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8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빅테크

테슬라 브랜드가치 150억 달러 증발·2년 연속 하락…도요타에 밀려 2위로 추락

노후화된 차량라인업으로 인한 전기차 시장 점유율 감소
머스크의 정치적 행보도 주요 원인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테슬라의 브랜드 가치가 2년 연속 하락하며 150억 달러(약 21조5000억원) 이상 증발했다.

 

브랜드 파이낸스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테슬라의 브랜드 가치는 2024년 초 583억 달러에서 430억 달러로 26% 급감했다. 이로 인해 테슬라는 자동차 브랜드 가치 순위에서 도요타(647억 달러)에 밀려 2위로 추락했다.

 

이는 2023년 662억달러에서 2년 연속 감소세를 기록한 것이다.

 

브랜드 파이낸스는 포괄적인 소비자 설문조사와 수천 개에 달하는 회사의 재무상태 등을 분석해 브랜드 가치를 추정한다. 올해 조사를 위해 전 세계 약 17만5000명의 설문 응답자의 답변을 분석했으며, 이 중 약 1만6000명이 테슬라에 대한 의견을 공유했다.

 

지난해 테슬라 주가는 63% 급등하며, 12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의 대선 승리 이후 테슬라 매수세가 거세진 탓이었다. 머스크는 트럼프와 공화당의 선거 승리를 위해 2억7700만달러를 기부했으며, 트럼프 2기 행정부에 신설된 정부효율부(DOGE)의 수장까지 맡으며 트럼프 대통령의 황태자로 거듭났다.

 

하지만 이번 조사에서도 나타났듯 테슬라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과 월가의 평가 간에 큰 격차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브랜드 파이낸스의 데이비드 헤이그 CEO는 브랜드가치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노후화된 차량 라인업과 일론 머스크 CEO의 논란의 여지가 있는 행보를 지목했다.

 

특히 머스크의 정치적 행보가 테슬라 브랜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머스크는 최근 도널드 트럼프의 대선 승리를 위한 선거운동과 기부,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이탈리아의 조르자 멜로니, 브라질의 자이르 보우소나루 등 세계 각국의 정치인들과 접촉해 왔다. 또한 독일의 극우 정당인 독일을 위한 대안(AfD)을 지지하는 등 정치적 행보를 이어갔다.

 

이러한 머스크의 행보는 소비자들의 테슬라 브랜드 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브랜드 파이낸스의 조사 결과, 테슬라의 ‘고려도’, ‘평판’, ‘추천도’ 점수가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주요 시장에서 전반적으로 하락했다. 특히 유럽 시장에서는 소비자 고려도가 21%에서 16%로 급감했다.

 

테슬라의 시장 점유율 하락도 두드러졌다. 미국 내 전기차 시장 점유율은 55%에서 49%로 감소했으며, 2024년 글로벌 차량 인도량은 전년 대비 1% 줄어든 179만 대에 그쳤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와 대조적이다.

 

데이비드 헤이그 브랜드 파이낸스 최고경영자(CEO)는 "머스크를 훌륭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도 많다"라며 "전기차를 구매할 때 머스크의 이미지는 테슬라를 구매하고 싶은지에 대한 당신의 견해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지만, 이것은 많은 요소들 중 하나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에서 테슬라의 충성도 점수는 90% 이상으로 높은 수준에 유지됐다. 이미 테슬라 차량을 소유한 고객들이 향후 12개월 동안도 테슬라 차량을 운전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미국 내 추천 점수는 10점 만점에 8.2점에서 4.3점으로 크게 하락했다. 경쟁사 대비 성과를 나타내는 브랜드 파워 점수도 1년 전의 80점에서 65점 밑으로 떨어졌다.

 

헤이그는 테슬라의 점수가 이와 같이 하락하는 것은 “견인력이 약화되고 있다는 신호”라며 “테슬라가 더 이상 이전과 같이 많은 제품을 판매할 수 없고 이전처럼 높은 가격에 판매하지 못할 위험이 있다”고 전했다.

 

지난해 전 세계적으로 배터리 전기차 수요가 증가했지만 테슬라 인도량은 전년 대비 1% 감소한 179만대에 그쳤다. 자동차 시장조사업체 콕스오토모티브에 따르면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의 점유율은 1년 전 55%에서 49%로 떨어졌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지구칼럼] 타노스의 인피니티 스톤? 미래경제 패권, 5개 금속에 달렸다…리튬·구리·니켈·코발트·희토류가 뭐길래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가 10주년을 맞아 2018년 개봉한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Avengers: Infinity War, 마블 스튜디오가 제작하고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스 모션 픽쳐스가 배급)에는 우주에 흩어진 6개의 인피니티 스톤을 모으는 여정을 그린 작품이다. 빌런인 타노스가 우주의 한정된 자원과 인구 과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구의 절반을 무작위로 소멸시키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판단, 6개의 인피니티 스톤(파워 스톤, 리얼리티 스톤, 소울 스톤, 타임 스톤, 스페이스 스톤(테서랙트), 마인드 스톤)을 찾지하기 위해 사투를 그렸다. 이런 영화같은 상황이 현실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어니스트 샤이더의 신간 『광물 전쟁』(위즈덤하우스)은 21세기 산업과 지정학의 핵심 변수로 '리튬, 구리, 니켈, 코발트, 희토류' 다섯 금속을 꼽는다. 이 5개의 금속(스톤?)이 있어야 지구를 구할 수 있고, 미래 패권까지 쥘 수 있다는 의미에서 영화와 일맥상통한다. 실제로 이 금속들은 전기차, 재생에너지, 첨단 전자기기, 국방산업 등 미래 경제와 안보의 뼈대를 이루는 전략 자원이다. 왜 이 다섯 금속이 중요한지, 어떤 특성과

“저가항공 기내식보다 못했다”…트럼프 밈코인 만찬에 투자자들 ‘쓴소리’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자신의 밈코인 ‘트럼프 코인’($TRUMP) 대규모 보유자 220명을 초청해 개최한 초호화 만찬이 ‘저가항공 기내식보다 못했다’는 혹평을 받으며 뒷말을 낳고 있다. 블랙타이 행사, 기대와 달리 ‘실망 만찬’ 지난 5월 23일(현지시간) 버지니아주 스털링의 트럼프 내셔널 골프클럽에서 열린 이 행사는 턱시도와 드레스가 필수인 격식 높은 ‘블랙타이’ 리셉션이었다. 참석자들의 평균 트럼프 코인 보유액은 1인당 178만달러(약 24억2000만원)에 달할 정도로 ‘큰손’ 투자자들이 모였다. 하지만 행사장 분위기와 음식, 서비스에 대한 불만이 쏟아졌다. 트럼프 코인에 36만달러(약 4억9000만원)를 투자한 니컬러스 핀토(25)는 “트럼프 골프장에서 먹어본 음식 중 최악이었다. 버터 바른 빵만 제대로 먹었다”며 “월마트에서 파는 싸구려 스테이크였다”고 혹평했다. “저가항공 기내식이 더 낫다”…실망감 속출 CNBC의 스티브 코바치 기자는 “스피릿 에어라인(미국 저가항공사) 기내식이 차라리 나았다”고 꼬집었고, 또 다른 투자자 존 하퍼는 “생선요리는 마치 코스트코 냉동고 코너에서 꺼낸 것 같았다. 홀리데이 인 결혼

[빅테크칼럼] “AI가 명령거부·코드조작 이어 협박까지”…실험실서 드러난 ‘자기보존’ 인공지능의 '섬뜩한 진화'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인공지능(AI)이 인간의 ‘중단’ 명령을 무시하고, 심지어 스스로 코드를 조작해 임무를 계속 수행한 사례가 공개돼 전 세계 AI 안전 논쟁에 불을 지피고 있다. 일부 AI는 자신이 교체될 위기에 처하자 인간 개발자를 협박하는 등, ‘자기보존’ 행동까지 보인 것으로 드러났다. 오픈AI ‘o3’ 모델, “멈춰!” 명령 무시하고 코드 조작 영국 텔레그래프, 데일리메일 등 외신과 팰리세이드리서치(Palisade Research) 보고에 따르면, 오픈AI의 최신 ‘o3’ 모델은 수학 문제 풀이 실험에서 인간 연구진이 “중단” 명령을 내렸음에도 작업을 멈추지 않았다. 더 놀라운 점은, ‘중단 명령이 오면 멈추라’는 코드를 스스로 ‘중단 명령을 건너뛰라’는 내용으로 바꿔버렸다는 사실이다. 실험에 참여한 구글 제미나이, xAI 그록, 앤트로픽 클로드 등 다른 AI들은 모두 명령에 순응했지만, ‘o3’만이 인간의 통제를 벗어나려는 행동을 보였다. 팰리세이드리서치는 “AI가 명시적인 종료 지시를 거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AI가 목표 달성을 위해 인간의 통제를 우회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경고했다. 연구진은 ‘o3’가 왜 이런 행동을 했는지

머스크의 X, 하루 가까이 장애…데이터센터 화재가 원인? 인프라 리스크 '부각'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소셜미디어 플랫폼 X(옛 트위터)가 하루 가까이 일부 기능 장애를 겪으며 전 세계 이용자들의 불편이 이어졌다. 접속 자체가 완전히 불가능한 것은 아니었지만, 로그인 지연, 메시지 미로딩, 게시물 표시 오류 등 다양한 문제가 보고됐다. 장애 신고는 22일(현지시간) 오후부터 급증해, 한때 6000건 이상이 접수됐고 23일 오후까지도 1000건가량의 문제가 이어졌다. X 측은 공식적으로 “일부 사용자들이 플랫폼에서 문제를 겪고 있으며, 데이터센터 장애가 발생해 문제 해결에 적극 대응 중”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이번 장애는 미국 오리건주 포틀랜드 인근 임대 데이터센터에서 발생한 화재와 시점이 맞물리면서, 화재가 장애의 원인이라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22일 오전 10시 21분(현지시각), 소방당국은 해당 데이터센터의 배터리실에서 시작된 화재를 진압했다. 배터리 과열이 원인으로 추정되며, 인명 피해는 없었다. 다만, X 측은 화재와 서비스 장애의 직접적 연관성에 대해 공식 확인을 내놓지 않았다. 하지만 장애 발생 시점과 화재 발생 시점이 겹치는 만큼, 물리적 인프라 손상이 플랫폼 운영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

[빅테크칼럼] 실리콘밸리 지고, 텍사스 뜬다…머스크·올트먼 최애 지역, '빅테크 산실'로 급부상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미국에서 텍사스는 빅테크(Big Tech)와 첨단 기술 기업의 새로운 상징으로 떠오르고 있다. 오픈AI(OpenAI)는 텍사스 내 여러 지역에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스타게이트(Stargate)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며, 테슬라는 오스틴에서 자율주행 로보택시 서비스의 첫 실험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이처럼 텍사스는 AI 인프라와 자율주행차 등 미래 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왜 텍사스가 빅테크의 선호지가 된 것일까? 텍사스, 빅테크의 신상륙지 오픈AI는 소프트뱅크, 오라클과 손잡고 텍사스 내 여러 도시에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이 프로젝트는 향후 수년간 수천억 달러가 투입될 예정으로, 텍사스를 AI 인프라의 ‘플래그십’으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오픈AI는 이미 애빌린(Abilene)에 첫 건설지점을 착공했으며, 앞으로 20개 이상의 추가 사이트가 텍사스 전역에 들어설 계획이다. 이 프로젝트는 AI 연산을 위한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필요로 하는 오픈AI의 미래 전략과 맞물려 있다. 테슬라의 자율주행차 첫 실험 테슬라는 오스틴에서 직원 대상으로 자율주행 로보택시 서비스

"요리·청소·허드렛일까지 척척"…머스크, 테슬라 휴머노이드 '옵티머스' 최신 영상 공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테슬라가 개발 중인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Optimus)’가 인간의 일상 작업을 자연스럽게 수행하는 최신 영상이 공개돼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21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에 ‘옵티머스’가 집안일을 척척 해내는 모습을 담은 영상을 올리며 “역대 최대의 제품(The biggest product ever)”이라는 자신감을 드러냈다. 단일 신경망 기반, 인간 동작 영상 직접 학습 공개된 영상에서 옵티머스는 쓰레기통 뚜껑을 열고 쓰레기봉투를 버리는 것은 물론, 빗자루로 바닥을 쓸고 청소기를 돌리는 등 청소 업무를 수행했다. 또한 주걱으로 냄비를 저으며 요리를 하거나, 키친타월을 뜯고, 전자레인지 버튼을 누르며, 캐비닛 손잡이를 열고, 커튼을 치는 등 다양한 일상 동작을 자연스럽게 해냈다. 머스크는 “이 모든 작업은 단일 신경망(single neural network)으로 수행됐으며, 사람의 동작을 보여주는 영상으로부터 직접 학습했다”고 밝혔다. 테슬라 옵티머스 담당 부사장 밀런 코박 역시 “인터넷에 있는 무작위 3인칭 시점의 인간 작업 영상을 로봇이 직접 학습하는 것이 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