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3.9℃
  • 맑음강릉 11.0℃
  • 흐림서울 3.8℃
  • 구름많음대전 8.2℃
  • 구름많음대구 9.5℃
  • 구름많음울산 12.2℃
  • 구름많음광주 8.5℃
  • 구름많음부산 13.3℃
  • 흐림고창 9.1℃
  • 흐림제주 12.8℃
  • 구름많음강화 3.5℃
  • 구름조금보은 6.7℃
  • 구름조금금산 8.5℃
  • 흐림강진군 9.3℃
  • 구름많음경주시 11.0℃
  • 구름많음거제 13.3℃
기상청 제공

빅테크

크루즈 자율주행 수장, 테슬라 AI 총괄로 전격 합류…로보택시 '빅뱅' 예고

헨리 콴 합류한 테슬라, AI·로보택시로 재도약 시동
오스틴서 첫 선 보인 테슬라 로보택시, 성공과 논란의 현장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테슬라가 미국 자율주행 업계의 거물 헨리 콴(Henry Kuang)을 AI 및 딥러닝 자율주행 담당 디렉터로 영입했다. 콴은 GM의 자율주행 자회사 크루즈(Cruise)에서 자율주행 총책임자를 지낸 인물로, 테슬라의 로보택시(무인 자율주행 택시) 사업 확대와 기술력 강화의 핵심 인재로 주목받고 있다.

 

콴의 합류는 최근 테슬라 오토파일럿(Autopilot) 및 자율주행 부문에서 잇따른 고위 임원 이탈, 대규모 구조조정, 그리고 AI 기반 자율주행 및 로보틱스 중심의 전략 전환이라는 격변의 한가운데 이루어졌다. 실제로 지난 6월 말, 오미드 애프샤(Omead Afshar) 등 핵심 임원들이 동반 퇴사하는 등 조직 불안정이 이어지고 있다.

 

헨리 콴의 자율주행 이력…페이스북에서 크루즈까지


헨리 콴은 메타(구 페이스북)에서 시니어 엔지니어로 커리어를 시작해, 2020년 크루즈로 이직해 '퍼셉션(Perception) 팀'을 이끌었고, 이후 자율주행 총괄(Senior Director, Head of Autonomy)로 승진했다.

 

크루즈에서 그는 센서 융합, AI 비전, 딥러닝 기반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을 총괄하며, 2023년 크루즈의 대규모 사업 중단 전까지 핵심 리더로 활약했다. 이처럼 AI와 자율주행 전반에 걸친 실무와 리더십 경험을 고루 갖춘 인물은 테슬라 내부에서도 드문 사례다.

 

테슬라 로보택시…약속과 현실의 간극


테슬라의 로보택시 전략은 2016년 '마스터플랜 파트2'에서 처음 공개된 이후, 2019년 "2020년까지 100만대 로보택시"라는 일론 머스크의 호언장담으로 전 세계의 이목을 끌었다. 하지만 실제 서비스 출시는 수차례 연기됐고, 2025년 6월 22일에서야 텍사스 오스틴에서 10~20대의 모델Y 차량을 투입한 제한적 파일럿 서비스가 첫선을 보였다.

 

오스틴 파일럿은 초청받은 주주·인플루언서 대상, 지정된 지오펜스(Geofence) 구역 내에서만 운행, 승객 옆에 테슬라 직원이 '안전 모니터'로 동승하는 등 극도로 제한적 형태다. 요금은 상징적으로 4.20달러로 책정됐다. 아직 완전 무인 자율주행이 아닌, '감독 하의 자율주행' 단계임을 보여준다.

 

리더십 이탈과 조직 불안, 그리고 AI 인재 확보


테슬라는 오토파일럿·자율주행 부문에서 수년간 리더십 이탈이 이어졌다. 2022년 AI 총괄 안드레이 카르파티(Andrej Karpathy), 2024~2025년 소프트웨어·하드웨어·로보틱스 부문 부사장 등 핵심 인력이 줄줄이 퇴사했다. 최근에는 내부 승진 위주 인사정책과 브랜드 이미지 악화, 조직 문화 이슈로 외부 인재 영입이 쉽지 않았던 상황이다.

 

이런 맥락에서 헨리 콴의 영입은 이례적인 '외부 영입'이자, 테슬라의 AI·자율주행 기술력 재정비 의지를 상징한다는 평가다.

 

기술적·규제적 도전과 시장의 반응


테슬라 로보택시는 카메라 기반 비전 AI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비전 온리' 전략을 고수한다. 이는 라이다(LiDAR)·레이더 등 다중 센서를 활용하는 웨이모(Waymo) 등 경쟁사와 차별화된 접근이지만, 다양한 주행 환경에서의 신뢰성 논란도 크다.

 

실제 오스틴 파일럿 초반, 일부 차량이 교통법규 위반, 역주행, 돌발 상황에서의 오작동 등으로 연방 도로교통안전국(NHTSA) 조사 대상이 됐다. 텍사스 주의회도 9월 시행될 신규 자율주행차 규제 전까지 서비스 연기를 요구하는 등, 규제 리스크가 상존한다.

 

반면, 초기 이용자들은 "기존 FSD보다 부드럽고 쾌적하다", "앱이 직관적이고, 주행도 안전했다"는 긍정적 후기를 남기기도 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웨이모가 수년간 겪은 시행착오를 테슬라도 겪을 것"이라며, 전국적 확산까지는 수년이 걸릴 것으로 내다본다.

 

AI 리더십 확보로 재도약 모색


테슬라의 헨리 콴 영입은 단순한 인재 보강을 넘어, AI·자율주행 기술 내재화와 로보택시 사업의 본격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승부수다.

 

하지만 기술적 완성도, 규제 대응, 조직 안정화라는 삼중 과제를 동시에 풀어야 하는 상황이다. 콴의 리더십과 테슬라의 '비전 온리' 전략이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고, 진정한 무인 로보택시 시대를 앞당길 수 있을지 주목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혈당을 넘어 당뇨병 합병증 근본 해결"…NYU 연구진, 염증 원천 표적하는 혁신 약물 RAGE406R 개발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최근 미국 뉴욕대학(NYU) 랭곤 헬스 연구진이 혈당 조절과 무관하게 당뇨병 합병증의 근본 원인을 표적하는 혁신적 저분자 화합물 RAGE406R을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이 약물은 당뇨병 환자에서 흔히 발생하는 염증과 조직 손상, 특히 상처 치유 지연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효과를 보였다. 연구 결과는 2025년 11월 14일 생화학 분야의 권위지 ‘Cell Chemical Biology’에 발표됐다.​ 현재 당뇨병 치료제는 주로 혈당 수치를 낮추는데 집중되어 있으나, 심혈관 질환, 신장 질환, 만성 염증과 같은 합병증에 직접 작용하는 치료법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에서 RAGE406R은 당뇨병 환자의 세포 내에서 염증 신호를 촉발하는 RAGE(최종당화산물 수용체)와 DIAPH1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차단하는 기전으로 작동한다. 이 상호작용이 억제되면서 염증 매개물질 CCL2의 분비가 현저히 줄어들어 대식세포 내 염증 반응이 완화됐다.​ 특히, 비만형 제2형 당뇨병 생쥐에 국소 적용된 실험에서 RAGE406R은 상처 치유 속도를 대폭 높여, 치유 지연으로 고통받는 당뇨환자에게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증명했다. 남녀 당

[빅테크칼럼] 테슬라, 美 전기차 생산서 중국산 부품 전면 배제…"미중갈등 지정학 리스크 대응차원"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글로벌 전기차 선두주자 테슬라가 미국 내 생산 전기차에 사용되는 부품에서 중국산을 전면 배제하는 전략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이는 미·중 간 고조된 지정학적 긴장과 무역 분쟁에 따른 공급망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한 조치로 평가받는다. 월스트리트저널, 로이터, CBS, 배터리테크온라인, 테슬라매그에 따르면, 테슬라와 주요 공급업체들은 이미 미국에서 생산되는 전기차에 들어가는 일부 중국산 부품을 현지 혹은 타지역에서 생산된 부품으로 대체했으며, 앞으로 1~2년 내에 모든 중국산 부품을 중국 외 지역에서 조달한 부품으로 교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같은 결정은 2025년 초 확정됐으며, 공급망 다변화의 일환으로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중국산 부품 수급 차질 경험과 올해 들어 미국 정부가 중국산 품목에 고율 관세를 부과한 영향이 컸다.​ 특히 테슬라가 대체에 가장 난항을 겪는 부문은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다. 기존에 중국 CATL이 주요 공급사였던 LFP 배터리는 미국 내 판매 차량의 세액공제 대상에서 중국산 배터리를 장착한 차량이 제외되면서 사용이 중단됐다. 이에 테슬라는 네바다주에 10GWh 규모의 자체