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사이버트럭(Tesla Cybertruck)처럼 보이지만, 실제 모델과는 차이가 있다. 실제 테슬라 사이버트럭은 스테인리스 스틸 바디로 인해 무도색(실버) 상태로 출시된다. 이 사진은 AI로 편집된 가상의 이미지 [엑스]](http://www.newsspace.kr/data/photos/20250207/art_17394501664836_9a59a4.jpg)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테슬라가 4억달러(약 6000억원) 규모의 전기 장갑차를 미 정부에 공급하는 수주 계약을 따낼 가능성이 높다는 보도가 나왔다.
12일(현지시간) 전기차 매체 일렉트릭과 테슬라 전문매체 테슬라라티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국무부가 최근 발표한 2025년도 '조달 예측'에 근거해 테슬라가 미 국무부에 사이버트럭 픽업의 장갑 버전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국무부의 조달 예측 문서에는 해당 기관이 구매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매 내역이 자세히 나와 있는데 여기에는 4억 달러 규모의 테슬라 장갑차(Armored Tesla)가 기재됐다. 테슬라가 국무부와 계약을 체결하면 상업용 차량을 넘어 군용 및 특수차령 등 방위산업에 진출하는 것이다.
계약 예상 체결일은 올해 9월 30일로, 계약 기간은 5년인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선거운동에 사용된 테슬라 '사이버트럭' [엑스]](http://www.newsspace.kr/data/photos/20250207/art_17394501672088_48f210.jpg)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에서 정부효율부(DOGE) 수장을 맡아 정부 예산삭감을 위해 국무부 예산을 들여다보고 있는 머스크가 국방부와 계약을 체결한 당사자라는 점에서 이해상충 문제가 불거질 것으로 예상된다.
테슬라의 어떤 모델이 장갑차로 채택될지 공개되진 않았지만, 공급 모델로 사이버트럭이 유력시된다. NYC도 "고강도 스테인리스 스틸로 차체를 만든 전기 사이버트럭이 가장 적합한 차량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테슬라는 2023년 사이버트럭 출시 초기부터 강력한 성능과 차체 내구성을 강조해왔다. 이 제품은 스테인리스 강판으로 다양한 총기 공격 테스트에 노출하며 방탄 성능을 입증했다.
9만9990달러(약 1억3300만원)의 고가 트림인 사이버비스트는 공차중량 3t에도 제로백 2.7초(시속 100㎞ 가속에 걸리는 시간)에 불과하다. 최대 4990㎏을 견인할 수 있다.
머스크는 특이한 스테인리스 스틸 외관에 대해 영화 '매드맥스' 디자인의 사이버트럭이 종말과 대비돼 전쟁에 적합하다는 농담을 던지기도 했다.
![2024년 11월 대선 승리 후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이 스페이스X의 텍사스 발사장인 스타베이스를 떠날 당시 그의 호위 차량 행렬에 사이버트럭이 포착됐다. [엑스]](http://www.newsspace.kr/data/photos/20250207/art_17394501677536_068367.jpg)
색다른 디자인과 기능을 갖췄음에도 사이버트럭의 판매실적은 저조하다. 지난해 사이버트럭의 판매량은 3만9000대로 추산된다.
테슬라 사이버트럭에 책정된 예산은 4000만~5000만달러 수준이다. 다른 모든 장갑차(Armored) 관련 예산 항목과 비교해도 훨씬 높은 금액이었다. 국무부는 웹사이트를 통해 해당 예산안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하기 전인 12월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되었다고 언급하고 있다.
흥미로운 점은 테슬라 사이버트럭이 분류된 카테고리 항목이 '기타 식품 제조업'을 의미하는 NAICS 코드 311999에 분류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외에도 여러 예산 항목이 잘못된 카테고리에 연결되어 있었다. '장갑 세단'은 '청량 음료 제조업'에, '장갑 BMW X5/X7'은 '병입 음료 제조업'에, '장갑 EV(세단 아님)'은 '얼음 제조업'에 분류되어 있어 더욱 눈길을 끌었다.
게다가 사이버트럭은 2024년 11월 대선 직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스페이스X의 텍사스 발사장인 스타베이스를 방문할 당시 그의 호위 차량 행렬에 포착된 바 있다. 이때부터 이미 계약의 연기가 모락모락 피어났을 것이란 분석이다.
![미국 뉴욕주에서 약 10마일 남서쪽에 위치한 아마존 프레시 매장 주차장에 100여대가 넘는 테슬라의 사이버트럭이 주차돼 있다. [뉴스스페이스DB]](http://www.newsspace.kr/data/photos/20250207/art_17394501659392_39aff3.jpg)
일각에선 테슬라가 전기장갑차 정부 사업을 수주한다면 이는 이해 상충일 수 있다고 지적한다. 정부 관련 일을 하는 머스크가 정부가 거래하는 대상과 금전적 이해관계로 얽혀있다는 점이 적절치 않다는 이유다.
머스크는 지난 대선 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최소 3700억원의 선거자금을 기부했으며, 트럼프 행정부에서 자문기구인 정부효율부(DOGE)를 이끌고 있다.
머마크 포칸(민주·워싱턴) 하원의원은 5일(현지시간) 머스크 같은 특수직 공무원이 연방정부 계약을 수주하는 것을 금지하는 이른바 '일론 머스크 법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13일 미 국무부는 보도 후 논란이 불거지자 조달 예측 사업 이름을 ‘테슬라 장갑차’ 대신 ‘장갑 전기차’로 수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