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2℃
  • 맑음강릉 8.9℃
  • 흐림서울 3.2℃
  • 구름조금대전 6.6℃
  • 맑음대구 9.5℃
  • 연무울산 11.2℃
  • 맑음광주 8.7℃
  • 연무부산 13.6℃
  • 구름조금고창 8.0℃
  • 흐림제주 13.5℃
  • 구름많음강화 2.0℃
  • 구름조금보은 5.4℃
  • 구름조금금산 6.7℃
  • 구름조금강진군 9.6℃
  • 맑음경주시 10.6℃
  • 맑음거제 13.4℃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랭킹연구소] 주주환원비율 높은 기업 TOP10…KT&G·키움증권·우리금융·삼성증권·SKT·NH투자증권·하나금융 順

시총 100대기업, 주주환원총액 2년 전보다 35% 증가…시총 대비 비중은 0.3%p 증가 그쳐
100대 기업, 주주환원총액 45조5784억원…2년전 보다 11조8544억원 늘어
KT&G, 시총 대비 주주환원총액 비율 ‘최고’…10.0% 기록
HD현대일렉트릭, 2022년 대비 주당 주주환원총액 10배 넘게 증가
CEO스코어, 2022~2024년 시가총액 상위 100대기업 주주환원 조사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시가총액 100대기업의 주주환원총액(배당+자기주식 소각)이 2년 새 35%가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같은 기간 이들 기업의 시가총액(시총) 대비 주주환원총액 비중은 0.3%포인트 늘어나는 데 그쳤다.

 

2024년 기준 주주환원총액이 가장 많았던 기업은 9조8108억원의 삼성전자였으며, 시가총액 대비 주주환원총액 비중이 가장 높은 기업은 10%를 넘긴 KT&G였다.

 

2022년과 비교해  지난해 주당 주주환원총액 증가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HD현대일렉트릭으로, 약 970% 증가했다. 반면 S-Oil을 비롯한 석유·화학 기업들은 이익 감소 탓에 주당 주주환원총액이 크게 줄었다. 지난해 주주환원을 전혀 하지 않은 기업은 17곳에 달했다.

 

8월 6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지난 6월 30일 기준 시가총액 상위 1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주주환원총액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조사대상 기업의 주주환원총액은 45조5784억원으로 2022년 33조7240억원 대비 11조8544억원(35.2%) 증가했다.

 

이 중 배당총액은 31조8891억원에서 37조3201억원으로 5조4310억원(17.0%) 늘었다. 배당총액은 증가했지만 전체 주주환원총액에서 배당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 94.6%에서 2024년 81.9%로 감소했다. 이는 주식소각이 늘었기 때문이다. 2022년 1조8349억원이었던 주식소각총액은 2024년 8조2583억원으로 6조4234억원(350.1%) 늘었다.

 

100대기업의 시총 대비 주주환원총액의 비율은 2022년 2.4%에서 2024년 2.7%로 0.3%포인트 증가했다. 2022년 100대기업의 시총은 1405조4819억원, 주주환원총액은 33조7240억원이었다. 2024년에는 시총이 1664조9773억원, 주주환원총액이 45조5784억원이었다.

 

지난해 시총 대비 주주환원총액 비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KT&G로 10.0%을 기록했다. 조사 대상 기업 중 유일하게 10%대였다. 지난해 KT&G의 시가총액은 13조4263억원였으며 주주환원에 투입된 금액은 1조3413억원이었다. 특히 KT&G는 주식소각을 통한 주주환원 비중이 56.1%에 달했다.

 

이어 ▲키움증권(9.1%) ▲우리금융지주(9.0%) ▲삼성증권(8.0%) ▲SK텔레콤(8.0%) ▲NH투자증권(7.9%) ▲하나금융지주(7.8%) ▲기업은행(7.4%) ▲기아(7.3%) ▲삼성물산(7.3%)이 상위 10위에 이름을 올렸다.

상위 20개사까지 보면 ▲GS(6.9%) ▲삼성카드(6.5%) ▲SK이노베이션(6.4%) ▲신한지주(6.4%) ▲현대차(6.4%) ▲KT(6.3%) ▲LG유플러스(6.2%) ▲미래에셋증권(5.9%) ▲POSCO홀딩스(5.7%) ▲DB손해보험(5.6%)으로 각각 집계됐다. 이들 20개사 중 10개사가 금융사로 나타나, 금융업권의 높은 주주환원을 증명했다.

 

 

상위 20개사 중 8개사(키움증권·SK텔레콤·KT&G·기아·삼성물산·SK이노베이션·현대차·KT)는 2022년 이후 주식소각을 통한 주주환원이 확대되며, 시총 대비 주주환원총액 비중이 상승했다.

 

지난해 주주환원을 실시한 83개 기업 중 시총 대비 주주환원총액 비중이 5%에도 채 미치지 못한 기업은 59개에 달했다.

 

아울러 지난해 주주환원을 전혀 하지 않은 기업도 17곳이나 있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LG에너지솔루션 ▲두산에너빌리티 ▲한화오션 ▲알테오젠 ▲삼성중공업 ▲카카오페이 ▲에코프로비엠 ▲포스코퓨처엠 ▲SK바이오팜 ▲HLB ▲레인보우로보틱스 ▲휴젤 ▲LG디스플레이 ▲펩트론 ▲리가켐바이오 ▲SKC는 지난해 배당, 주식소각 등 주주환원 실적이 전무했다. 

 

2022년 대비 주당 주주환원총액 증가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HD현대일렉트릭으로, 2022년 500원에서 2024년 5350원으로 970.0%(4850원) 증가했다.

 

이어 ▲셀트리온(415원→3418원, 723.6%↑) ▲카카오뱅크(80원→360원, 350.0%↑) ▲삼성물산(2300원→9155원, 298.0%↑) ▲NAVER(914원→3371원, 268.8%↑) ▲한미반도체(405원→1484원, 266.4%↑) ▲메리츠금융지주(1343원→4900원, 264.9%↑) ▲한화에어로스페이스(1000원→3500원, 250.0%↑) ▲키움증권(3227원→1만160원, 214.8%↑) ▲LS ELECTRIC(1100원→2900원, 163.6%↑)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셀트리온은 지난해 현금·주식을 함께 배당했으며, 주식소각을 통해 역대 최대 규모의 주주환원을 단행했다. 삼성물산은 2023년부터 주주환원정책을 통해 배당수익의 60~70%를 환원했다. 키움증권 역시 주주환원정책에 자사주 소각을 명시한 이후, 지난해 첫 자사주 소각 및 배당을 약 2배 늘렸다.

 

2022년 대비 주당 주주환원총액이 증가한 기업은 100개 중 69개, 2년 연속 주당 주주환원총액이 증가한 기업은 46개로 각각 집계됐다.

 

반면 2022년 대비 주당 주주환원총액이 감소한 기업은 15개사였다. 이들 중 HLB, 에코프로비엠, SKC는 2022년 이후 배당 및 주식소각을 중단했다. 2년 연속 주당 주주환원총액이 감소한 기업은 100개 중 6개사(HMM·HD현대·포스코퓨처엠·S-Oil·엔씨소프트·LG화학)로 집계됐다.

 

 

주당 주주환원총액 감소율이 가장 큰 기업은 S-Oil로, 2022년 5501원에서 2024년 126원으로 97.7%(5375원) 줄었다. S-Oil은 2023년 이후 수익성이 저하되며 주요 사업 투자를 목적으로 주주환원규모를 축소함에 따라 배당성향 가이드라인을 30%에서 20%이상으로 하향 조정했다.

 

이어 ▲LG화학(1만5원→1005원, 90.0%↓) ▲엔씨소프트(6680원→1460원, 78.1%↓) ▲HMM(1200원→600원, 50.0%↓) ▲HD현대(4600원→3600원, 21.7%↓) ▲POSCO홀딩스(1만9693원→1만5718원, 20.2%↓) ▲삼성전기(2102원→1802원, 14.3%↓) ▲LG생활건강(4006원→3506원, 12.5%↓) ▲삼성에스디에스(3200원→2900원, 9.4%↓) ▲삼성SDI(1031원→1001원, 2.9%↓) 순으로 집계됐다.

 

LG화학은 실적 악화로 인해 배당성향을 30%에서 20%로 단기적 하향조정에 나선 바 있으며, 엔씨소프트도 실적 악화 및 지난해 대규모 희망퇴직에 따른 지출 급증으로 배당정책을 조정했다.

 

지난해 주주환원총액 중 주식소각 비중이 가장 큰 곳은 SK스퀘어(1965억원, 100%)와 크래프톤(1196억원, 100%)으로 각각 집계됐다. 이들은 배당 없이 주식소각으로만 주주환원을 단행했다.

 

이어 ▲카카오(85.6%, 1771억원) ▲셀트리온(76.6%, 5367억원) ▲SK이노베이션(72.7%, 7936억원) ▲메리츠금융지주(72.7%, 6401억원) ▲삼성물산(71.6%, 1조725억원) ▲NAVER(66.4%, 3336억원) ▲KT&G(56.1%, 7529억원) ▲미래에셋증권(53.0%, 1656억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이 중 삼성물산은 전체 조사대상 기업 중 유일하게 주식소각 비용이 1조원을 넘겼다.

 

2022년 대비 주주환원총액 중 주식소각 비중이 증가한 기업은 21개사였다. 지난 2023년 금융위원회가 ‘자본시장선진화정책’을 발표, 기업의 적극적인 주주환원 유도에 나선 이후 2023년부터 주식소각 규모가 증가한 기업이 다수 나타났다.

 

2022년 10개에 불과했던 주식소각 기업은 2023년 18개, 2024년 26개로 늘었다. 3년 연속 주식소각을 실행한 기업은 7곳(미래에셋증권·신한지주·하나금융지주·KB금융·현대모비스·카카오·메리츠금융지주)으로, 7개 중 5개 기업이 금융사였다.

 

이번 조사는 시가총액평가에서 비상장 우선주, 조사기간 중 상장 및 설립된 기업과 상장펀드는 제외했다. 또 조사기간 중 현대글로비스·에코프로의 무상증자 및 액면분할로 인한 발행주식 수 변동을 반영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LG전자 대리점 ‘신혼가전 대금 사기’에 100명 이상·수억원 피해 '속출'…"사기 무서워 LG전자 이용하겠나?"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최근 서울 동대문구에 위치한 LG전자 베스트샵 대리점에서 발생한 ‘신혼가전 대금 사기’ 사건이 대한민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지점장 A씨(40대)는 예비 신혼부부 등 수백만원에서 수천만원 상당의 가전제품 대금을 고객들로부터 받아 챙긴 뒤 가전이 배송되지 않은 상황에서 잠적했다. 경찰은 지난 10일 강원도 속초에서 A씨를 검거했으며, 12일 서울북부지법이 도망 염려를 들어 구속 영장을 발부했다.​ 피해 규모는 경찰 조사 결과 14억원을 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으며, 피해자 수는 100명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피해자들은 주로 혼수가전을 준비하는 예비 신혼부부들로, 대기업 LG전자라는 명성에 안심하고 거액을 선입금했으나 결국 사기 피해를 입었다.​​ 사기 수법은 정상 거래처럼 꾸미고 결제를 개인 계좌로 유도한 후, 가전제품 배송 전 이를 ‘비정상 거래’로 분류해 결제 취소 처리하면서 대금을 가로챈 것이다. 결제 과정에서 취소와 재입금을 반복하며 고객들을 혼란에 빠뜨리기도 했다. 피해자 중 한 명은 "처음부터 개인 계좌 입금 요구가 수상했고, LG 브랜드에 대한 신뢰가 컸기에 경계하지 못했다"고 호소했다.​​ LG전자는 "해

[이슈&논란] 이랜드 천안 물류센터, 축구장 27개·1100만점 '잿더미' 블프 '직격탄'…패션·유통업계 ‘비상’ 재고자산·배송망 '흔들'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에 위치한 이랜드그룹 패션 통합물류센터에서 2025년 11월 15일 오전 6시경 대형 화재가 발생, 이틀째 진화 작업이 이어지면서 국내 패션·유통업계가 초비상 상태에 돌입했다. 건물 연면적 19만3210㎡(축구장 27개 크기), 지하 1층~지상 4층 등 대형시설이 전소하며, 이랜드가 운영하는 10여개 대표 브랜드(뉴발란스·뉴발란스키즈·스파오·슈펜·미쏘·로엠·후아유·에블린·클라비스·폴더)의 의류·잡화 등 1100만점에 달하는 상품이 잿더미로 남았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으나, 소방당국은 물류센터 내 재고 대부분이 전소된 것으로 보고 있다. 재고자산 4444억원 상당, 배송망·연말 행사 ‘차질 불가피’ 이랜드 패션사업 계열사 이랜드월드의 2025년 9월 말 기준 재고자산은 4444억원으로 추정된다. 이번에 피해를 입은 천안센터에는 이 재고 중 다수가 집중된 것으로 파악된다. 물류센터가 불탄 직후에도 소방당국은 잔불 진화에 인력 150명과 소방장비 80대를 투입해서 진화에 애를 쓰고 있으며, 향후 건물 붕괴 위험까지 제기되고 있다. 이랜드그룹은 국내외에서 디자인한 제품을 중국·베트남에서 생산해 해당 센터에 집결

[이슈&논란] 안다르 창업자 남편, 北 해커 거래로 국보법 위반 법정구속·실형…法 "北 김정은 통치자금으로 흘러가"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스포츠 의류 브랜드 안다르의 창업자인 신애련 전 대표의 남편이자 이사였던 오대현 씨가 북한 해커 조직과의 불법 거래 혐의로 국가보안법 위반죄로 2심에서도 징역1년의 실형을 선고받고 법정구속됐다. 이번 판결은 오 씨가 북한 해커 ‘에릭’(북한 이름 오성혁)과 장기간 접촉하며, 리니지 사설 서버 운영을 위한 핵심 해킹 프로그램을 제공받고 약 2380만원을 송금한 사실이 인정된 것으로, 재판부는 이 자금이 북한 통치자금으로 흘러 들어갔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오 씨는 조선노동당39호실 산하 릉라도무역총회사 릉라도 정보센터의 개발팀장인 북한 해커와 중국 메신저 QQ를 통해2014~2015년까지 반복적으로 연락을 주고받았다. 해당 해커 조직은 디도스 공격과 사이버 테러 수행 능력을 갖춘 위험 집단으로, 불법 프로그램 판매를 통해 북한의 통치자금을 조달해 온 구조라는 점이 재판부에 의해 명확히 밝혀졌다. 오 씨는 단순히 개인 이익을 위해 거래한 것으로 체제 동조는 어렵다고 판단됐으나, 국가안보에 중대한 위협을 가한 행위로 간주돼 실형이 확정됐다.​ 이번 사건은 안다르 브랜드에 또다시 창업자 리스크가 부각되는 계기가 됐다. 오 씨는 안

[이슈&논란] 이재용 8년 비상경영 끝내고 ‘뉴삼성’ M&A 속도전...글로벌 전장·AI·반도체 시장 주도권 공략 '잰걸음'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8년간 이어온 비상경영 체제를 마무리하고, 대형 인수합병(M&A)을 재가동하며 ‘뉴삼성’ 재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17년 하만 인수 이후 7년간 멈춰 있었던 대규모 M&A 활동을 올해부터 다시 적극 추진하는 모습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11월 7일 임시 조직이던 사업지원TF를 상설 조직인 ‘사업지원실’로 격상했으며, 13일에는 전사적 M&A 전담팀을 신설하면서 중장기적인 투자와 사업 재편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사업지원실은 전략팀, 경영진단팀, 피플팀 등 3개 팀 체제에서 M&A팀이 추가되어 총 4개 팀 체제로 운영된다. M&A팀장은 2017년 약 80억 달러 규모 하만 인수를 이끌었던 안중현 사장이 맡아 신사업 개척과 글로벌 빅딜 추진을 총괄한다. 사업지원실장에는 재무·전략 전문가인 박학규 사장이 임명됐다. 그는 삼성전자 경영지원실장과 DS부문(반도체·디스플레이) 경영지원실장을 거친 기획과 운영 전문가로, 안정적인 비상경영 체제에서 공격적 변환과 확장을 설계하는 ‘뉴삼성’의 중심이 될 것으로 평가받는다. 반면 이 회장의 최측근으로 꼽히던 정현호 부회장은 회장 보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