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21 (토)

  • 흐림동두천 -0.5℃
  • 흐림강릉 3.4℃
  • 구름많음서울 1.3℃
  • 대전 2.0℃
  • 흐림대구 0.8℃
  • 구름많음울산 0.1℃
  • 흐림광주 2.9℃
  • 구름많음부산 5.3℃
  • 흐림고창 2.9℃
  • 구름많음제주 9.0℃
  • 흐림강화 1.6℃
  • 흐림보은 -0.6℃
  • 흐림금산 1.1℃
  • 흐림강진군 1.0℃
  • 구름많음경주시 -3.3℃
  • 구름조금거제 5.9℃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공간차트] 근로자 억대 연봉 139만명…평균 총급여액 TOP10, 인천동구 '1위'

국세청, 2023년 귀속 연말정산 등 국세통계
지난해 근로자 평균연봉 4332만원…전년보다 119만원↑
억대 연봉자 139만명(전체의 6.7%)…전년보다 7만명↑
외국인 근로자 평균은 3278만원…평균 세액은 191만원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우리나라 월급쟁이 중 1억원 초과 억대 연봉자가 140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의 6.7%에 달했다. 즉 월급쟁이 100명 중 6~7명이 억대 연봉을 받은 셈이다.

 

또 5억원을 초과하는 연봉을 받은 사람은 2만1000명이었다. 울산이 광역 지자체 중 평균 연봉이 가장 높았다. 기초자치단체 중에서는 인천 동구가 1위였다.

 

19일 국세청(청장 강민수)이 공개한 2023년 귀속 연말정산 국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근로소득자 평균 총급여액(연봉)은 전년 대비 2.8%(119만원) 늘어난 4332만원으로 집계됐다. 평균결정세액은 428만원이었다. 소득세 과세표준 구간 조정으로 전년대비 1.4%(6만원) 감소했다.

 

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인원은 2085만명으로 전년 대비 1.5%(32만명) 증가했다. 이중 결정세액 있는 신고인원은 1396만명으로 전체의 67%였다. 결정세액 신고인원 비중은 지난 2019년 63.2%, 2020년 62.8%, 2021년 64.7%, 2022년 66.4%로 확대되고 있다.

 

연봉(총급여액) 1억원 초과 근로소득자는 139만명이었다. 전체 신고인원의 6.7%로 전년 대비 7만명 늘었다. 근로소득자 중 1억원 초과 근로자 비중은 2019년 4.5%, 2020년 4.7%, 2021년 5.6%, 2022년 6.4%였다. 인원은 2019년 85만명, 2020년 92만명에서 2021년 100만명을 넘어 선 이후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총급여액 기준으로 3000만원 이하가 전체의 45.3%인 945만2000명이었다. 3000만원 초과 5000만원 이하가 25.9%인 540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5000만원 초과 1억원 이하가 22.1%(460만4000명)이었다. 1억원 초과 5억원 이하는 6.6%(137만2000명), 5억원 초과는 0.1%(2만1000명)이었다.

 

 

저출산 등 인구구조 급변으로 자녀 세액공제 신고 근로자는 전년 대비 6.6% 감소한 242만2000명이었다. 2019년 268만4000명이었던 것에 비하면 큰 폭의 감소세다. 출산입양 세액공제 신고 근로자도 13만6000명에 그쳤다. 전년 대비 6.8%(1만명) 줄었다.

 

원천징수지별 평균 총급여는 광역지자체 중 울산이 496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서울이 4797만원, 세종 4566만원 순이었다.

 

시·군·구 단위로는 1위는 인천 동구가 7014만원, 그 뒤를 이어 울산 북구 6458만원, 경기 이천시 6324만원, 경기 수원시 6074만원이었다. 이들 지자체에는 주요 대기업들이 자리잡고 있다. 인천 동구에는 현대제철, HD현대인프라코어 등이 있다. 울산 북구는 현대자동차, 경기 이천은 SK하이닉스, 경기 수원은 삼성전자 등의 대기업이 있다.

 

5위~10위는 서울 종로구, 서울 영등포구, 서울 중구, 경기 성남시, 서울 서초구, 경북 포항시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역 역시 연봉이 높은 대기업의 본사들이 주로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외국인 근로자 연말정산 신고인원은 61만1000명이었다. 평균 총급여액은 3278만원으로 나타났다. 국적별로는 중국이 19만명으로 외국인 근로자 전체의 31.1%로 가장 많았다. 이어 베트남이 8.5%(5만2000명), 네팔 7.4%(4만5000명) 순이었다.

 

지난해 세무조사 건수는 1만4174건으로 전년 대비 1.4%(201건) 줄었다. 다만 부과세액은 9.4%(5000억원) 증가한 5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한국기업의 첫 美 조선소 인수…한화그룹, 필리조선소 1억달러에 인수완료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한화그룹이 미국 필리조선소(Philly Shipyard) 인수를 마무리했다. 국내 기업 중 미국 조선소를 인수한 것은 한화그룹이 처음이다. 한화그룹은 미국 필라델피아 소재 필리조선소 지분 100% 인수를 위한 제반 절차를 최종 완료했다고 20일 밝혔다. 지난 6월20일 노르웨이 아커와 본계약 체결 후 6개월 만이다. 인수 금액은 1억 달러. 한화시스템이 6000만 달러, 한화오션이 4000만 달러를 투자해 각각 60%, 40%씩 지분을 확보했다. 한화그룹은 필리조선소를 북미 조선 및 방산 시장의 전략적 거점으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도 11월 7일 윤석열 대통령과 통화에서 "선박 수출뿐만 아니라 보수·수리·정비 분야에서도 긴밀하게 한국과 협력을 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한 만큼, 현지 조선소 인수를 발판으로 미국 방산시장 진출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한화그룹은 기대하고 있다. 한화오션은 필리조선소의 생산 역량과 시장 경험을 기반으로 북미 조선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할 계획이다. 한화오션이 보유한 친환경 선박 기술과 생산 자동화 등 스마트 생산을 통해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고부가가치 선박 분야에서의 시장

야놀자 플랫폼, 5년간 21.9조원 경제효과 '창출'…8.7조원 부가가치로 지역경제 '견인'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야놀자 플랫폼(대표 배보찬)이 지난 5년간 21조9000억 원의 경제효과를 창출했다고 밝혔다. 야놀자 플랫폼은 18일 ‘2024 놀 웨이브 리포트- 민관협력 편’을 통해 “여러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과 협력을 통해 국내 여행 활성화와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한 결과”라며 이 같이 밝혔다. 놀 웨이브 리포트는 ‘놀이 활동’이 만들어내는 사회·경제적 가치를 조명하기 위해 올해 처음 발간된 보고서로, ‘웨이브’는 놀이 문화가 사회에 끼치는 긍정적 물결을 의미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1월부터 2024년 11월까지 약 5년간 야놀자 플랫폼을 통한 생산유발효과는 총 21조9000억 원에 달했다. 생산유발효과란 여행객들이 소비하는 숙박, 교통, 음식 및 기타 서비스가 다양한 산업 활동을 자극해 추가 생산을 유발한 결과다. 야놀자 플랫폼의 숙박 예약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기준으로 분석했다. 여행을 통해 지역 사회에 발생한 이윤과 임금 등 부가가치유발효과는 8조7000억 원을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플랫폼을 통한 관광 촉진이 지역 경제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야놀자 플랫폼에서 비수도권 숙소 예약 비중은

최태원 SK회장의 통큰 기부 "이웃·사회와 함께 성장할때 행복나눔도 커져"…희망나눔 성금 120억원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SK그룹이 연말을 맞아 이웃사랑 성금 120억원을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기탁했다. SK는 18일 지동섭 SK수펙스추구협의회 SV위원장이 서울 중구 정동에 있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회장 김병준)를 찾아 성금 120억원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SK는 지난 1999년 이후 매년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이웃사랑 성금을 기부해왔다. 올해까지 희망나눔 캠페인 누적 기부액은 총 2465억원에 이른다. SK는 올해 그룹 차원의 성금 120억원 외에도 SK이노베이션, SK하이닉스, SK㈜ 머티리얼즈, SK실트론 등 계열사 임직원들의 자발적 기부를 통해 약 63억원의 임직원 기금을 추가로 조성했다. 이를 희망나눔 캠페인 성금과 합산 시 연간 기부 규모는 183억원에 달한다. 최태원 SK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지난 9월 열린 ‘제1회 대한민국 사회적가치 페스타’에서 “우리 앞에는 기후위기, 저출생, 지역소멸 등 매우 복잡하고, 여태까지 경험해보지 못했던 난제들이 존재한다"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소통과 협력을 통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1석 다(多)조의 아이디어가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SK는 올해에도 사회문제 해결 및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