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8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테슬라, 중국서 인도로 핸들 돌리나?…모디 만난 머스크, 인도서 직원 모집·매장 개설

테슬라, 인도 진출 '재시동'…모디 방미 후 속도
13일 머스크·모디 만난 뒤 13명 채용 공고 나와…뉴델리·뭄바이 매장 임차 마쳐
中에 밀린 테슬라, 인도 진출로 판매부진 돌파구 마련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회동한 직후, 테슬라의 인도 시장 진출 움직임이 본격화됐다. 2022년 이후 중단된 테슬라의 인도 진출이 다시 속도를 낼지 주목된다.

 

18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 타임스오브인디아 등의 외신보도에 따르면 테슬라는 글로벌 고용 플랫폼인 링크트인에 수도 뉴델리와 뭄바이를 비롯해 인도 전역에서 매장 관리와 서비스 기술자, 고객 대면 업무 등 13개 직책의 후보자를 모집한다는 공고를 게시했다.

 

테슬라는 아직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현지 언론은 테슬라가 세계 3위 자동차 시장인 인도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본격적인 움직임을 시작했다고 해석했다.

 

테슬라 매장은 뉴델리 공항 인근의 주상복합단지 에어로시티와 뭄바이 상업지구인 반드라 쿠를라 콤플렉스 구역에 들어서며 464㎡(약 140평) 규모로 조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두 건물은 서비스 센터가 아니라 전시장을 위한 것이며, 테슬라는 두 곳에서 전기차를 판매할 예정이라고 소식통은 밝혔다. 매장 개장 시기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이로써 테슬라의 인도 진출 재도전 프로젝트에 속도가 붙는 양상이다. 

 

테슬라는 앞서 2021년 인도 진출을 모색했었다. 하지만 수입차에 대한 높은 관세에 막히면서 2022년 진출 계획을 전면 보류했다. 이후 테슬라는 수입세율을 조정하기 위해 로비에도 나섰지만 현지 기업들의 반대에 부닥쳐 성과를 내지 못했다. 하지만 최근 인도의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미국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 통상 환경 개선을 제안하면서 테슬라의 인도 진출 시기도 다시 앞당겨지는 모습이다.

 

13일(현지시간) 정상회담 전에 머스크와 만난 모디 총리는 회동 후 엑스(X)에 “테슬라 CEO와 매우 좋은 만남을 가졌다”며 “우리는 우주, 모빌리티, 기술, 혁신 등 머스크가 열정을 가진 주제들에 대해 논의했다”고 올렸다.

 

지난해 4월에는 머스크가 직접 인도를 찾아 모디 총리를 만난 뒤 현지 자동차 공장 건설 계획을 발표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으나, 머스크가 인도 방문을 며칠 앞두고 이를 갑자기 취소해 그 이유가 무엇인지 관심이 쏠리기도 헸다.

 

현재 중국 전기차 업체에 밀려 고전 중인 테슬라가 인도 진출에 성공한다면 실적개선을 통해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란 예상이다. 지난해 인도의 전기차 판매는 약 10만대로 아직까지 시장 규모가 크지는 않다. 하지만 인도의 경제성장률과 엄청난 인구규모를 감안해 향후 높은 성장세를 기대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인도의 전기차 시장은 중국에 비하면 아직 초기 단계인 만큼 성장 가능성이 크다”면서 “인도는 10년 만에 처음으로 차량 인도량이 감소한 테슬라에 판매를 늘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지구칼럼] 200만년간 지속된 독성 납 노출, 현대인·네안데르탈인 유전적 차이…"납중독, 인류 뇌 진화·언어능력 결정적 영향"

[뉴스스페이스=윤슬기자] 최근 Science Advances에 게재된 국제 공동연구가 기존의 납 독성은 산업화 이후 나타난 현상이라는 통념을 뒤집었다. Phys.org, news.asu.edu, ScienceAlert, bioengineer에 따르면, 서던크로스대학교, UC 샌디에이고, 마운트 시나이 의과대학 연구진은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전역에서 출토된 51개의 화석 치아를 고정밀 레이저 절단 기술로 분석한 결과, 73% 표본에서 간헐적 납 노출의 흔적인 ‘납 띠’를 확인했다. 이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부터 네안데르탈인, 현생 인류까지 다양한 호미닌 종에서 공통으로 발견됐으며, 납 노출이 산업혁명보다 훨씬 이전인 약 200만 년 전부터 존재했음을 시사한다.​ 자연 환경이 납 오염의 주요 원인 과거 납 노출은 동굴 내 오염된 물, 화산재, 자연 지질학적 작용 등으로 음식 사슬에 축적됐다. 현대 산업용 납과 같이 인위적 원인에 의한 것이 아닌 자연 발생적 납 노출이 반복되며 인류 진화 과정에 일상적으로 영향을 끼쳤다는 점이 밝혀졌다. 연구진은 20세기 납 휘발유 사용 시기 태어난 인물들의 치아에서 거의 동일한 납 노출 경향을 발견해 진화적 지속성을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