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2℃
  • 맑음강릉 8.9℃
  • 흐림서울 3.2℃
  • 구름조금대전 6.6℃
  • 맑음대구 9.5℃
  • 연무울산 11.2℃
  • 맑음광주 8.7℃
  • 연무부산 13.6℃
  • 구름조금고창 8.0℃
  • 흐림제주 13.5℃
  • 구름많음강화 2.0℃
  • 구름조금보은 5.4℃
  • 구름조금금산 6.7℃
  • 구름조금강진군 9.6℃
  • 맑음경주시 10.6℃
  • 맑음거제 13.4℃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랭킹연구소] '직원보다 106배 받는 대기업 CEO'는 손경식 CJ제일제당 회장…기업 총수 연봉 1위 이재현 CJ 회장

손경식 CJ제일제당 회장 연봉 82억원 '가장 큰 격차'
기업별 분석 결과, CJ제일제당 106.1배로 1위…LS일렉트릭, 비에이치 등도 80배 이상
직원 실질 평균 연봉 1위 SK에너지…기업 총수 개인 연봉 1위는 이재현 CJ 회장
대기업 CEO-직원 연봉 격차, 2023년 15.9배에서 지난해 15.3배로 소폭 줄어
295개 현황 조사…식음료, 유통, 제약 업종 순으로 차이 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대기업 CEO와 직원 평균 연봉의 격차가 가장 큰 곳은 어디일까?

 

CJ제일제당이 가장 큰 격차를 보였다. 손경식 회장이 81억7100만원을 받을 때 직원들은 실질 평균 연봉 7702만원을 수령해 106.1배 차이를 기록했다. 

 

최고 연봉자와 일반 직원 간에의 격차가 평균 15배인데 비해 CJ제일제당은 무려 106배가 넘는 차이가 존재했다.

 

개인 기준 최고 연봉자 역시 이재현 CJ그룹 회장으로 약 194억원을 수령했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이후인 2017년부터 급여를 받지 않고 있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이번에도 5억원 이상 연봉자 명단에 없었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매출 기준 상위 500대 기업 중 사업보고서를 제출하고 5억원 이상 연봉자를 공개한 295개사의 ▲CEO 연봉 ▲미등기임원 평균 보수 ▲직원 평균 보수를 비교·분석한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지난해 국내 주요 대기업의 직원 평균 연봉이 증가한 반면, 최고 연봉자 보수는 감소하면서 양측 간 연봉 격차가 다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각 기업에서 최고 연봉을 받은 임원의 평균은 14억5000만원으로 2023년(14억6900만원) 대비 1.3% 감소했다. 반면 미등기임원을 제외한 직원 실질 평균 연봉은 9510만원으로 전년(9230만원)보다 3.0% 증가했다. 결과적으로 최고 연봉자와 직원 간 연봉 격차는 15.9배에서 15.3배로 소폭 줄어들었다.

 

이번 조사는 각 기업 사업보고서에 명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진행됐다. 최고경영자 보수는 연봉 5억원 이상 공개 대상자 중 C레벨(최고의사결정권자)이면서 가장 많은 보수를 받은 인물을 기준으로 했으며, 퇴직금은 제외하고 스톡옵션은 포함했다.

 

미등기임원 연봉은 사업보고서상 미등기임원 1인당 평균 보수이며, 직원 평균 급여는 전체 평균 연봉에서 미등기임원 보수를 제외한 실질 수치를 사용했다.

 

업종별로 보면 최고 연봉자와 직원 간 연봉 격차가 가장 큰 분야는 식음료였다. 최고 연봉자 평균이 19억9539만원, 직원 평균은 6718만원으로 29.7배 격차를 보였다. 뒤이어 유통(22.8배), 제약(22.2배), IT전기전자(21.7배), 자동차·부품(20.6배) 순이었다.

 

반면 은행 업종은 가장 격차가 작았다. 전년도 8.6배에서 지난해 8.3배로 더 축소됐다. 여신금융(8.4배), 증권(10배), 보험(10.1배) 등 여타 금융업종도 상대적으로 격차가 작았다.

 

CJ제일제당 손경식 회장에 이어 두 번째는 LS일렉트릭으로 구자균 회장(71억4200만원)이 직원(8182만원) 대비 87.3배 많은 연봉을 받았다.

 

이어 비에이치 84.2배(이경환 회장 40억2900만원-직원 4785만원), 삼성바이오로직스 75.7배(존림 대표이사 사장 79억1100만원-직원 1억445만원), 현대백화점 73.9배(정지선 회장 50억4400만원, 직원 6824만원), 이마트 71.8배(정용진 회장 36억900만원, 직원 5029만원), 하이트진로 65.2배(박문덕 회장 72억5919만원, 직원 1억1114만원) 순으로 차이가 컸다.

 

 

미등기임원을 제외한 직원 실질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기업은 SK에너지로, 전년(1억5251만원) 대비 5.2% 증가한 1억6038만원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SK에너지는 2023년 6위에서 지난해 1위로 올라섰다.

 

이어 우리금융지주(1억5912만원), 코리안리(1억5689만원), 신한지주(1억5667만원), NH투자증권(1억5492만원), 삼성증권(1억5355만원), SK텔레콤(1억5222만원), 에쓰오일(S-OIL, 1억4956만원), 삼성화재해상보험(1억4665만원), 삼성카드(1억4645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상위 10곳 가운데 직원 연봉이 감소한 기업은 에쓰오일이 유일했다. 이 회사는 전년(1억6822만원) 대비 11.1% 하락했다. 아울러 2023년에 직원 평균 연봉 1억6000만원을 넘기며 3위였던 KB금융은 지난해 1억4000만원대(-12.5%)로 하락하면서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미등기임원의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기업은 크래프톤이었다. 지난해 전년(9억5300만원) 대비 41.3% 증가한 13억4700만원으로 2위에서 1위로 올라섰다.

 

2위는 아이에스동서(10억9900만원)로, 미등기임원 연봉이 124.7% 급증해 10억9900만원을 기록하며 36위에서 2위로 껑충 뛰었다. 반면 같은 기간 직원들의 실질 급여는 36.1% 감소해 대조를 이뤘다.

이 외에도 E1(8억6100만원), 하이브(7억7000만원), 신세계(6억7800만원), 삼성전자(6억7100만원), 코리안리(6억5700만원), 오리온(6억700만원), 이마트(5억9800만원), 포스코이앤씨(5억9700만원) 순으로 미등기임원 연봉이 높았다.

 

이 가운데 하이브는 전년도 6억900만원에서 26.4% 증가하며 13위에서 5위로 올랐고, 포스코이앤씨는 5억100만원에서 5억9700만원으로 19.2% 상승해 34위에서 10위로 진입했다. 반면 이수화학은 8억600만원에서 1억8700만원으로 76.8% 감소, 3위에서 247위로 추락해 눈길을 끌었다. LG에너지솔루션, GS건설, 엔씨소프트 등도 두 자릿수 하락률로 상위 10위권에서 빠졌다.

 

퇴직금을 제외한 개인 최고 보수 수령자는 이재현 CJ그룹 회장이었다. 그는 지난해 CJ와 CJ제일제당 두 곳에서 총 193억7400만원을 받았다.

 

2위는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으로, 4개 계열사에서 178억3400만원을 수령했다. 다만 신 회장은 호텔롯데와 롯데물산 사업보고서가 미공시 상태여서 해당 급여는 반영되지 않았다.

 

3위는 조현상 HS효성 부회장으로 지난해 HS 및 HS효성에서 총 151억9000만원을 기록했다.(효성에서 받은 퇴직소득 171억9200만원은 미포함) 조 부회장은 보수와 상여만으로는 70억원을 밑돌았으나, 효성에서 특별공로금 85억원을 수령하면서 순위가 급등했다.

 

그 뒤를 이어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139억8100만원),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115억1800만원),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113억6300만원),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102억1300만원)이 100억원 이상을 수령했으며, 박지원 두산에너빌리티 회장(96억6300만원),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91억9900만원), 구광모 LG그룹 부회장(81억7700만원)도 1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2023년 5위였던 남궁훈 전 카카오 대표가 순위에서 빠지고, 조현상 부회장이 새롭게 진입한 점이 눈에 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이번에도 5억원 이상의 연봉자 명단에 포함되지 않았다.

 

그룹사 기준으로는 개인 보수 30위권 내 LS그룹이 5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CJ는 3명, 한화·현대차·SK·GS·현대백화점 등은 각각 2명씩 이름을 올렸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46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LG전자 대리점 ‘신혼가전 대금 사기’에 100명 이상·수억원 피해 '속출'…"사기 무서워 LG전자 이용하겠나?"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최근 서울 동대문구에 위치한 LG전자 베스트샵 대리점에서 발생한 ‘신혼가전 대금 사기’ 사건이 대한민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지점장 A씨(40대)는 예비 신혼부부 등 수백만원에서 수천만원 상당의 가전제품 대금을 고객들로부터 받아 챙긴 뒤 가전이 배송되지 않은 상황에서 잠적했다. 경찰은 지난 10일 강원도 속초에서 A씨를 검거했으며, 12일 서울북부지법이 도망 염려를 들어 구속 영장을 발부했다.​ 피해 규모는 경찰 조사 결과 14억원을 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으며, 피해자 수는 100명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피해자들은 주로 혼수가전을 준비하는 예비 신혼부부들로, 대기업 LG전자라는 명성에 안심하고 거액을 선입금했으나 결국 사기 피해를 입었다.​​ 사기 수법은 정상 거래처럼 꾸미고 결제를 개인 계좌로 유도한 후, 가전제품 배송 전 이를 ‘비정상 거래’로 분류해 결제 취소 처리하면서 대금을 가로챈 것이다. 결제 과정에서 취소와 재입금을 반복하며 고객들을 혼란에 빠뜨리기도 했다. 피해자 중 한 명은 "처음부터 개인 계좌 입금 요구가 수상했고, LG 브랜드에 대한 신뢰가 컸기에 경계하지 못했다"고 호소했다.​​ LG전자는 "해

[이슈&논란] 이랜드 천안 물류센터, 축구장 27개·1100만점 '잿더미' 블프 '직격탄'…패션·유통업계 ‘비상’ 재고자산·배송망 '흔들'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에 위치한 이랜드그룹 패션 통합물류센터에서 2025년 11월 15일 오전 6시경 대형 화재가 발생, 이틀째 진화 작업이 이어지면서 국내 패션·유통업계가 초비상 상태에 돌입했다. 건물 연면적 19만3210㎡(축구장 27개 크기), 지하 1층~지상 4층 등 대형시설이 전소하며, 이랜드가 운영하는 10여개 대표 브랜드(뉴발란스·뉴발란스키즈·스파오·슈펜·미쏘·로엠·후아유·에블린·클라비스·폴더)의 의류·잡화 등 1100만점에 달하는 상품이 잿더미로 남았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으나, 소방당국은 물류센터 내 재고 대부분이 전소된 것으로 보고 있다. 재고자산 4444억원 상당, 배송망·연말 행사 ‘차질 불가피’ 이랜드 패션사업 계열사 이랜드월드의 2025년 9월 말 기준 재고자산은 4444억원으로 추정된다. 이번에 피해를 입은 천안센터에는 이 재고 중 다수가 집중된 것으로 파악된다. 물류센터가 불탄 직후에도 소방당국은 잔불 진화에 인력 150명과 소방장비 80대를 투입해서 진화에 애를 쓰고 있으며, 향후 건물 붕괴 위험까지 제기되고 있다. 이랜드그룹은 국내외에서 디자인한 제품을 중국·베트남에서 생산해 해당 센터에 집결

[이슈&논란] 안다르 창업자 남편, 北 해커 거래로 국보법 위반 법정구속·실형…法 "北 김정은 통치자금으로 흘러가"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스포츠 의류 브랜드 안다르의 창업자인 신애련 전 대표의 남편이자 이사였던 오대현 씨가 북한 해커 조직과의 불법 거래 혐의로 국가보안법 위반죄로 2심에서도 징역1년의 실형을 선고받고 법정구속됐다. 이번 판결은 오 씨가 북한 해커 ‘에릭’(북한 이름 오성혁)과 장기간 접촉하며, 리니지 사설 서버 운영을 위한 핵심 해킹 프로그램을 제공받고 약 2380만원을 송금한 사실이 인정된 것으로, 재판부는 이 자금이 북한 통치자금으로 흘러 들어갔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오 씨는 조선노동당39호실 산하 릉라도무역총회사 릉라도 정보센터의 개발팀장인 북한 해커와 중국 메신저 QQ를 통해2014~2015년까지 반복적으로 연락을 주고받았다. 해당 해커 조직은 디도스 공격과 사이버 테러 수행 능력을 갖춘 위험 집단으로, 불법 프로그램 판매를 통해 북한의 통치자금을 조달해 온 구조라는 점이 재판부에 의해 명확히 밝혀졌다. 오 씨는 단순히 개인 이익을 위해 거래한 것으로 체제 동조는 어렵다고 판단됐으나, 국가안보에 중대한 위협을 가한 행위로 간주돼 실형이 확정됐다.​ 이번 사건은 안다르 브랜드에 또다시 창업자 리스크가 부각되는 계기가 됐다. 오 씨는 안

[이슈&논란] 이재용 8년 비상경영 끝내고 ‘뉴삼성’ M&A 속도전...글로벌 전장·AI·반도체 시장 주도권 공략 '잰걸음'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8년간 이어온 비상경영 체제를 마무리하고, 대형 인수합병(M&A)을 재가동하며 ‘뉴삼성’ 재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17년 하만 인수 이후 7년간 멈춰 있었던 대규모 M&A 활동을 올해부터 다시 적극 추진하는 모습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11월 7일 임시 조직이던 사업지원TF를 상설 조직인 ‘사업지원실’로 격상했으며, 13일에는 전사적 M&A 전담팀을 신설하면서 중장기적인 투자와 사업 재편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사업지원실은 전략팀, 경영진단팀, 피플팀 등 3개 팀 체제에서 M&A팀이 추가되어 총 4개 팀 체제로 운영된다. M&A팀장은 2017년 약 80억 달러 규모 하만 인수를 이끌었던 안중현 사장이 맡아 신사업 개척과 글로벌 빅딜 추진을 총괄한다. 사업지원실장에는 재무·전략 전문가인 박학규 사장이 임명됐다. 그는 삼성전자 경영지원실장과 DS부문(반도체·디스플레이) 경영지원실장을 거친 기획과 운영 전문가로, 안정적인 비상경영 체제에서 공격적 변환과 확장을 설계하는 ‘뉴삼성’의 중심이 될 것으로 평가받는다. 반면 이 회장의 최측근으로 꼽히던 정현호 부회장은 회장 보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