5500만원으로, 가락우성 39평도 2억5000만원에서 16억5000만원으로 크게 올랐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The Numbers] DSR·LTV도 대감집 머슴에게 '딴세상'…사내대출, ‘부동산 규제 우회 통로’로 급부상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최근 국내 대기업과 공공기관들이 운영하는 사내대출 제도가 ‘부동산 규제 우회 통로’로 급부상하고 있다. 시중은행 가계대출 규제가 한층 강화되면서, 삼성, 현대차, 네이버, 카카오, SK하이닉스, 두나무 등 유수의 기업들은 직원 복지 수단으로 사내대출 한도와 금리를 대폭 상향·인하하는 추세를 보인다. 특히 두나무는 최근 집값 안정 대책에도 불구, 사내대출 한도를 기존 3억원에서 5억원으로 늘리고 금리 역시 무이자에 가깝게 운용해 ‘역대급 복지’ 논란의 중심에 섰다.​​ DSR·LTV 적용 없는 사내대출, 실제 규모 5년 새 63% 급증 사내대출이 ‘근로복지기금’으로 취급된다는 사실은 돈줄이 막힌 실수요자들에게 큰 매력이다. 회사가 직접 대출을 시행할 경우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나 LTV(주택담보인정비율) 등 금융권 규제와 관계없이 한도 산정이 자유롭고, 신용점수에도 영향이 없다. 실제 2020년 연간 대출액은 2조원대에서 2023년 3조392억원까지 63%나 늘었고, 공공기관을 포함한 상위 7개 기관의 사내대출 잔액도 최근 5년간 500억원 이상 증가했다.​ 국내 대표적인 사내복지가 우수한 회사별 사내대출 한도와 금리는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