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9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랭킹연구소] 92개 그룹 해외법인 보유 순위, 한화·SK·삼성·현대차·CJ·LG·롯데 順…6360곳 중 美법인 26.3% 최다

CXO연구소, 2025년 92개 대기업집단 해외계열사 현황 전수조사
92개 그룹, 131개국에 해외법인 설립…미국 법인 증가세 vs 중국 법인 감소세
한화, 국내 그룹 4년 연속 해외법인 숫자 最多…그룹별 해외법인, 삼성 늘리고 SK 줄여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국내 92개 그룹이 다른 국가에 세운 해외법인 숫자는 올해 기준으로 6360곳을 넘어섰는데, 국가별로 살펴보면 미국에 세운 해외계열사만 26% 이상 차지해 가장 많았다. 특히 미국에 세운 회사는 늘리는 반면 중국(홍콩 포함)에 둔 계열사는 줄이는 흐름이 몇 년째 계속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대기업집단 중에서는 한화그룹이 운영 중인 해외법인 숫자가 올해 기준 830곳을 넘겨 가장 많았고, 이어 SK와 삼성도 500곳 이상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화를 비롯해 SK와 CJ는 미국에 설립한 해외법인 숫자만 100곳을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또 삼성은 최근 1년 새 해외법인을 소폭 늘린 반면 SK는 다소 줄여 대조적인 행보를 보였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2025년 국내 92개 그룹 해외계열사 현황 분석’ 결과를 31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가 올해 자산 5조원 이상으로 지정한 92개 대기업집단(그룹)이다. 해외계열사는 각 그룹이 올해 공정위에 보고한 자료를 참고했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국내 92개 그룹이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해외계열사는 131개국에 걸쳐 6362곳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공정위 지정 대기업집단에서 운영중인 6166곳보다 1년 새 200여 곳 많아진 숫자다. 참고로 올해 92개 그룹의 국내 계열사 숫자는 3301곳인데, 해외법인은 국내법인 숫자보다 3061곳 더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올해 조사된 그룹 중에서는 한화가 833곳으로 가장 많은 해외법인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화 그룹의 해외법인은 2021년 447곳→2022년 637곳→2023년 739곳→2024년 824곳으로 많아지더니, 올해는 작년보다 9곳 더 많아져 해외법인만 830곳을 훌쩍 넘겼다. 국내 그룹 중에서는 한화가 2022년부터 4년 연속으로 가장 많은 해외계열사를 운영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화 다음으로 해외 계열사가 많은 그룹은 SK인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파악된 SK그룹의 해외법인 숫자는 618곳이다. 이는 작년 638곳과 비교하면 1년 새 20곳 줄어든 숫자다. SK그룹의 해외법인은 2018년 316곳이었고 2024년까지 해외계열사 숫자는 계속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는데 올해는 증가세가 한풀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SK그룹은 국내 법인과 함께 해외 계열사도 조금씩 줄여나가는 모양새다.

 

삼성은 올해 기준 574곳으로 한화, SK 다음으로 세 번째로 해외법인을 많이 두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삼성은 지난 2021년까지만 해도 국내 그룹 중 가장 많은 해외계열사를 운영하고 있었는데, 2022년부터 해외법인 최다 보유 그룹 타이틀을 반납했다.

 

삼성은 지난 2018년만 해도 663곳이나 되는 해외계열사를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후 2019년(626곳)→2020년(608곳)→2021년(594곳)→2022년(575곳)→2023년(566곳)→2024년(563곳)까지 지속적으로 해외법인을 조금씩 줄여왔다. 그러다 최근 1년 새 11곳 정도의 해외법인을 더 늘린 것으로 파악됐다. 삼성은 2018년 이후로 7년 만에 해외법인 숫자가 증가세로 돌아섰다.

 

 

한화, SK, 삼성 다음으로 ▲현대차(450곳) ▲CJ(411곳) ▲LG(294곳) ▲롯데(202곳) ▲GS(177곳) ▲포스코(143곳) ▲OCI(123곳) ▲한국앤컴퍼니(120곳) ▲미래에셋(118곳) ▲네이버(104곳) 순으로 올해 파악된 그룹별 해외법인 숫자만 100곳 이상됐다.

 

해외법인을 국가별로 살펴보면 올해 기준으로 미국(美國)에 세운 법인 숫자만 1673곳으로 최다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조사된 1590곳보다 1년 새 83곳 늘어난 숫자다. 매년 대기업집단 전체 해외계열사 중 미국 법인이 차지하는 비중도 2021년 18.8%→2022년 22.1%→2023년 23.2%→2023년 25.8%로 증가해왔는데, 올해는 26.3%로 미국 법인 비중이 1년 전보다 0.5%포인트 더 높아졌다. 국내 대기업들이 미국 시장을 중요한 사업 무대로 여기고 있다는 방증으로 풀이된다.

 

미국 다음으로 홍콩을 제외한 중국(中國)에는 808곳이나 되는 해외법인을 올해 운영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미국과 달리 대조적인 행보를 보였다.

 


작년 대비 올해 대기업집단에 있는 전체 해외법인 숫자는 200여 곳 증가했지만, 중국 법인은 1년 새 19곳 줄었다. 매년 그룹 전체 해외법인 중 중국(홍콩 제외)에 설립된 해외계열사 비중도 2022년 15.9%→2023년 14.9%→2024년 13.4%로 줄고 있었는데, 올해 조사에서는 12.7%로 더 낮아졌다.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국내 대기업들은 미국 법인은 점점 늘리고 중국 법인은 조금씩 줄여나가는 양상이다.

 

올해 조사에서 미국과 중국에 이어 세 번째로 외국에 법인을 많이 세운 나라는 베트남인 것으로 확인됐다. 베트남에 세운 국내 그룹의 해외 계열사 수는 2022년 268곳→2023년 299곳→2024년 314곳→2025년 325곳으로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그만큼 우리나라 기업들이 베트남을 생산 거점과 동시에 동남아시아 시장 등을 공략하는 중요한 글로벌 사업의 전략적 요충지로 보고 있다는 의미다.

 

이어 ▲싱가포르 238곳 ▲일본 224곳 ▲인도네시아 203곳 ▲프랑스 194곳 ▲인도 175곳 ▲독일 162곳 ▲홍콩 150곳 순으로 해외법인 수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중 싱가포르에 세운 해외법인이 일본보다 많아진 것은 눈에 띄는 대목이다. 아시아의 금융허브 도시로 싱가포르가 홍콩보다 더 매력적이라 것이 국내 해외계열사 현황에서도 여실히 드러난 셈이다.

 


지난 2021년 당시만 하더라도 국내 대기업이 싱가포르(167곳)와 홍콩(163곳)에 세운 해외법인 숫자는 다소 비슷했었다. 그러던 것이 올해 조사에서는 싱가포르에 세운 해외법인이 홍콩보다 88곳이나 눈에 띄게 많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지난 2020년 7월부터 시행된 홍콩 국가보안법 이후 달라진 흐름이다.

 

지난 2021년만 하더라도 홍콩을 포함한 전체 중국 법인 숫자는 1037곳으로 미국에 둔 해외계열사보다 152곳 많았었다. 그러던 것이 2022년에 미국 법인(1169곳)이 홍콩을 포함한 전체 중국 법인(994곳)보다 175곳 많아지며 역전됐었다. 이후 2023년(322곳)과 2024년(622곳)에는 미국 법인이 중국(홍콩 포함) 법인보다 많아졌고, 올해 조사에서는 715곳이나 차이를 보였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향후 미국의 관세 여파 등으로 국내 대기업 중 미국에 해외법인을 신규 설립하려는 경향은 더 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미국 이외 다른 국가에 세운 법인들도 해외법인의 전략 자산을 어떻게 운영할 것인지에 대한 전반적인 변화를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랭킹연구소] 10대 그룹 美 생산법인 자산, 8년 새 7배로 '폭증'…삼성>SK>LG>현대차 順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출범한 지난 2017년 이후, 국내 10대 그룹의 글로벌 생산기지 중심이 중국·베트남 등지에서 미국으로 급격히 쏠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내 자국우선주의, 보호무역주의 심화로 국내 10대 그룹의 미국 내 생산법인 자산이 8년 새 7배 이상으로 급증했다. 반면, 값싼 인건비를 강점으로 그동안 국내 기업의 글로벌 생산기지 역할을 해왔던 중국과 베트남 등은 미국에 밀려 증가폭이 급격히 둔화됐다. 10월 29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트럼프 1기 미 행정부 출범 직전인 2016년 말 대비 2024년 말의 국내 10대 그룹 해외 생산법인 자산 규모를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해외 생산법인 자산 규모는 2016년 말 209조1608억원에서 2024년 말 490조7083억원으로 8년 만에 281조5475억원(134.6%)이나 급증했다. 특히 이번 조사 결과 미국이 중국, 베트남 등을 제치고 국내 기업의 최대 생산기지로 급부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1기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의 강도 높은 투자유치 기조로 인해 국내 주요 기업들이 대미 생산라인 투자를 대폭 확대했기 때

셀트리온홀딩스, 셀트리온 주식 매입 ‘7000억원’ 규모로 확대…"합병 따른 저평가 요인 3분기에 해소, 4분기부터 정상화"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셀트리온그룹 지주회사(이하 지주사)인 셀트리온홀딩스(이하 홀딩스)는 올해 7월 주주들과 약속한 5000억원대 대규모 셀트리온 주식 매입을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매입 규모를 약 7000억원 규모로 확대할 방침이라고 28일 밝혔다. 홀딩스는 지난 7월 수익성 개선 및 자회사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대규모 셀트리온 주식 매입 계획을 밝히고, 이달 말까지 약 4000억원 규모의 셀트리온 주식을 매입을 진행중이다. 홀딩스는 현재 진행중인 약 1500억원 규모의 주식 취득이 완료되면 바로 약 2880억원 규모의 추가 매입을 추진할 계획이다. 추가분까지 매입이 끝나면, 홀딩스가 지난 5월에 앞서 취득한 약 1200억원 규모의 주식을 포함해 올해에만 총 8000억원이 넘는 셀트리온 주식을 취득하게 된다. 홀딩스는 셀트리온이 건실한 사업 펀더멘털에도 불구하고 셀트리온헬스케어(소멸법인)와 합병을 진행하면서 단기 원가율 상승 및 무형자산 상각 등으로 영업이익의 일시적 압박을 받고 있다고 판단해, 주주가치 제고와 셀트리온의 저평가 최소화를 위해 주식 장내 매입을 지속해 왔다. 홀딩스의 추가 주식 취득은 올해 3분기를 기점으로 셀트리온이 합병에 따른 영

LG에너지솔루션, 세계 최초 ‘5분 배터리 진단 서비스’ 혁신...중고 전기차 시장 신뢰도↑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5분 전기차 배터리 진단 서비스’인 ‘비원스(B.once)’를 2025년 10월 27일 공식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 서비스는 단 한 번의 진단만으로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의 잔존 용량, 전압, 온도 등 핵심상태를 최대 5분 만에 신속·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혁신적인 평가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배터리 평가 방식: 퀵 스캔 & 파워 스캔 비원스는 진단 방식에 따라 ‘퀵 스캔’과 ‘파워 스캔’ 두 가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퀵 스캔’의 경우, 온보드 진단기(OBD)를 연결하고 시동만으로 5분 내 배터리 상태를 간편 진단한다.​ ‘파워 스캔’은 50~80% 구간 실제 충전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도화된 분석을 제공하며, 충전 종료 후 30분 내로 평가서 발급이 가능하다. 특히 타사 서비스가 최소 5일 주행데이터를 요구하는 것과 달리, 짧은 시간에 객관적·정밀 진단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압도적 기술력과 객관성 LG에너지솔루션은 전 세계에서 1만건 이상의 배터리 관리 및 진단 특허를 통해 구축된 독보적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설계 역량을 바탕으로 비원스를 개발했다. 회사는

[랭킹연구소] '준오헤어 대박' 이을 헤어 프랜차이즈에 PEF '러브콜' 후끈…차홍·리챠드·마끼에·아이디·박승철·로이드밤·리안·이가자 順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이종화 기자] 글로벌 사모펀드(PEF) 운용사들이 국내 미용실 프랜차이즈 시장에서 준오헤어 인수 성공을 계기로 제2의 대박 브랜드를 찾는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2024년 국내 미용실 프랜차이즈 전체 시장은 지속 성장중이며, 한류 문화 확산과 K-뷰티 붐에 힘입어 글로벌 진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블랙스톤이 지난 2025년 9월 준오헤어의 경영권을 약 5600억원에 인수하며 기업가치를 8000억원으로 평가한 바 있는데, 이에 힘입어 미용실 프랜차이즈 업계 전반에 걸쳐 글로벌 자본의 대규모 유입이 본격화하는 양상이다.​ 준오헤어는 1982년 창립 이래 전국 180여개 매장과 3000여명의 직원을 거느린 국내 최대 프리미엄 미용실 브랜드로, 지난해 기준 매출 약 3000억원과 EBITDA(상각전영업이익) 370억원을 기록했다. EBITDA 대비 멀티플이 20배에 근접하는 고평가를 받으면서, 부동산 장부가액 2000억원을 제외해도 13배 이상의 이익 배수가 인정받고 있다.​ 주목할 점은 글로벌 PEF들이 현지에서 이미 자리 잡은 미용실 브랜드를 해외 진출의 교두보로 삼아 기업가치를 대폭 끌어올릴 전략을 모색 중이라는 것이다. 준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